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개토대왕릉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참고문헌)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유물유적정보
 
{{유물유적정보
 
|사진=민족기록화_유물_광개토대왕비_01.jpg
 
|사진=민족기록화_유물_광개토대왕비_01.jpg
|사진출처=서영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5058 광개토왕릉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사진출처=서영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5058 광개토왕릉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표명칭=광개토대왕릉비
 
|대표명칭=광개토대왕릉비
 
|한자표기=廣開土大王陵碑
 
|한자표기=廣開土大王陵碑
14번째 줄: 14번째 줄:
 
|위도= 41.145064  
 
|위도= 41.145064  
 
|수량=
 
|수량=
|관련인물=
+
|관련인물=[고구려 광개토대왕],
 
|관련단체=
 
|관련단체=
 
|관련장소=
 
|관련장소=
21번째 줄: 21번째 줄:
 
}}
 
}}
 
=='''정의'''==
 
=='''정의'''==
고구려 제19대 광개토왕(廣開土大王)의 훈적을 기념하기 위해 아들인 장수왕이 414년에 세운 돌비석(石碑)이다. 중국 지린성(吉林城) 지안현(集安縣) 퉁거우(通溝) 지역에 있으며, 한국에서는 주로 광개토왕비, 광개토왕릉비 등으로 불리고, 중국에서는 묘호(廟號)인 국강상광개토경평안호태왕(國岡上廣開土境平安好太王)의 마지막 세 글자를 본떠서 호태왕비(好太王)로 불린다. 고구려사뿐 아니라 한국 고대사 최고(最高)의 금석문으로 평가받는다.  
+
고구려 제19대 [[고구려 광개토대왕 | 광개토대왕]](廣開土大王)의 훈적을 기념하기 위하여 아들인 [[고구려 장수왕 | 장수왕]]이 414년에 세운 돌비석(石碑)이다.
  
 +
=='''내용'''==
 
===비석의 형태===
 
===비석의 형태===
비는 각력응회암(角礫凝灰岩)을 사각형의 기둥 형태로 다듬은 긴 바위 모습으로 각 면의 너비나 표면의 굴곡이 고르지 않아 자연석의 느낌이 강하다. 높이는 6.39m로 한국 최대의 크기로 하부에는 길이 3.35m, 너비 2.7m, 두께 0.2m 가량의 화강암 대석을 설치하고 홈을 파 비신을 세웠는데 대석과 비신 일부는 땅속에 묻혀 있다. 비의 사면에는 모두 글자가 새겨져 있고, 글자 간격을 균등하게 새기기 위해 종횡으로 바둑판처럼 가는 선을 그어 공간을 구획하였다.<br/>
+
비는 각력응회암(角礫凝灰岩)을 사각형의 기둥 형태로 다듬은 긴 바위 모습으로 자연석의 느낌이 강하다. 높이는 6.39m로 한국 최대의 크기이며 하부에는 길이 3.35m, 너비 2.7m, 두께 0.2m 가량의 화강암 대석을 설치하고 홈을 파 비신을 세웠다.<br/>
1면 11행, 2면 10행, 3면 14행, 4면 9행 총 44행으로 이루어져 있고, 비신의 형태에 따라 2면의 마지막 두 행과 4면의 첫 번째 행을 제외하고 매행 41자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 네 면에 걸쳐 1,775자가 새겨져 있는 것으로 통상 알려져 있으나, 판독 여부가 불분명한 부분이 있고 비석이 불규칙하여 글자 수 통계에 이론이 있다.<br/>
+
비의 사면마다 모두 글자가 새겨져 있고, 글자를 균등한 간격으로 새기기 위해 바둑판처럼 가는 선을 가로세로로 그어 공간을 구획하였다. 1면 11행, 2면 10행, 3면 14행, 4면 9행 총 44행으로 이루어져 있고 네 면에 걸쳐 1,775자가 새겨져 있는 것으로 통상 알려져 있다.
서체(書體)는 대부분 한대(漢代) 예서(隸書)이고, 글자의 세로 길이는 9~12cm, 가로 너비는 10~12cm이다. 다만 글자의 모양에 따라 획수가 복잡한 경우에는 세로가 긴 장방형(長方形)을 띠기도 한다.<br/>
 
본래 비석만 있었으나, 1928년에 집안현 지사 유천성(劉天成)이 2층형의 소형 보호비각을 세웠고, 다시 1982년 중공 당국이 단층형의 대형 비각을 세워 비를 보호하고 있다.<br/>
 
  
 
===비의 건립과 발견===
 
===비의 건립과 발견===
비는 [[고구려 광개토대왕]]이 사망한 3년 후 아들 장수왕 3년(414년) 9월에 부왕의 능과 함께 건립되었다. 비는 고구려의 멸망과 더불어 잊혀졌다가 19세기 말에 재발견되었다. 비의 존재는 처음으로 기록된 것은 조선 세종 때 편찬된 용비어천가를 비롯한 조선시대의 문헌들이지만, 비가 고구려의 유적으로 인식되었던 것은 아니었으며, 중종 때 심언광이 압록강 일대를 순시하며 쓴 시가 지봉유설(芝峰類說)에 전하는데, 그는 이 비를 여진족 완언(完顔)씨가 세운 금나라 황제의 비로 보았다.<ref>沈彦光滿浦道中望皇帝墓詩曰。完顔古國荒城在。皇帝遺墳巨碣存是也", [http://db.itkc.or.kr/dir/item?itemId=GO#/dir/node?dataId=ITKC_GO_1304A_0210_010_0060 芝峯類說卷十九 宮室部 陵墓]",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고전종합DB』<sup>online</sup></online></html>, 한국고전번역원.
+
비는 [[고구려 광개토대왕]]이 사망한 3년 후 아들 장수왕 3년(414년) 9월에 부왕의 능과 함께 건립되었다. 비는 고구려의 멸망과 더불어 잊혔다가 1880년을 전후하여 밭을 개간하던 청나라 농부가 발견하였다.<br/>
17세기 이후 청(淸)의 봉금정책(封禁政策)으로 이 지역에 사람이 살지 않게 되면서 오랫동안 잊혀져 왔던 비는 청나라가 만주 지역의 봉금(封禁)을 풀고 이 지역에 회인현(懷仁縣)을 설치한 뒤인 1880년을 전후하여 개간에 종사하던 청나라 농부에 의하여 발견되었다. 비를 당시 지사였던 장월(章越)이 관월산(關月山)을 시켜 비를 조사하게 한 뒤 비의 부분적인 탁본이 북경(北京)의 금석학계에 소개됨으로써 비의 실체가 비로소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br/>
+
그런데 비의 탁본을 뜨기 위해 비에 낀 이끼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비의 몸에 균열이 가고 일부 표면이 터져 나가는 등 심각한 손상이 발생하였다.
그런데 비의 탁본을 뜨기 위해 비에 낀 이끼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였다. 비의 표면에 쇠똥을 바르고 마르기를 기다려 불을 지르는 방법으로 이끼를 제거하였는데, 그 과정에서 비의 몸에 균열이 가고 일부 표면이 터져 나가는 등 심각한 손상이 발생하였다.<br/>
 
  
 
===비문의 내용===
 
===비문의 내용===
비문의 내용은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br/>
+
비문의 내용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첫째는 고구려의 건국신화와 추모왕(鄒牟王),유류왕(儒留王), 대주류왕(大朱留王) 등의 세계(世系), 광개토대왕의 약력 및 비의 건립경위를 새긴 것이다. 둘째는 광개토대왕 때 이루어진 정복활동과 영토관리에 대한 내용들을 연대순으로 기록하였다.<br/>
첫째 부분은 서문격으로 제1면 1행에서부터 6행에 걸쳐 고구려의 건국신화와 추모왕(鄒牟王 : 주몽),유류왕(儒留王 : 유리왕), 대주류왕(大朱留王 : 대무신왕) 등의 세계(世系)광개토대왕의 약력 및 비의 건립경위를 기록해 놓았다.  
+
마지막에는 능을 관리하는 수묘인(守墓人) 연호(煙戶)의 명단과 수묘지침 및 수묘인 관리규정이 기술되어 있다.
둘째 부분은 비문의 핵심을 이루는 부분으로 제1면 7행에서부터 3면 8행에 걸쳐 광개토대왕 때 이루어진 정복활동과 영토관리에 대한 내용들을 연대순으로 기록해 놓았다. 비문의 기록에 따르면, 광개토왕은 64개의 성(城)과 1,400개의 촌(村)을 공파(攻破)하였다.  
 
셋째 부분은 제3면 8행에서부터 4면 9행에 걸쳐서 능을 관리하는 수묘인(守墓人) 연호(煙戶)의 명단과 수묘지침 및 수묘인 관리규정이 기술되어 있다.이 부분은 고구려 수묘제(守墓制)의 실상과 함께 수묘인의 신분 등 사회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br/>
 
  
 
===연구와 쟁점===
 
===연구와 쟁점===
비문의 내용 가운데 사람들의 관심을 집중시키고 논쟁을 끊임없이 불러일으킨 것은 둘째 부분의 신묘년 기사(辛卯年記事)이다.<br/>
+
비문의 내용 중 끊임없이 논쟁을 불러일으킨 것은 신묘년 기사(辛卯年記事)로 「百殘新羅舊是屬民由來朝貢而倭以辛卯年來渡海破百殘○○新羅以爲臣民」이라는 부분이다. 일본인들은 부분을 일본서기에 나오는 임나일본부와 연결하여 4세기 일본이 한반도 남부에 식민지를 건설했다는 증거로 삼고 있다. 그러나 국내 학계에서는 이러한 주장에 대해 해석상의 문제와 일본제국군 참모본부의 위작설 등을 주장하여 반박하고 있다.<br/>  
일본은 만주지역의 포병 중위 사쿠오 카게노부(酒句景信)가 1883년에 가져온 쌍구가묵본을 기초로 참모본부에서 비밀리에 해독작업을 거쳐, 1888년에 요코이 다다나오(橫井忠直)가 아세아협회의 기관지인 『회여록(會餘錄)』 제5집에 <고구려고비고(高句麗古碑考)>를 게재함으로써 일반에게 알려졌다. 여기에서 신묘년 기사를 “왜가 바다를 건너와서 백제와 신라 등을 깨고 신민으로 삼았다(倭以辛卯年來渡海破百殘□□□羅以爲臣民 : □는 훼손된 문자 )”고 해석했는데, 이후 신묘년 기사를 4세기 후반 신공황후(神功皇后)가 한반도 남부지역을 정벌했다는 『일본서기(日本書記)』의 '임나일본부설(任那日本府說)'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간주했다.<br/>
+
광개토대왕릉비는 내용 그 자체로 중요한 역사적 사실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서예사나 한문학적인 측면에서도 커다란 가치를 가지고 있다.
한국에서는 민족주의사학자 정인보가 1930년대 말에 저술한 「광개토경평안호태왕릉비문석략(廣開土境平安好太王陵碑文釋略)」에서 '도해파(渡海破)'의 주어를 고구려로 보아 "왜가 신묘년에 왔으므로, (고구려/광개토대왕)가 바다를 건너가 왜를 깨뜨리고 백제와 □□ 신라를 신민으로 삼았다"고 해석하여 일본인들과는 다른 견해를 제시하였다.<br/>
 
중국에서는 1984년에는 왕젠췬(王建群)이 초기 중국학계의 연구문헌과 현지조사를 토대로 『호태왕비연구(好太王碑硏究)』를 발표했는데, 그는 이제까지 잘못 읽은 부분은 시정하고 탈락된 문자를 복원했다고 주장하고, 비문의 총 글자를 1,775자로 확정했다. 그는 석회를 바른 부분를 통하여 비문이 변조된 것은 초기 탁본을 뜬 탁공의 역사지식의 무지와 고가매매를 위한 탓으로 돌려, 이진희가 제시한 참모본부를 중심으로 한 일본의 비문변조설을 비판하고 있다.<br/>
 
비의 연구는 문헌사료의 부족이라는 한국고대사가 갖는 일반적 한계와 고구려사연구의 현실적 한계 및 한중일 3국 학계의 처지의 차이에 의하여 방대한 연구결과에도 불구하고 논의는 핵심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시각자료==
+
=='''지식 관계망'''==
===사진===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02/C002.htm "광개토대왕의 영토 확장"(이종상) 지식관계망]
===영상===
+
<html>
* "[http://clipbank.ebs.co.kr/clip/view?clipId=VOD_20120119_00154 고구려-광개토대왕,장수왕]",<html><online style="color:purple">『EBS클립뱅크』<sup>online</sup></online></html>, EBS.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02/C002.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관련항목==
+
===관련항목===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광개토대왕릉비]] || [[고구려 장수왕]]  || A는 B가 건립하였다 || A ekc:founder B
+
| [[광개토대왕릉비]] || [[고구려 장수왕]]  || A는 B에 의해 건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
 
| [[광개토대왕릉비]] || [[고구려 광개토대왕]]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광개토대왕릉비]] || [[고구려 광개토대왕]]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65번째 줄: 61번째 줄:
 
|}
 
|}
  
==시간정보==
+
===시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
|414년 || [[장수왕]]이 [[광개토대왕릉비]]를 건립하였다
+
|414년 || [[고구려 장수왕]]이 [[광개토대왕릉비]]를 건립하였다
 
|-
 
|-
 
|1877년 || [[관월산]]이 [[광개토대왕릉비]]를 발견하였다
 
|1877년 || [[관월산]]이 [[광개토대왕릉비]]를 발견하였다
 
|}
 
|}
  
==공간정보==
+
===공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82번째 줄: 78번째 줄:
 
|41.147789 || 126.220288 || [[태왕릉]]은 중국 지린성 지안현 [[퉁거우]]에 있다
 
|41.147789 || 126.220288 || [[태왕릉]]은 중국 지린성 지안현 [[퉁거우]]에 있다
 
|}
 
|}
 +
 +
=='''시각자료'''==
 +
===갤러리===
 +
===영상===
 +
* Seripro, [https://www.youtube.com/embed/7smv-FtDzks (고대사 숨은 이야기) 광개토대왕비의 비밀①], ''YouTube'', 작성일: 2016년 10월 11일.
 +
<html>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7smv-FtDzks"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주석'''==
 +
<references/>
  
 
=='''참고문헌'''==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인용 및 참조===
#웹자원
+
#웹 자원
 
#* 서영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5058 광개토왕릉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서영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5058 광개토왕릉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28086 광개토대왕릉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28086 광개토대왕릉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R0003 광개토왕릉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
 
#*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R0003 광개토왕릉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
 +
#* 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18260&cid=42957&categoryId=42957 광개토대왕비]", 한국고중세사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더 읽을거리===
 
===더 읽을거리===
 
# 단행본
 
# 단행본

2017년 12월 27일 (수) 00:02 기준 최신판

광개토대왕릉비
(廣開土大王陵碑)
서영수, "광개토왕릉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표명칭 광개토대왕릉비
한자표기 廣開土大王陵碑
유형 유물
시대 삼국
소장처 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 지안시 태왕진
관련인물 [고구려 광개토대왕],


정의

고구려 제19대 광개토대왕(廣開土大王)의 훈적을 기념하기 위하여 아들인 장수왕이 414년에 세운 돌비석(石碑)이다.

내용

비석의 형태

비는 각력응회암(角礫凝灰岩)을 사각형의 기둥 형태로 다듬은 긴 바위 모습으로 자연석의 느낌이 강하다. 높이는 6.39m로 한국 최대의 크기이며 하부에는 길이 3.35m, 너비 2.7m, 두께 0.2m 가량의 화강암 대석을 설치하고 홈을 파 비신을 세웠다.
비의 사면마다 모두 글자가 새겨져 있고, 글자를 균등한 간격으로 새기기 위해 바둑판처럼 가는 선을 가로세로로 그어 공간을 구획하였다. 1면 11행, 2면 10행, 3면 14행, 4면 9행 총 44행으로 이루어져 있고 네 면에 걸쳐 1,775자가 새겨져 있는 것으로 통상 알려져 있다.

비의 건립과 발견

비는 고구려 광개토대왕이 사망한 3년 후 아들 장수왕 3년(414년) 9월에 부왕의 능과 함께 건립되었다. 비는 고구려의 멸망과 더불어 잊혔다가 1880년을 전후하여 밭을 개간하던 청나라 농부가 발견하였다.
그런데 비의 탁본을 뜨기 위해 비에 낀 이끼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비의 몸에 균열이 가고 일부 표면이 터져 나가는 등 심각한 손상이 발생하였다.

비문의 내용

비문의 내용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첫째는 고구려의 건국신화와 추모왕(鄒牟王),유류왕(儒留王), 대주류왕(大朱留王) 등의 세계(世系), 광개토대왕의 약력 및 비의 건립경위를 새긴 것이다. 둘째는 광개토대왕 때 이루어진 정복활동과 영토관리에 대한 내용들을 연대순으로 기록하였다.
마지막에는 능을 관리하는 수묘인(守墓人) 연호(煙戶)의 명단과 수묘지침 및 수묘인 관리규정이 기술되어 있다.

연구와 쟁점

비문의 내용 중 끊임없이 논쟁을 불러일으킨 것은 신묘년 기사(辛卯年記事)로 「百殘新羅舊是屬民由來朝貢而倭以辛卯年來渡海破百殘○○新羅以爲臣民」이라는 부분이다. 일본인들은 이 부분을 일본서기에 나오는 임나일본부와 연결하여 4세기 일본이 한반도 남부에 식민지를 건설했다는 증거로 삼고 있다. 그러나 국내 학계에서는 이러한 주장에 대해 해석상의 문제와 일본제국군 참모본부의 위작설 등을 주장하여 반박하고 있다.
광개토대왕릉비는 내용 그 자체로 중요한 역사적 사실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서예사나 한문학적인 측면에서도 커다란 가치를 가지고 있다.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광개토대왕릉비 고구려 장수왕 A는 B에 의해 건립되었다 A ekc:founder B
광개토대왕릉비 고구려 광개토대왕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광개토대왕릉비 임나일본부설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광개토대왕릉비 태왕릉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414년 고구려 장수왕광개토대왕릉비를 건립하였다
1877년 관월산광개토대왕릉비를 발견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41.145080 126.214245 광개토대왕비는 중국 지린성 지안현 퉁거우에 있다
41.147789 126.220288 태왕릉은 중국 지린성 지안현 퉁거우에 있다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 자원
    • 서영수, "광개토왕릉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광개토대왕릉비", 『doopedia』online, 두산백과.
    • "광개토왕릉비",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 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 참조: "광개토대왕비", 한국고중세사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더 읽을거리

  1. 단행본
    • 이형구·박노희, 『광개토대왕릉비-동북아 시대를 맞아, 우리의 광개토대왕릉비를 말한다』, 새녘, 2014.
  2. 학술논문
    • 서영수, 「광개토대왕비문의 연구사적 검토」,『고구려발해연구』제1권, 고구려발해학회, 1995, 149-183쪽.
    • 김영하, 「광개토대왕비의 정복기사해석 : 신묘년기사의 재검토와 관련하여」,『한국고대사연구』제66호, 한국고대사학회, 2012, 209-252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