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전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지식 관계망)
(참고문헌)
136번째 줄: 136번째 줄:
  
 
[[분류:민족기록화]][[분류:사건]]
 
[[분류:민족기록화]][[분류:사건]]
[[분류:민족/교열완료]]
 

2017년 12월 25일 (월) 02:46 판

진주전투(晉州戰鬪)
전쟁기념관
대표명칭 진주전투
한자표기 晉州戰鬪
이칭 진주성 싸움, 진주대첩
유형 군사/전투
시대 조선
날짜 1592년 10월5일-10월10일(1차), 1593년6월20일-6월29일(2차)
관련인물 김시민, 곽재우, 김천일, 최경회, 김성일
관련유물유적 진주성, 의암


정의

1592년(조선 선조 25) 10월과 1593년 6월 진주(晉州)에서 조선군과 왜군이 벌인 두 차례의 싸움이다.

내용

지리적 요충지

진주성임진왜란 당시 조선과 왜군 사이에 치열한 공방전이 일어난 곳이다. 그만큼 진주성은 지리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 조선시대 진주는 경상도 일대를 관장하는 가장 큰 고을이었으며 고려시대부터 남해안에 출몰하는 왜구들을 방어하는 기지로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부산포를 시작으로 도성 한양까지 파죽지세로 진격했던 왜군들은 점차 경상우도를 중심으로 조선 의병들의 반격활동이 거세지자 점차 후방에서 어려움을 겪기 시작했다. 영남지방 의병활동의 중심에 진주성이 있었다.[1]
평양성에서 조명연합군의 공격을 받고 한양으로 후퇴한 왜군은 군량미 부족에 시달렸다. 곡창지대인 호남지역으로 진출하여 안정적인 후방의 보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진주성을 거쳐야만 했다.[2]

1차 진주전투

1592년 10월 나가오카 다다오키(長岡忠興) 휘하의 왜군 3만여 명은 수천 개의 대나무 사다리를 만들어 진주성을 포위 공격하였다. 진주성 안에서는 김시민이 지휘하는 조선군 3천여 명이 혈전을 벌였고, 곽재우·최강·이달 등의 의병부대는 성 밖에 진을 치고 왜군의 배후를 위협하였다. 6일간에 걸친 대접전 끝에 조선군은 왜군을 격퇴했으나 전투를 지휘한 김시민은 적의 총탄을 맞고 전사했다. 이 싸움의 결과로 조선군은 경상우도를 보존하고 왜군의 전라도 진출을 저지할 수 있었다. 한산대첩, 행주대첩과 함께 임진왜란 3대첩의 하나로 꼽힌다.[3]

2차 진주전투

1593년(선조 26) 6월 왜군은 강화회담을 추진하는 한편, 1차 진주성 전투의 패전을 설욕하고 전라도로 진출할 수 있는 교두보를 확보하기 위해 진주성에 대한 총공격을 감행하였다. 이 전투에서는 귀갑차(龜甲車) 등 왜군의 신무기가 총동원되었으며 가토·고니시·구로다 등 왜장이 이끄는 선봉만도 5만여 명에 달하였다. 이에 맞서 싸운 조선군은 황진·최경회 휘하의 관군과 김천일이 지휘하는 의병을 합해 3천여 명에 불과하였다.[4]
10일간 치열하게 계속된 전투에서 진주성은 중과부적으로 결국 왜군에 함락되고 말았다. 이 전투 중 황진은 적군의 총탄에 맞아 전사하였으며, 김천일은 성이 함락되자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성에 남아 있던 6만여 군민들도 대부분 왜병에게 학살되었다. 그러나 왜군도 이 싸움에서 커다란 타격을 입고 동남해안으로 철수할 수밖에 없었다. 승전을 기념하여 연회를 벌이던 왜장을 의기 논개가 촉석루에서 끌어안고 남강에 몸을 던졌다는 이야기가 전한다.[5]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진주전투 진주성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A ekc:depicts B
진주전투 1차 진주전투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진주전투 2차 진주전투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진주전투 진주성 A는 B에서 일어났다 A edm:happenedAt B
김시민 1차 진주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김성일 1차 진주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성수경 1차 진주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이광악 1차 진주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곽재우 1차 진주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정기룡 1차 진주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최경회 1차 진주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창렬사 진주성 A는 B에 위치한다 A edm:currentLocation B
김시민 창렬사 A는 B에 제향되었다 A ekc:isEnshrinedIn B
최경회 창렬사 A는 B에 제향되었다 A ekc:isEnshrinedIn B
김천일 창렬사 A는 B에 제향되었다 A ekc:isEnshrinedIn B
황진 창렬사 A는 B에 제향되었다 A ekc:isEnshrinedIn B
장윤 창렬사 A는 B에 제향되었다 A ekc:isEnshrinedIn B
고종후 창렬사 A는 B에 제향되었다 A ekc:isEnshrinedIn B
김천일 2차 진주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황진 2차 진주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고종후 2차 진주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장윤 2차 진주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임진왜란 3대 대첩 1차 진주전투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임진왜란 3대 대첩 한산대첩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임진왜란 3대 대첩 행주대첩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의암 진주성 A는 B에 위치한다 A edm:currentLocation B
의암 논개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논개 최경회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논개 2차 진주전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5.1880365 128.0744779 진주성진주전투가 발발한 곳이다
35.1897575 128.0797455 촉석루진주성에 위치한다
35.1899242 128.0821063 의암진주성에 위치한다
35.7116191 126.3148848 창렬사진주성에 위치한다

시각자료

영상

  • EBS Culture - 역사채널e, 17 vs 1 전설의 승리(게시일:2016년 01월 14일)

주석

  1. "진주대첩", 『doopedia』online, 두산백과.
  2. "진주대첩", 『doopedia』online, 두산백과.
  3. 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 참조: "진주성전투", 한국고중세사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4. "진주성전투", 『한국고중세사사전』online, 네이버 지식백과.
  5. "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 참조: "진주성전투", 한국고중세사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 자원
    • 김석희, "진주전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강병수, "2차 진주성전투", 『디지털진주문화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지승종, "임진왜란과 진주성전투", 『디지털진주문화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진주대첩", 『doopedia』online, 두산백과.
    • 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 참조: "진주성전투", 한국고중세사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