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당매물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인용 및 참조) |
(→참고문헌)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0번째 줄: | 10번째 줄: | ||
}} | }} | ||
=='''정의'''== | =='''정의'''== | ||
− | 신라 | + | 신라 말기 청해진대사(淸海鎭大使) 장보고(張保皐)가 당(唐)에 파견한 무역사절. |
− | ==''' | + | =='''내용'''== |
− | 828년(흥덕왕 3) 당에서 귀국한 [[장보고]]는 서남해안에 출몰하는 해적을 소탕하기 위하여 지금의 전라남도 완도에 [[청해진]](淸海鎭)을 설치하고, 이 곳을 거점으로 신라·당나라·일본의 세 나라를 연결하는 무역에 종사하였다. | + | 828년(신라 흥덕왕 3) 당에서 귀국한 [[장보고]]는 서남해안에 출몰하는 해적을 소탕하기 위하여 지금의 전라남도 완도에 [[청해진]](淸海鎭)을 설치하고, 이 곳을 거점으로 신라·당나라·일본의 세 나라를 연결하는 무역에 종사하였다. 780년(선덕왕 2) 10월부터 사무역이 일체 금지되었기 때문에, 장보고는 당에 견당매물사(遣唐買物使)를 파견해 이들로 하여금 무역선인 교관선(交關船)을 인솔하게 하였다.<br/> |
− | 일본의 승려인 원인(圓仁: | + | 일본의 승려인 원인(圓仁: 엔닌)의 『입당구법순례행기(入唐求法巡禮行記)』에 '견당매물사 최병마사(崔兵馬使)가 839년(신무왕 1) 6월 27일 적산포(赤山浦)에 교관선(交關船) 두 척을 이끌고 도착하였다'는 기록이 있다.<br/> |
{{Blockquote| (6월) 27일 | {{Blockquote| (6월) 27일 | ||
들으니 장대사(張大使)의 교관선(交關船) 2척이 단산포(旦山浦)에 도착했다고 한다. (廿七日. 聞, 張大使灾校勘 關舩二隻到旦山浦) | 들으니 장대사(張大使)의 교관선(交關船) 2척이 단산포(旦山浦)에 도착했다고 한다. (廿七日. 聞, 張大使灾校勘 關舩二隻到旦山浦) | ||
|출처="[http://db.history.go.kr/item/level.do?setId=6&itemId=ds&synonym=off&chinessChar=on&position=1&levelId=ds_002r_0010_0030_0140 입당구법순례행기 권 제2 개성4년(開成四年) 6월27일]",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데이타베이스』, <sup>online</sup></online></html>국사편찬위원회.}}<br/> | |출처="[http://db.history.go.kr/item/level.do?setId=6&itemId=ds&synonym=off&chinessChar=on&position=1&levelId=ds_002r_0010_0030_0140 입당구법순례행기 권 제2 개성4년(開成四年) 6월27일]",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데이타베이스』, <sup>online</sup></online></html>국사편찬위원회.}}<br/> | ||
− | 다음 날에는 신무왕(神武王)을 책봉하기 위하여 당나라의 사신 청주병마사 오자진(吳子陳) 등 30여명을 법화원(法華院)에서 만나는 한편 산동(山東)의 유산포(乳山浦)와 하남(河南)의 양주(揚州)를 내왕하며 무역에 종사하였던 | + | 다음 날에는 신라 신무왕(神武王)을 책봉하기 위하여 당나라의 사신 청주병마사 오자진(吳子陳) 등 30여명을 법화원(法華院)에서 만나는 한편 산동(山東)의 유산포(乳山浦)와 하남(河南)의 양주(揚州)를 내왕하며 무역에 종사하였던 사실도 적혀 있다. |
{{Blockquote|(6월) 28일 | {{Blockquote|(6월) 28일 | ||
당나라 천자가 새로 즉위한 왕을 위문하기 위해 신라로 보내는 사신인 청주병마사(靑州兵馬使) 오자진(吳子陳)과 최부사(崔副使) 그리고 왕판관(王判官) 등 30여 명이 절로 올라왔으므로 만나보았다. 밤에 장보고가 보낸 대당매물사(大唐賣物使) 최병마사(崔兵馬使)가 절에 와서 위문하였다.<br/> | 당나라 천자가 새로 즉위한 왕을 위문하기 위해 신라로 보내는 사신인 청주병마사(靑州兵馬使) 오자진(吳子陳)과 최부사(崔副使) 그리고 왕판관(王判官) 등 30여 명이 절로 올라왔으므로 만나보았다. 밤에 장보고가 보낸 대당매물사(大唐賣物使) 최병마사(崔兵馬使)가 절에 와서 위문하였다.<br/> | ||
25번째 줄: | 25번째 줄: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10/C010.htm "장보고의 해상활동"(박광진) 지식관계망] | |
<html> | <html>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36번째 줄: | 36번째 줄: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장보고]] || [[견당매물사]] || A는 | + | | [[장보고]] || [[견당매물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63번째 줄: | 63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인용 및 참조=== | ===인용 및 참조=== | ||
− | # | + | #웹 자원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2150 견당매물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2150 견당매물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46513 견당매물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46513 견당매물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
#* 『[http://db.history.go.kr/item/level.do?itemId=ds 입당구법순례행기]』<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 | #* 『[http://db.history.go.kr/item/level.do?itemId=ds 입당구법순례행기]』<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 |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개념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개념]] |
2017년 12월 27일 (수) 00:40 기준 최신판
견당매물사 (遣唐買物使) |
|
대표명칭 | 견당매물사 |
---|---|
한자표기 | 遣唐買物使 |
유형 | 제도 |
관련개념 | 회역사 |
목차
정의
신라 말기 청해진대사(淸海鎭大使) 장보고(張保皐)가 당(唐)에 파견한 무역사절.
내용
828년(신라 흥덕왕 3) 당에서 귀국한 장보고는 서남해안에 출몰하는 해적을 소탕하기 위하여 지금의 전라남도 완도에 청해진(淸海鎭)을 설치하고, 이 곳을 거점으로 신라·당나라·일본의 세 나라를 연결하는 무역에 종사하였다. 780년(선덕왕 2) 10월부터 사무역이 일체 금지되었기 때문에, 장보고는 당에 견당매물사(遣唐買物使)를 파견해 이들로 하여금 무역선인 교관선(交關船)을 인솔하게 하였다.
일본의 승려인 원인(圓仁: 엔닌)의 『입당구법순례행기(入唐求法巡禮行記)』에 '견당매물사 최병마사(崔兵馬使)가 839년(신무왕 1) 6월 27일 적산포(赤山浦)에 교관선(交關船) 두 척을 이끌고 도착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6월) 27일
들으니 장대사(張大使)의 교관선(交關船) 2척이 단산포(旦山浦)에 도착했다고 한다. (廿七日. 聞, 張大使灾校勘 關舩二隻到旦山浦) |
||
출처: "입당구법순례행기 권 제2 개성4년(開成四年) 6월27일", |
다음 날에는 신라 신무왕(神武王)을 책봉하기 위하여 당나라의 사신 청주병마사 오자진(吳子陳) 등 30여명을 법화원(法華院)에서 만나는 한편 산동(山東)의 유산포(乳山浦)와 하남(河南)의 양주(揚州)를 내왕하며 무역에 종사하였던 사실도 적혀 있다.
(6월) 28일
당나라 천자가 새로 즉위한 왕을 위문하기 위해 신라로 보내는 사신인 청주병마사(靑州兵馬使) 오자진(吳子陳)과 최부사(崔副使) 그리고 왕판관(王判官) 등 30여 명이 절로 올라왔으므로 만나보았다. 밤에 장보고가 보낸 대당매물사(大唐賣物使) 최병마사(崔兵馬使)가 절에 와서 위문하였다. |
||
출처: "입당구법순례행기 권 제2 개성4년(開成四年) 6월28일", |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장보고 | 견당매물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828년 | 장보고가 청해진을 설치하였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4.358858 | 126.735127 | 완도 청해진 유적은 전라남도 완도군 완도읍 장좌리에 위치한다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