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개토대왕릉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참고문헌)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유물유적정보 | {{유물유적정보 | ||
|사진=민족기록화_유물_광개토대왕비_01.jpg | |사진=민족기록화_유물_광개토대왕비_01.jpg | ||
− | |사진출처=서영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5058 광개토왕릉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 | + | |사진출처=서영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5058 광개토왕릉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대표명칭=광개토대왕릉비 | |대표명칭=광개토대왕릉비 | ||
|한자표기=廣開土大王陵碑 | |한자표기=廣開土大王陵碑 | ||
14번째 줄: | 14번째 줄: | ||
|위도= 41.145064 | |위도= 41.145064 | ||
|수량= | |수량= | ||
− | |관련인물= | + | |관련인물=[고구려 광개토대왕], |
|관련단체= | |관련단체= | ||
|관련장소= | |관련장소= | ||
21번째 줄: | 21번째 줄: | ||
}} | }} | ||
=='''정의'''== | =='''정의'''== | ||
− | 고구려 제19대 | + | 고구려 제19대 [[고구려 광개토대왕 | 광개토대왕]](廣開土大王)의 훈적을 기념하기 위하여 아들인 [[고구려 장수왕 | 장수왕]]이 414년에 세운 돌비석(石碑)이다. |
+ | =='''내용'''== | ||
===비석의 형태=== | ===비석의 형태=== | ||
− | 비는 각력응회암(角礫凝灰岩)을 사각형의 기둥 형태로 다듬은 긴 바위 모습으로 | + | 비는 각력응회암(角礫凝灰岩)을 사각형의 기둥 형태로 다듬은 긴 바위 모습으로 자연석의 느낌이 강하다. 높이는 6.39m로 한국 최대의 크기이며 하부에는 길이 3.35m, 너비 2.7m, 두께 0.2m 가량의 화강암 대석을 설치하고 홈을 파 비신을 세웠다.<br/> |
− | 1면 11행, 2면 10행, 3면 14행, 4면 9행 총 44행으로 이루어져 있고 | + | 비의 사면마다 모두 글자가 새겨져 있고, 글자를 균등한 간격으로 새기기 위해 바둑판처럼 가는 선을 가로세로로 그어 공간을 구획하였다. 1면 11행, 2면 10행, 3면 14행, 4면 9행 총 44행으로 이루어져 있고 네 면에 걸쳐 1,775자가 새겨져 있는 것으로 통상 알려져 있다. |
− | |||
− | |||
===비의 건립과 발견=== | ===비의 건립과 발견=== | ||
− | 비는 [[고구려 광개토대왕]]이 사망한 3년 후 아들 장수왕 3년(414년) 9월에 부왕의 능과 함께 건립되었다. 비는 고구려의 멸망과 더불어 | + | 비는 [[고구려 광개토대왕]]이 사망한 3년 후 아들 장수왕 3년(414년) 9월에 부왕의 능과 함께 건립되었다. 비는 고구려의 멸망과 더불어 잊혔다가 1880년을 전후하여 밭을 개간하던 청나라 농부가 발견하였다.<br/> |
− | + | 그런데 비의 탁본을 뜨기 위해 비에 낀 이끼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비의 몸에 균열이 가고 일부 표면이 터져 나가는 등 심각한 손상이 발생하였다. | |
− | 그런데 비의 탁본을 뜨기 위해 비에 낀 이끼를 제거하는 | ||
===비문의 내용=== | ===비문의 내용=== | ||
− | 비문의 내용은 세 부분으로 | + | 비문의 내용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첫째는 고구려의 건국신화와 추모왕(鄒牟王),유류왕(儒留王), 대주류왕(大朱留王) 등의 세계(世系), 광개토대왕의 약력 및 비의 건립경위를 새긴 것이다. 둘째는 광개토대왕 때 이루어진 정복활동과 영토관리에 대한 내용들을 연대순으로 기록하였다.<br/> |
− | + | 마지막에는 능을 관리하는 수묘인(守墓人) 연호(煙戶)의 명단과 수묘지침 및 수묘인 관리규정이 기술되어 있다. | |
− | |||
− | |||
===연구와 쟁점=== | ===연구와 쟁점=== | ||
− | 비문의 내용 | + | 비문의 내용 중 끊임없이 논쟁을 불러일으킨 것은 신묘년 기사(辛卯年記事)로 「百殘新羅舊是屬民由來朝貢而倭以辛卯年來渡海破百殘○○新羅以爲臣民」이라는 부분이다. 일본인들은 이 부분을 일본서기에 나오는 임나일본부와 연결하여 4세기 일본이 한반도 남부에 식민지를 건설했다는 증거로 삼고 있다. 그러나 국내 학계에서는 이러한 주장에 대해 해석상의 문제와 일본제국군 참모본부의 위작설 등을 주장하여 반박하고 있다.<br/> |
− | + | 광개토대왕릉비는 내용 그 자체로 중요한 역사적 사실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서예사나 한문학적인 측면에서도 커다란 가치를 가지고 있다. | |
− | |||
− | |||
− | |||
− | == | + | =='''지식 관계망'''== |
−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02/C002.htm "광개토대왕의 영토 확장"(이종상) 지식관계망] | |
− | + | <html> | |
− |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02/C002.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관련항목== | + | ===관련항목===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광개토대왕릉비]] || [[고구려 장수왕]] || A는 | + | | [[광개토대왕릉비]] || [[고구려 장수왕]] || A는 B에 의해 건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 | |- | ||
| [[광개토대왕릉비]] || [[고구려 광개토대왕]]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광개토대왕릉비]] || [[고구려 광개토대왕]]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65번째 줄: | 61번째 줄: | ||
|} | |} | ||
− | ==시간정보== | + | ===시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
|- | |- | ||
− | |414년 || [[장수왕]]이 [[광개토대왕릉비]]를 건립하였다 | + | |414년 || [[고구려 장수왕]]이 [[광개토대왕릉비]]를 건립하였다 |
|- | |- | ||
|1877년 || [[관월산]]이 [[광개토대왕릉비]]를 발견하였다 | |1877년 || [[관월산]]이 [[광개토대왕릉비]]를 발견하였다 | ||
|} | |} | ||
− | ==공간정보== | + | ===공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82번째 줄: | 78번째 줄: | ||
|41.147789 || 126.220288 || [[태왕릉]]은 중국 지린성 지안현 [[퉁거우]]에 있다 | |41.147789 || 126.220288 || [[태왕릉]]은 중국 지린성 지안현 [[퉁거우]]에 있다 | ||
|} | |} | ||
+ | |||
+ | =='''시각자료'''== | ||
+ | ===갤러리=== | ||
+ | ===영상=== | ||
+ | * Seripro, [https://www.youtube.com/embed/7smv-FtDzks (고대사 숨은 이야기) 광개토대왕비의 비밀①], ''YouTube'', 작성일: 2016년 10월 11일. | ||
+ | <html> | ||
+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7smv-FtDzks"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 | =='''주석'''== | ||
+ | <references/>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인용 및 참조=== | ===인용 및 참조=== | ||
− | # | + | #웹 자원 |
#* 서영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5058 광개토왕릉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서영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5058 광개토왕릉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28086 광개토대왕릉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28086 광개토대왕릉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
#*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R0003 광개토왕릉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 | #*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R0003 광개토왕릉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 | ||
+ | #* 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18260&cid=42957&categoryId=42957 광개토대왕비]", 한국고중세사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 |||
===더 읽을거리=== | ===더 읽을거리=== | ||
# 단행본 | # 단행본 |
2017년 12월 27일 (수) 00:02 기준 최신판
광개토대왕릉비 (廣開土大王陵碑) |
|
대표명칭 | 광개토대왕릉비 |
---|---|
한자표기 | 廣開土大王陵碑 |
유형 | 유물 |
시대 | 삼국 |
소장처 | 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 지안시 태왕진 |
관련인물 | [고구려 광개토대왕], |
|
목차
정의
고구려 제19대 광개토대왕(廣開土大王)의 훈적을 기념하기 위하여 아들인 장수왕이 414년에 세운 돌비석(石碑)이다.
내용
비석의 형태
비는 각력응회암(角礫凝灰岩)을 사각형의 기둥 형태로 다듬은 긴 바위 모습으로 자연석의 느낌이 강하다. 높이는 6.39m로 한국 최대의 크기이며 하부에는 길이 3.35m, 너비 2.7m, 두께 0.2m 가량의 화강암 대석을 설치하고 홈을 파 비신을 세웠다.
비의 사면마다 모두 글자가 새겨져 있고, 글자를 균등한 간격으로 새기기 위해 바둑판처럼 가는 선을 가로세로로 그어 공간을 구획하였다. 1면 11행, 2면 10행, 3면 14행, 4면 9행 총 44행으로 이루어져 있고 네 면에 걸쳐 1,775자가 새겨져 있는 것으로 통상 알려져 있다.
비의 건립과 발견
비는 고구려 광개토대왕이 사망한 3년 후 아들 장수왕 3년(414년) 9월에 부왕의 능과 함께 건립되었다. 비는 고구려의 멸망과 더불어 잊혔다가 1880년을 전후하여 밭을 개간하던 청나라 농부가 발견하였다.
그런데 비의 탁본을 뜨기 위해 비에 낀 이끼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비의 몸에 균열이 가고 일부 표면이 터져 나가는 등 심각한 손상이 발생하였다.
비문의 내용
비문의 내용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첫째는 고구려의 건국신화와 추모왕(鄒牟王),유류왕(儒留王), 대주류왕(大朱留王) 등의 세계(世系), 광개토대왕의 약력 및 비의 건립경위를 새긴 것이다. 둘째는 광개토대왕 때 이루어진 정복활동과 영토관리에 대한 내용들을 연대순으로 기록하였다.
마지막에는 능을 관리하는 수묘인(守墓人) 연호(煙戶)의 명단과 수묘지침 및 수묘인 관리규정이 기술되어 있다.
연구와 쟁점
비문의 내용 중 끊임없이 논쟁을 불러일으킨 것은 신묘년 기사(辛卯年記事)로 「百殘新羅舊是屬民由來朝貢而倭以辛卯年來渡海破百殘○○新羅以爲臣民」이라는 부분이다. 일본인들은 이 부분을 일본서기에 나오는 임나일본부와 연결하여 4세기 일본이 한반도 남부에 식민지를 건설했다는 증거로 삼고 있다. 그러나 국내 학계에서는 이러한 주장에 대해 해석상의 문제와 일본제국군 참모본부의 위작설 등을 주장하여 반박하고 있다.
광개토대왕릉비는 내용 그 자체로 중요한 역사적 사실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서예사나 한문학적인 측면에서도 커다란 가치를 가지고 있다.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광개토대왕릉비 | 고구려 장수왕 | A는 B에 의해 건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광개토대왕릉비 | 고구려 광개토대왕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광개토대왕릉비 | 임나일본부설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광개토대왕릉비 | 태왕릉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414년 | 고구려 장수왕이 광개토대왕릉비를 건립하였다 |
1877년 | 관월산이 광개토대왕릉비를 발견하였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41.145080 | 126.214245 | 광개토대왕비는 중국 지린성 지안현 퉁거우에 있다 |
41.147789 | 126.220288 | 태왕릉은 중국 지린성 지안현 퉁거우에 있다 |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 Seripro, (고대사 숨은 이야기) 광개토대왕비의 비밀①, YouTube, 작성일: 2016년 10월 11일.
주석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웹 자원
더 읽을거리
- 단행본
- 이형구·박노희, 『광개토대왕릉비-동북아 시대를 맞아, 우리의 광개토대왕릉비를 말한다』, 새녘, 2014.
- 학술논문
- 서영수, 「광개토대왕비문의 연구사적 검토」,『고구려발해연구』제1권, 고구려발해학회, 1995, 149-183쪽.
- 김영하, 「광개토대왕비의 정복기사해석 : 신묘년기사의 재검토와 관련하여」,『한국고대사연구』제66호, 한국고대사학회, 2012, 209-252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