민족기록화관 개관

"강대운-진주성싸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계망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8명의 중간 판 25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작품정보
+
{{민족/기획기사보기|
|대표명칭 = 진주성싸움
+
|기획기사=[[민족기록화로 살펴보는 임진왜란 3대 대첩]]
|DB유형 = 민족기록화
 
|작품명 = 진주성싸움
 
|작가 = 강대운
 
|제작연도 = 1975년
 
|규격 = 300호
 
|분류 = 유화
 
|소장처 = 미상
 
|image = 강대운-진주성싸움(김시민)-1975s.jpg
 
 
}}
 
}}
 +
{{틀:민족기록화 Top icon}}
 +
{{민족기록화_샘플
 +
|사진= 강대운-진주성싸움(김시민)-1975s.jpg
 +
|작품명= 진주성싸움
 +
|작가= [[강대운]]
 +
|제작연도= 1975년
 +
|규격= 300호(197x290.9cm)
 +
|유형= 전쟁
 +
|분류= 유화
 +
|소장처= 미상
 +
|필드수=7
 +
}}
 +
=='''정의'''==
 +
1592년([[조선 선조|조선 선조]] 25), 진주목사 [[김시민]] 장군의 지휘하에 관군과 백성들이 [[진주성]]을 공격하던 왜군을 격파한 장면을 담은 [[강대운]]의 민족기록화이다.
  
 +
=='''설명'''==
 +
===작품 소재===
 +
[[파일:민족기록화 인덱스맵 강대운-진주성싸움(김시민)-1975s.jpg|right|450px]]
 +
작품의 소재인 [[진주전투|1차 진주전투]]는 1592년 11월 9일부터 11월 14일까지 이어졌는데, 해당 작품은 11월 12일의 전투 모습을 묘사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닷새 전 11월 7일부터, 왜군은 군사 3만 명으로 [[진주성]]을 포위하였다. 11월 12일, 왜군은 2대로 나누어 1대는 [[진주성]] 북문 밖으로 쳐들어오고, 1대는 [[진주성]] 동문을 공격해 왔다. 이에 대항하여 조선군은 성문을 굳게 닫고 왜군의 공격을 효율적으로 막아내는 방어 전술을 펼쳤다. 일반 백성들이 모인 의병 10,000명 정도를 제외하고 훈련된 조선군 군사는 3,800명에 불과했다.
 +
<br/>
 +
<br/>
 +
작품 왼편에 그려진 '''① [[진주성]] 동문'''앞에는 대나무로 만든 사다리를 사용하여 성안으로 진입하려는 적의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왜군에 대항하여 [[김시민|김시민(金時敏, 1554~1592)]]은 군사들에게 화약을 장치한 [[대기전|대기전(大岐箭)]]을 쏘게하여 성벽을 기어오르는 적의 대나무 사다리를 파괴하고, [[비격진천뢰|비격진천뢰(飛擊震天雷)]], [[질려포통|질려포통(黎藜砲筒)]] 같은 화기(火器)를 동원하는 한편, 백성들은 마른 갈대에 화약을 싸서 던지거나 끓는 물과 큰 돌을 던지면서 적의 공격을 막았는데, 이 또한 작품에서 살펴볼 수 있다.<br/>
 +
또한 작품 중앙에 그려진 '''③ [[진주성]] 북문''' 앞에는 적군 기병 1,000여 명이 대나무로 엮은 나무방패를 들고, 조총을 난사하며 돌진하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br/>
 +
[[김시민]] 장군은 백성들에게 군복을 입히고 군기(軍旗)를 여럿 세워 병력을 많아 보이게 하는 심리전을 걸었는데, 작품에서도 성안에 '''①②③ 노랑, 파랑, 적색의 수많은 용대기들'''이 나부끼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작품 하단의 중앙에는 '''⑤ 일본의 전통 투구인 가부토를 쓴 왜장'''이 한손에 흰 빛의 일본도를 치켜 들고 있다.
  
==자료 살펴보기==
+
===작품 배경===
[[파일:강대운-진주성싸움(김시민)-1975s.jpg|강대운 「진주성싸움」 1975]]
+
작품의 배경은 [[진주성]]으로, 작품 중앙에는 '''③ [[진주성]] 북문'''이, 작품 왼편에 '''① 진주성 [[동문]]'''이 그려져 있다. [[진주성]] 남쪽으로는 '''① [[남강]]'''이 흐르는데, 이는 작품 상단 왼쪽 끝에 칠해진 푸른 색 물결로 묘사되어 있다.
  
 +
===작품 구도===
 +
일반적인 민족기록화는 주요 장수나 아군을 중앙에 배치하여 중심으로 삼고 아군의 시점에서 적군의 공격을 막아내거나 추격하는 구도로 그려져 있다. 그러나 이 작품의 경우 화폭을 상하로 이등분하여 작품 하단에 적군을 배치하는 원근감을 이용하였다.<br/>
 +
다른 작품들과 달리 전경과 중경을 격퇴당하는 적군의 모습으로 가득 채우고 이를 검은 색의 거친 윤곽선과 전체적인 붉은 톤으로 묘사함으로써 보는 이의 긴장감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러나 널려있는 적군의 시체, 총포의 폭음과 인마(人馬)의 절규로 가득한 아비규환의 상황은 잔혹한 죽음에 대한 보편적인 반감(反感)이나 비애가 아니라 거꾸로 적의 파멸을 통한 아군의 승리를 강하게 전달한다.<ref>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92-93쪽.</ref>
  
==스토리텔링==
+
===그림 읽기===
민족기록화 전승편 20작품 중 하나로, 임진왜란 중인 1592년 10월 1차 진주성싸움에서 진주목사 김시민 장군이 3,800명의 관군과 2만여명의 백성들을 지휘하여 진주성을 공격하던 왜군을 격파하여
+
*국가기록원 기록에 따르면 이 작품은 1991년 11월 30일부터 1992년 11월 29일까지 육군 제5897부대에 대여되었습니다.
곡창지대인 호남 진출을 막아낸 장면을 그린 그림이다. 1975년 강대운 화백이 그렸다.
+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
<imagemap>
 +
파일:강대운-진주성싸움(김시민)-1975s.jpg |강대운 「진주성싸움」 1975|800px|center
 +
poly 7 87 23 89 34 89 36 78 50 87 75 87 85 83 99 92 107 95 116 101 110 104 115 118 148 127 158 121 178 137 194 134 208 123 233 125 252 128 281 123 293 128 309 151 321 145 321 140 325 123 328 119 345 114 362 110 376 94 393 91 396 88 423 89 443 84 456 61 467 61 474 63 490 59 499 66 509 52 510 43 493 36 490 27 503 23 514 29 532 22 537 11 550 14 565 -2 566 0 587 16 631 32 638 32 643 32 643 40 632 42 634 47 646 52 678 65 699 63 726 63 754 70 788 79 793 80 791 174 764 164 682 157 689 136 686 121 660 173 619 174 586 171 550 126 541 116 530 103 518 113 511 99 499 82 486 85 442 96 412 108 410 138 424 161 398 172 331 184 264 194 210 187 187 171 148 155 132 147 72 182 56 194 53 217 13 212 2 167 9 132 16 119 9 111 16 105 9 88 9 88 [[진주성]]
 +
</imagemap>
  
일반적인 민족기록화의 경우 주요 장수나 아군을 중앙에 배치하여 중심으로 삼고 아군의 시점에서 적군의 공격을 막아내거나 추격하는 구도로 그려져 있다. 그러나 이 작품의 경우 원근감을 이용하여 화폭을 상하로 이등분하여 하단의 중앙에는 일본의 전통 투구인 가부토를 쓴 귀신 모양을 한 왜장이 한손에는 흰 빛의 일본도를 치켜 들고 있는 장면이 화면의 중앙을 차지하고 있다. 왜장이 탄 말은 사나운 표정으로 울부짖고 있고, 왜장의 왼편에는 등 뒤에 여러 대의 화살을 맞고 고통스럽게 죽아 가는 왜병의 모습과 쓰려져 가는 말을 표현하였다. 오른편에는 불길에 휩싸여 말 발굽에 치이는 반라의 인물이 그려져 있다. 왼편 하단에는 적병의 시신이 겹겹이 쓰러져 있는 모양을 짙은 색으로, 불화살 공격으로 화염속에 타들어 가는 왜병들의 모습을 붉은 색을 사용하여 강렬하게 표현하였다. 그림 전체에서 왜군들은 반라의 모습을 하고 있는 점이 눈에 띈다.
+
=='''지식 관계망'''==
1차 진주성싸움에서 왜군은 대나무로 만든 사다리와 나무 방패를 이용하여 성을 공격하였는데, 이 작품의 여러 곳에서 대나무 방패 뒤에 숨어 성을 향해 조총을 발사하는 왜군과 사다리를 타고 성안으로 진입하려는 적의 모습을 볼 수 있다.
+
* '''[https://dh.aks.ac.kr/Encyves/Graph/C027/C027.htm "진주성싸움"(강대운) 지식관계망]'''
 
그림의 상단의 왼쪽 끝에는 푸른 색으로 칠해진 남강이 보이고 왜군의 주요 공격 지점이었던 동문과 북문을 두축으로 성을 공격하는 적군에  각종 무기로 반격하는 조선군의 모습을 그려 놓았다. 대나무 사다리를 타고 성벽을 오르는 왜군을 향해 끊는 물을 붓고 화살을 아끼기 위하여 돌을 던지는 병사들의 모습이 보인다. 김시민 장군은 백성들에게 군복을 입히고 군기(軍旗)를 여럿 세워 병력을 많아 보이게 하는 심리전을 걸었는데, 그림에서도 성안에 노랑,파랑,적색의 용대기들이 수 없이 나부끼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관계망 데이터베이스==
 
 
<html>
 
<html>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장동룡/진주성싸움.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C027/C027.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html>
 
+
===관계정보===
==노드 및 관계 테이블==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노드 || 관계 || 노드
+
|-
 +
| [[강대운-진주성싸움]] || [[강대운]]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강대운-진주성싸움]] || [[1차 진주전투]]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
 +
| [[강대운-진주성싸움]] || [[진주성]] ||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A ekc:depicts B
 +
|-
 +
| [[민족기록화로 살펴보는 임진왜란 3대 대첩]] || [[강대운-진주성싸움]] || A는 B를 포함하는 기획기사이다||A dcterms:hasPart B
 +
|-
 +
| [[진주전투]] || [[1차 진주전투]]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진주전투]] || [[2차 진주전투]]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진주전투]] || [[진주성]] || A는 B에서 일어났다 || A edm:happenedAt B
 +
|-
 +
| [[김시민]] || [[1차 진주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김성일]] || [[1차 진주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이황]] || [[김성일]]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곽재우]] || [[1차 진주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곽재우]] || [[정암진싸움]]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정기룡]] || [[1차 진주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정기룡]] || [[추풍령 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최경회]] || [[1차 진주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최경회]]  || [[논개]]  ||  A는 B의 남편이다 || A ekc:hasWife B
 +
|-
 +
| [[논개]]  || [[2차 진주전투]]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대기전]] || [[1차 진주전투]] || A는 B에 사용되었다  ||A ekc:isUsedIn B
 +
|-
 +
|  [[비격진천뢰]] ||[[1차 진주전투]] ||  A는 B에 사용되었다  ||A ekc:isUsedIn B
 +
|-
 +
| [[질려포통]] || [[1차 진주전투]] ||  A는 B에 사용되었다  ||A ekc:isUsedIn B
 +
|-
 +
| [[임진왜란 3대 대첩]]  || [[진주전투]]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강대운]] || ~을 그렸다 || [[강대운-진주성싸움]]
+
| [[임진왜란 3대 대첩]] || [[한산대첩]]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진주성싸움]] || ~에서 발발하였다 || [[진주성]]
+
| [[임진왜란 3대 대첩]] || [[행주대첩]]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김시민]] || ~에 참전하였다 || [[진주성싸움]]
+
|}
 +
 
 +
===시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 [[김성일]] || ~에 참전하였다 || [[진주성싸움]]
+
|1975년 || [[강대운]][[강대운-진주성싸움]]을 그렸다
 
|-
 
|-
| [[이광악]] || ~에 참전하였다 || [[진주성싸움]]
+
|1991년 11월 30일-1992년 11월 29일 || [[강대운-진주성싸움]]이 육군 제5897부대에 대여되었다
 
|-
 
|-
| [[성수경]] || ~에 참전하였다 || [[진주성싸움]]
+
|1592년 11월 8일-14일 || [[김시민]][[1차 진주전투]]에 참여하였다
 
|-
 
|-
| [[곽재우]] || ~에 참전하였다 || [[진주성싸움]]
+
|1592년 11월 8일-14일 || [[김성일]][[1차 진주전투]]에 참여하였다
 
|-
 
|-
| [[최경회]] || ~에 참전하였다 || [[진주성싸움]]
+
|1592년 11월 8일-14일 || [[곽재우]][[1차 진주전투]]에 참여하였다
 
|-
 
|-
| [[정기룡]] || ~에 참전하였다 || [[진주성싸움]]
+
|1592년 11월 8일-14일 || [[정기룡]][[1차 진주전투]]에 참여하였다
 
|-
 
|-
| [[김시민]] || ~에 배향되었다 || [[창열사]]
+
|1592년 11월 8일-14일 || [[최경회]][[1차 진주전투]]에 참여하였다
 
|-
 
|-
| [[비격진천뢰]] || ~에서 사용되었다 || [[진주성싸움]]
+
|}
 +
 
 +
===공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질려포통]] ||  ~에서 사용되었다 || [[진주성싸움]]
+
|35.1880365||128.0744779|| [[진주성]][[진주전투]]가 발발한 곳이다
 
|}
 
|}
 +
 +
*'''임진왜란 3대첩'''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 Map "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oogle/GoogleMapsKML.htm?kml=https://dh.aks.ac.kr/Encyves/Map/C026/C026.kml"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관련 민족기록화===
 +
<gallery mode=packed caption="조선시대 전쟁 소재 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파일:김태-육진개척(김종서)-1975s.jpg|[[김태-육진개척]]
 +
파일:박석호-추풍령싸움(정기룡)-1975s.jpg|1592년 4월 27일 [[박석호-추풍령싸움]]
 +
파일:김태-정암진싸움(곽재우)-1976s.jpg|1592년 5월 [[김태-홍의장군 곽재우]]
 +
파일:오승우-행주대첩(권율)-1975s.jpg|1592년 7월 [[오승우-행주대첩]]
 +
파일:김형구-한산대첩(이순신)-1975s.jpg|1592년 7월 8일 [[김형구-한산대첩]]
 +
파일:박서보-왜장감화(사명당)-1976s.jpg|1592년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
파일:정창섭-금산전투(조선)-1976s.jpg|1592년 8월 18일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
파일:박항섭-연안성싸움(이정암)-1975s.jpg|1592년 8월 28일-8월 31일 [[박항섭-연안성싸움]]
 +
파일:김기창-명량대첩(이순신)-1975s.jpg|1597년 9월 16일 [[김기창-명량대첩]]
 +
파일:강대운-진주성싸움(김시민)-1975s.jpg|1592년 10월 [[강대운-진주성싸움]]
 +
파일:박광진-승군(서산대사)-1976s.jpg|1593년 2월 6일-2월 9일[[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
</gallery>
 +
 +
=='''시각자료'''==
 +
===가상현실===
 +
<html>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2016-1203/pavilion" frameborder="0" scrolling="no"></iframe>
 +
</html><br/>
 +
{{clickable button|[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2016-1203/pavilion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
 +
===갤러리===
 +
 +
===영상===
 +
*'''[국립진주박물관] [http://jinju.museum.go.kr/html/kr/exhibition/exhibition_04.html 진주대첩]'''
 +
<html>
 +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jinju.museum.go.kr/html/kr/movie/mov1.html"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NATV]국회방송 한국의 정신 충의로 나라를 구한 진주성 전투의 영웅 충무공 김시민(게시일: 2015년 2월 23일)'''
 +
<html>
 +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IpAa2LcK51A"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주석'''==
 +
<references/>
 +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단행본
 +
#* 대한민국국회의원동우회, 『민족기록화 전승편』, 민족정신선양회, 1981.
 +
#논문
 +
#* 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 웹 자원
 +
#* 김석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4918 진주전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https://ko.wikipedia.org/wiki/%EC%A7%84%EC%A3%BC%EC%84%B1_%EC%A0%84%ED%88%AC 진주성 전투]",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https://namu.wiki/w/%EC%A7%84%EC%A3%BC%20%EB%8C%80%EC%B2%A9#s-4.5 진주 대첩]", <html><online style="color:purple">『나무위키』<sup>online</sup></online></html>.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문헌]]

2024년 3월 14일 (목) 14:11 기준 최신판



진주성싸움
강대운-진주성싸움(김시민)-1975s.jpg
작가 강대운
제작연도 1975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전쟁
분류 유화
소장처 미상


정의

1592년(조선 선조 25), 진주목사 김시민 장군의 지휘하에 관군과 백성들이 진주성을 공격하던 왜군을 격파한 장면을 담은 강대운의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작품 소재

민족기록화 인덱스맵 강대운-진주성싸움(김시민)-1975s.jpg

작품의 소재인 1차 진주전투는 1592년 11월 9일부터 11월 14일까지 이어졌는데, 해당 작품은 11월 12일의 전투 모습을 묘사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닷새 전 11월 7일부터, 왜군은 군사 3만 명으로 진주성을 포위하였다. 11월 12일, 왜군은 2대로 나누어 1대는 진주성 북문 밖으로 쳐들어오고, 1대는 진주성 동문을 공격해 왔다. 이에 대항하여 조선군은 성문을 굳게 닫고 왜군의 공격을 효율적으로 막아내는 방어 전술을 펼쳤다. 일반 백성들이 모인 의병 10,000명 정도를 제외하고 훈련된 조선군 군사는 3,800명에 불과했다.

작품 왼편에 그려진 진주성 동문앞에는 대나무로 만든 사다리를 사용하여 성안으로 진입하려는 적의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왜군에 대항하여 김시민(金時敏, 1554~1592)은 군사들에게 화약을 장치한 대기전(大岐箭)을 쏘게하여 성벽을 기어오르는 적의 대나무 사다리를 파괴하고, 비격진천뢰(飛擊震天雷), 질려포통(黎藜砲筒) 같은 화기(火器)를 동원하는 한편, 백성들은 마른 갈대에 화약을 싸서 던지거나 끓는 물과 큰 돌을 던지면서 적의 공격을 막았는데, 이 또한 작품에서 살펴볼 수 있다.
또한 작품 중앙에 그려진 진주성 북문 앞에는 적군 기병 1,000여 명이 대나무로 엮은 나무방패를 들고, 조총을 난사하며 돌진하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김시민 장군은 백성들에게 군복을 입히고 군기(軍旗)를 여럿 세워 병력을 많아 보이게 하는 심리전을 걸었는데, 작품에서도 성안에 ①②③ 노랑, 파랑, 적색의 수많은 용대기들이 나부끼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작품 하단의 중앙에는 ⑤ 일본의 전통 투구인 가부토를 쓴 왜장이 한손에 흰 빛의 일본도를 치켜 들고 있다.

작품 배경

작품의 배경은 진주성으로, 작품 중앙에는 진주성 북문이, 작품 왼편에 ① 진주성 동문이 그려져 있다. 진주성 남쪽으로는 남강이 흐르는데, 이는 작품 상단 왼쪽 끝에 칠해진 푸른 색 물결로 묘사되어 있다.

작품 구도

일반적인 민족기록화는 주요 장수나 아군을 중앙에 배치하여 중심으로 삼고 아군의 시점에서 적군의 공격을 막아내거나 추격하는 구도로 그려져 있다. 그러나 이 작품의 경우 화폭을 상하로 이등분하여 작품 하단에 적군을 배치하는 원근감을 이용하였다.
다른 작품들과 달리 전경과 중경을 격퇴당하는 적군의 모습으로 가득 채우고 이를 검은 색의 거친 윤곽선과 전체적인 붉은 톤으로 묘사함으로써 보는 이의 긴장감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러나 널려있는 적군의 시체, 총포의 폭음과 인마(人馬)의 절규로 가득한 아비규환의 상황은 잔혹한 죽음에 대한 보편적인 반감(反感)이나 비애가 아니라 거꾸로 적의 파멸을 통한 아군의 승리를 강하게 전달한다.[1]

그림 읽기

  • 국가기록원 기록에 따르면 이 작품은 1991년 11월 30일부터 1992년 11월 29일까지 육군 제5897부대에 대여되었습니다.
  •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진주성강대운 「진주성싸움」 1975
이 그림에 대한 정보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강대운-진주성싸움 강대운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강대운-진주성싸움 1차 진주전투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강대운-진주성싸움 진주성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A ekc:depicts B
민족기록화로 살펴보는 임진왜란 3대 대첩 강대운-진주성싸움 A는 B를 포함하는 기획기사이다 A dcterms:hasPart B
진주전투 1차 진주전투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진주전투 2차 진주전투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진주전투 진주성 A는 B에서 일어났다 A edm:happenedAt B
김시민 1차 진주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김성일 1차 진주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이황 김성일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곽재우 1차 진주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곽재우 정암진싸움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정기룡 1차 진주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정기룡 추풍령 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최경회 1차 진주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최경회 논개 A는 B의 남편이다 A ekc:hasWife B
논개 2차 진주전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대기전 1차 진주전투 A는 B에 사용되었다 A ekc:isUsedIn B
비격진천뢰 1차 진주전투 A는 B에 사용되었다 A ekc:isUsedIn B
질려포통 1차 진주전투 A는 B에 사용되었다 A ekc:isUsedIn B
임진왜란 3대 대첩 진주전투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임진왜란 3대 대첩 한산대첩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임진왜란 3대 대첩 행주대첩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5년 강대운강대운-진주성싸움을 그렸다
1991년 11월 30일-1992년 11월 29일 강대운-진주성싸움이 육군 제5897부대에 대여되었다
1592년 11월 8일-14일 김시민1차 진주전투에 참여하였다
1592년 11월 8일-14일 김성일1차 진주전투에 참여하였다
1592년 11월 8일-14일 곽재우1차 진주전투에 참여하였다
1592년 11월 8일-14일 정기룡1차 진주전투에 참여하였다
1592년 11월 8일-14일 최경회1차 진주전투에 참여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5.1880365 128.0744779 진주성진주전투가 발발한 곳이다
  • 임진왜란 3대첩

관련 민족기록화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갤러리

영상

  • [NATV]국회방송 한국의 정신 충의로 나라를 구한 진주성 전투의 영웅 충무공 김시민(게시일: 2015년 2월 23일)

주석

  1. 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92-93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단행본
    • 대한민국국회의원동우회, 『민족기록화 전승편』, 민족정신선양회, 1981.
  2. 논문
    • 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3. 웹 자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