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내용)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34번째 줄: 34번째 줄:
  
 
=='''내용'''==
 
=='''내용'''==
1347년([[고려 충목왕|충목왕]] 3) 15세의 나이로 과거에 합격해 사람들을 놀라게 하였다. [[고려 충정왕|충정왕]] 때 정방(政房: 고려 무신정권기에 최우가 자기 집에 설치하여 인사행정을 취급한 기관)의 필도치(必闍赤: 서기 일을 맡은 관원)에 임명되었으며, 왕이 왕위를 내놓고 강화로 쫓겨날 때 시종해 따라갔다. 1361년 [[홍건적의 난|홍건적의 침입]]으로 왕이 안동으로 피난할 때 호종했다. 1365년 [[신돈|신돈(辛旽)]]이 집권하자, 왕에게 [[신돈]]이 바른 사람이 아니라며 멀리할 것을 아뢰었다가 예의판서(禮儀判書)로 밀려난 다음 곧 관직에서 물러났다. 1371년 [[신돈]]이 주살되자 왕이 다시 불러 이부상서(吏部尙書)·수문전학사(修文殿學士)로 발탁했으며, 곧 승선(承宣: 왕명의 출납을 관장한 관직)에 임명됨으로써 전선(銓選: 인사행정)을 관장하게 되었다. [[고려 공민왕|공민왕]] 시해에 관여한 [[한안|한안(韓安)]]의 친척이라는 이유로 일시 유배되었으며, 1378년 돌아와 상당군(上黨君)에 봉해지고 수충찬화공신(輸忠贊化功臣)이 되었다. 이어 청성군(淸城君)에 개봉(改封)되고 1383년 판후덕부사(判厚德府事)에 이르렀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61351&cid=40942&categoryId=33382 한수]",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1347년([[고려 충목왕|충목왕]] 3) 15세의 나이로 과거에 합격해 사람들을 놀라게 하였다. [[고려 충정왕|충정왕]] 때 정방(政房: 고려 무신정권기에 최우가 자기 집에 설치하여 인사행정을 취급한 기관)의 필도치(必闍赤: 서기 일을 맡은 관원)에 임명되었으며, 왕이 왕위를 내놓고 강화로 쫓겨날 때 시종해 따라갔다. 1361년 [[홍건적의 난|홍건적의 침입]]으로 왕이 안동으로 피난할 때 호종(護從)<ref>보호하며
 +
따라감. 또는 그런 사람</ref>했다. 1365년 [[신돈|신돈(辛旽)]]이 집권하자, 왕에게 [[신돈]]이 바른 사람이 아니라며 멀리할 것을 아뢰었다가 예의판서(禮儀判書)<ref>고려 시대에 둔 예의사의 으뜸 벼슬</ref>로 밀려난 다음 곧 관직에서 물러났다. 1371년 [[신돈]]이 주살되자 왕이 다시 불러 이부상서(吏部尙書)<ref>고려 시대에 둔 이부(吏部)의 으뜸 벼슬</ref>·수문전학사(修文殿學士)<ref>고려 초 문신
 +
가운데 학식과 재능이 뛰어난 자를 선발하여 역대의 뭄ㄴ서를 관리하며 경전을 강론하는 일을 담당하는 관리</ref>로 발탁했으며, 곧 승선(承宣: 왕명의 출납을 관장한 관직)에 임명됨으로써 전선(銓選: 인사행정)을 관장하게 되었다. [[고려 공민왕|공민왕]] 시해에 관여한 [[한안|한안(韓安)]]의 친척이라는 이유로 일시 유배되었으며, 1378년 돌아와 상당군(上黨君)에 봉해지고 수충찬화공신(輸忠贊化功臣)이 되었다. 이어 청성군(淸城君)에 개봉(改封)되고 1383년 판후덕부사(判厚德府事)에 이르렀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61351&cid=40942&categoryId=33382 한수]",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이색|이색(李穡)]]과는 일찍부터 교분이 깊었고, 또한『[[유항집|유항집(柳巷集)]]』이라는 시집을 남겼다고 한다.『[[동문선|동문선(東文選)]]』에 「영모정행(永慕亭行)」등 시 여러 수가 수록되어 있고, 그 밖의 책에서도 그의 시문을 확인할 수 있다.<ref>윤용혁,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1774 한수]",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교열|상당군(上黨君), 청성군(淸城君), 개봉(改封)|뜻 풀이 추가 필요|정주영}}
 +
 
 +
[[이색|이색(李穡)]]과는 일찍부터 교분이 깊었고, 또한 『[[유항집|유항집(柳巷集)]]』이라는 시집을 남겼다고 한다. 『[[동문선|동문선(東文選)]]』에 「영모정행(永慕亭行)」등 시 여러 수가 수록되어 있고, 그 밖의 책에서도 그의 시문을 확인할 수 있다.<ref>윤용혁,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1774 한수]",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비문의 서자===
 +
한수(韓脩)는 [[초서|초서(草書)]]와 [[예서|예서(隸書)]]에 능하여 당대의 명필로 이름이 있었다. 관련 비문으로는 노국대장공주묘비(魯國大長公主墓碑)<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33491&cid=46621&categoryId=46621 노국대장공주]",<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sup>online</sup></online></html>,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양주 회암사 지공선사부도비|회암사지공대사탑비(檜巖寺指空大師塔碑)]],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여주 신륵사보제선사사리석종비(神勒寺普濟禪師舍利石鍾碑)]],<ref>이응백, 김원경, 김선풍,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90582&cid=41708&categoryId=41711 한수]", 국어국문학자료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광통보제선사비|광통보제선사비(廣通普濟禪寺碑)]] 등이 있다.
  
 
=='''지식관계망'''==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와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D005/stele_hyeguen_silleuksa-hoeamsaji.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 || [[한수]]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A ekc:calligrapher B
 +
|-
 +
| [[광통보제선사비]] || [[한수]]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A ekc:calligrapher B
 +
|-
 +
| [[양주 회암사 지공선사부도비]] || [[한수]]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A ekc:calligrapher B
 +
|-
 +
| [[한수]] || [[이색]]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
  
 
=='''주석'''==
 
=='''주석'''==
45번째 줄: 71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
*윤용혁,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1774 한수]",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이응백, 김원경, 김선풍,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90582&cid=41708&categoryId=41711 한수]", 국어국문학자료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61351&cid=40942&categoryId=33382 한수]",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인물]]
 
[[분류:인물]]
 +
[[분류:승탑/교열완료]]

2018년 8월 10일 (금) 12:41 기준 최신판

한수(韓脩)
대표명칭 한수
한자표기 韓脩
생몰년 1333년-1384년
본관 청주(淸州)
시호 문경(文敬)
유항(柳巷
맹운(孟雲)
시대 고려
대표저서 유항집(柳巷集)



정의

고려 말의 문신.

내용

1347년(충목왕 3) 15세의 나이로 과거에 합격해 사람들을 놀라게 하였다. 충정왕 때 정방(政房: 고려 무신정권기에 최우가 자기 집에 설치하여 인사행정을 취급한 기관)의 필도치(必闍赤: 서기 일을 맡은 관원)에 임명되었으며, 왕이 왕위를 내놓고 강화로 쫓겨날 때 시종해 따라갔다. 1361년 홍건적의 침입으로 왕이 안동으로 피난할 때 호종(護從)[1]했다. 1365년 신돈(辛旽)이 집권하자, 왕에게 신돈이 바른 사람이 아니라며 멀리할 것을 아뢰었다가 예의판서(禮儀判書)[2]로 밀려난 다음 곧 관직에서 물러났다. 1371년 신돈이 주살되자 왕이 다시 불러 이부상서(吏部尙書)[3]·수문전학사(修文殿學士)[4]로 발탁했으며, 곧 승선(承宣: 왕명의 출납을 관장한 관직)에 임명됨으로써 전선(銓選: 인사행정)을 관장하게 되었다. 공민왕 시해에 관여한 한안(韓安)의 친척이라는 이유로 일시 유배되었으며, 1378년 돌아와 상당군(上黨君)에 봉해지고 수충찬화공신(輸忠贊化功臣)이 되었다. 이어 청성군(淸城君)에 개봉(改封)되고 1383년 판후덕부사(判厚德府事)에 이르렀다.[5]


상당군(上黨君), 청성군(淸城君), 개봉(改封)뜻 풀이 추가 필요 (정주영)



이색(李穡)과는 일찍부터 교분이 깊었고, 또한 『유항집(柳巷集)』이라는 시집을 남겼다고 한다. 『동문선(東文選)』에 「영모정행(永慕亭行)」등 시 여러 수가 수록되어 있고, 그 밖의 책에서도 그의 시문을 확인할 수 있다.[6]

비문의 서자

한수(韓脩)는 초서(草書)예서(隸書)에 능하여 당대의 명필로 이름이 있었다. 관련 비문으로는 노국대장공주묘비(魯國大長公主墓碑)[7] , 회암사지공대사탑비(檜巖寺指空大師塔碑), 여주 신륵사보제선사사리석종비(神勒寺普濟禪師舍利石鍾碑),[8] 광통보제선사비(廣通普濟禪寺碑) 등이 있다.

지식관계망

  •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와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 한수 A는 B가 비문을 썼다 A ekc:calligrapher B
광통보제선사비 한수 A는 B가 비문을 썼다 A ekc:calligrapher B
양주 회암사 지공선사부도비 한수 A는 B가 비문을 썼다 A ekc:calligrapher B
한수 이색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주석

  1. 보호하며 따라감. 또는 그런 사람
  2. 고려 시대에 둔 예의사의 으뜸 벼슬
  3. 고려 시대에 둔 이부(吏部)의 으뜸 벼슬
  4. 고려 초 문신 가운데 학식과 재능이 뛰어난 자를 선발하여 역대의 뭄ㄴ서를 관리하며 경전을 강론하는 일을 담당하는 관리
  5. "한수",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6. 윤용혁, "한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7. "노국대장공주",『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한국학중앙연구원.
  8. 이응백, 김원경, 김선풍,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한수", 국어국문학자료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참고문헌

  • 윤용혁, "한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이응백, 김원경, 김선풍,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한수", 국어국문학자료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한수",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