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이마동"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수상)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2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작가정보_김지선
+
{{틀:민족기록화 Top icon}}
|국문명 = 이마동<ref>이미지 출처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4143 이마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에서 인용. 2017년 03월 26일 확인.</ref>
+
{{작가정보
|한자명 = 李馬銅
+
|사진= 민족기록화_작가_이마동_이마동.jpg
|영문명 = Lee Ma-Dong
+
|사진출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4143 이마동]",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 2016년 4월 8일.
|출생 - 사망 = 1906년 5월 1일 - 1981년 10월 5일
+
|대표명칭 = 이마동
|출생지 = 충청남도 아산
+
|한자표기 = 李馬銅
 +
|영문명칭 = Lee Ma-dong 
 +
|본명 =
 +
|호 = 청구(靑駒)
 +
|생년 = 1906년 5월 1일  
 +
|몰년 = 1981년 10월 5일  
 +
|출생지 = 충청남도 아산  
 
|국적 = 대한민국
 
|국적 = 대한민국
 
|분야 = 서양화가
 
|분야 = 서양화가
|대표작품 = 꽃다발 있는 정물, 115 x 88cm<ref>미사,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winjs&logNo=100060852526 한국근대미술걸작전2(작품감상)]", 『네이버 블로그 - AIC 아트인시티(ART IN CITY)』, 게시일: 2009년 01월 25일. 2017년 03월 02일 확인.</ref>
+
|필드수 =
|image =  민족기록화_작가_이마동_이마동.jpg
 
 
}}
 
}}
=='''작가소개'''==
+
=='''정의'''==
호는 청구(靑駒). 충청남도 아산 출신. 1921년 휘문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하여 춘곡(春谷) 고희동(高羲東)과 무호(無號) 이한복(李漢福)에게 그림지도를 받았다. 그 뒤 프랑스에서 유학하고 돌아와서 중앙고등보통학교에 아틀리에를 설치한 이종우의 문하생으로 들어갔으며, 고려미술원과 조선미술원에서도 공부하였다. 1927년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미술학교 서양화과에 입학하여 1932년 졸업하였다.<br/>
+
대한민국의 [[서양화|서양화가]]이다.
1931년 도쿄에서 구본웅(具本雄), 김응진(金應進) 등과 [[백만회]]를 조직하였으며, 1932년 도쿄미술학교를 졸업하고 한국에 돌아와 1933년 동아일보의 미술기자가 되었다. 1934년에는 [[목일회]] 창립에 가담하였고 제13회 조선미술전람회(약칭 선전)에서 「꽃다발 있는 정물」로 입선하였다. 1938년 첫 개인전을 가진 이래 7회에 걸쳐 개인전을 개최하였다.<br/>
 
1939년부터 1961년까지 보성중학교 등에서 미술교사로 근무하였고 1950년 6·25전쟁이 일어나자 국방부종군화가 단장이 되어 전쟁에 참여하였다. 1951년 대한미술협회 부회장이 되었고, 1953년 제2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약칭 국전) 심사위원으로 피임된 이래 역대 국전 심사위원을 역임하였다.<br/>
 
1958년에는 [[목우회]]를 창립하여 회장을 역임하였다. 1962년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교수로 취임하여 학장을 역임하였으며, 1971년 정년퇴직 후에는 명예교수로 있었고, 같은 해 한국미술협회 이사장에 피선되었다.
 
사실적 자연주의에 충실한 풍경화를 즐겨 다루었는데, 화풍의 변화가 대체로 1960년을 중심으로 전후 2기로 나누어진다. 1960년 이전의 전기에는 아카데믹한 사실주의에 기반을 두고 정확한 데생력과 건실한 색감을 바탕으로 하는 화풍을 구사하였다. 후기에는 페인팅 나이프의 짧은 수직선들이 화면을 점진적으로 뒤덮는 일종의 인상파적 점묘법을 통하여 화려한 색감의 화풍을 보여주었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4143 이마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에서 인용. 2017년 03월 26일 확인.</ref>
 
  
=='''학력'''==
+
=='''내용'''==
*1932년 동경미술학교 서양화 학사
+
1906년 충청남도 아산에서 태어난 이마동은 휘문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하여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화|서양화가]]로 불리는 [[고희동]], 그리고 [[이한복]]으로부터 그림을 공부하였다. 이후 프랑스에서 유학한 [[이종우]]의 문하에서, 그리고  근대기의 미술교육기관인 [[고려미술원]]에서는 [[구본웅]] 등과도 함께 공부하였다. 1927년에는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 미술학교]] 서양화과에 입학하였으며, 제7회와 8회 [[조선미술전람회]]에서 특선, 13회에는 입선하였다.<br/>
 +
1932년 졸업 후 이듬해에는 [[동아일보]] 미술기자가 되었으며, 1934년에는 서양화가 단체인 [[목일회|목일회(牧日會)]] 결성에 참여하였다. 한국전쟁 시에는 종군화가 단장으로 활동하기도 하였다.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심사위원, [[목우회]] 회장, [[홍익대학교]] 교수. [[한국미술협회]] 이사장 등을 역임했다.
  
=='''경력'''==
+
===작품 세계===
* 1933년 동아일보 미술부 기자
+
그의 회화는 [[도쿄 미술학교]]를 중심으로 성립되었던 일본 관학풍의 사실적인 자연주의를 특징으로 한다. 정확한 데생과 잘 계획된 구도, 단단한 색채감에 의한 사실적 표현이 그것이다. 이후 인상주의 회화를 연상시키는 짧은 터치와 화사한 색감이 강조된 서정적인 화면으로 점진적인 전이를 나타냈다. 후기에 들어서면서 나이프를 이용하여 자연의 색채를 보다 생생하게 표현하는 방법을 즐겨 썼다. 그의 화풍은 이상적인 아름다움과 서정적인 분위기를 나타내는 밝고 감각적인 표현 경향으로 전개되었다.
* 1950년 국방부 종군화가 단장
 
* 1951년 대한민국 미술협회 부회장
 
* 1953년 대한민국 미술전람회 심사위원장
 
* 1956년 대한민국 미술협회 회장
 
* 1962년 서울시 문화위원회 위원
 
* 1963년 홍익대학교 교수
 
* 1965년 홍익대학교 미술학부장
 
* 1968년 홍익대학교 대학원장
 
* 1969년-1971년 홍익대학교 학장
 
* 1970년-1973년 한국미술협회 이사장
 
* 1973년 한국미술협회 회장
 
  
=='''전시'''==
+
===학력===
* 1932년, 조선 미술전람회, 경복궁 미술관
+
*1932 [[도쿄 미술학교]] 졸업
* 1938년, 개인전, 화신 화랑
 
* 1957년, 개인전, 중앙공보관
 
* 1962년, 개인전, 국립도서관 화랑
 
* 1966년, 개인전, 신문회관 화랑
 
* 1968년, 개인전, 신세계 화랑
 
* 1970년, 개인전, 서울 화랑
 
* 1972년, 개인전, 고베
 
* 1973년, 한국 현역작가 100인전, 국립현대미술관
 
* 1974년, 제10회 아시아 현대미술전, 동경 동경도 미술관
 
* 1974년, 개인전, 양지 화랑
 
* 1975년, 개인전, 양지 화랑
 
* 1977년, 개인전, 송원 화랑
 
* 1986년, 개인전, 서울 갤러리
 
* 1997년-1998년, 한국 근대미술: 유화- 근대를 보는 눈, 국립현대미술관
 
* 1998년, 중원 미술의 향기, 대전 시립미술관
 
* 2003년, 한밭미술의 여정 II-이동훈과 대전화단, 대전시립미술관
 
  
=='''수상'''==
+
===경력===
* 1928년-1934년, 조선 미술전람회 3회 입선
+
*동아일보 미술부 기자, 국방부 종군화가 단장
* 1932년, 조선 미술전람회 창덕궁상
+
*[[한국미술협회]] 회장
* 1963년, 서울시 문화상
+
*[[홍익대학교]] 교수, 학장
* 1972년, 대한민국 문화훈장 은관
 
* 1975년, 제7회 대한민국 문화예술상
 
  
=='''주요작품'''==
+
===전시===
<gallery>
+
*1928-34 [[조선미술전람회]], 경복궁미술관
파일:민족기록화_작가_이마동_꽃다발 있는 정물, 115 x 88cm.jpg |꽃다발 있는 정물, 115 x 88cm<ref>미사,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winjs&logNo=100060852526 한국근대미술걸작전2(작품감상)]", 『네이버 블로그 - AIC 아트인시티(ART IN CITY)』, 게시일: 2009년 01월 25일. 2017년 03월 02일 확인.</ref>
+
*1973  한국현역작가 100인전, 국립현대미술관
파일:민족기록화_작가_이마동_남자, 117 x 91cm, 1931년.jpg | 남자, 117 x 91cm<ref>미사,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winjs&logNo=100060852526 한국근대미술걸작전2(작품감상)]", 『네이버 블로그 - AIC 아트인시티(ART IN CITY)』, 게시일: 2009년 01월 25일. 2017년 03월 02일 확인.</ref>
+
*1974  제10회 아시아현대미술전, 동경도미술관
</gallery>
+
*1997  한국근대미술: 유화- 근대를 보는 눈, 국립현대미술관
 +
*1998  중원미술의 향기, 대전시립미술관
 +
*2003  한밭미술의 여정 II, 대전시립미술관
  
=='''민족기록화'''==
+
===수상===
<gallery>
+
*1928-34 [[조선미술전람회]] 3회 입선
파일:이마동-감귤-1973s.jpg |[[이마동-감귤]]
+
*1932  [[조선미술전람회]] 창덕궁상
파일:이마동-소득사업(새마을)-1975s.jpg |[[이마동-소득사업(새마을)]]
+
*1963  서울시문화상
</gallery>
+
*1972  대한민국 은관문화훈장
 +
*1975  제7회 대한민국 문화예술상
  
=='''관련 항목'''==
+
=='''지식 관계망'''==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60/C060.htm "소득사업(새마을)"(이마동) 지식관계망]
!항목A||width="33%"|항목B||width="33%"|관계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61/C061.htm "감귤"(이마동)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60/C060.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61/C06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PAGENAME}} ||[[이마동-감귤]]|| A는 B를 그렸다
+
| [[이마동-소득사업(새마을)]] || [[이마동]]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PAGENAME}} ||[[이마동-소득사업(새마을)]]|| A는 B를 그렸다
+
| [[이마동-감귤]] || [[이마동]]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PAGENAME}} ||[[백만회]]|| A는 B를 조직하였다
+
| [[이마동]] || [[도쿄 미술학교]] || A는 B를 졸업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PAGENAME}} ||[[목일회]]|| A는 B를 창립하였다
+
| [[고희동]]  || [[이마동]]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PAGENAME}} ||[[목우회]]|| A는 B를 창립하였다
+
| [[이한복]] || [[이마동]]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 [[이종우]] || [[이마동]]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시간정보'''==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 [[목일회]] || [[이마동]] ||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항목A !! 항목B !! 관계 !! 관계속성
+
|-
 +
| [[백만회]] || [[이마동]] ||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
 +
| [[목우회]] || [[이마동]] ||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
 +
| [[이마동]] || [[조선미술전람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PAGENAME}}||[[이마동-감귤]]||A는 B를 그렸다|| 1973년
+
| [[이마동]] || [[대한민국미술전람회]]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PAGENAME}}||[[이마동-소득사업(새마을)]]||A는 B를 그렸다|| 1975년
+
| [[종군화가단]] ||   [[이마동]]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
|{{PAGENAME}}||[[백만회]]||A는 B를 조직하였다|| 1936년
+
| [[한국미술협회]]|| [[이마동]]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
|{{PAGENAME}}||[[목일회]]||A는 B를 조직하였다|| 1934년 5월
+
| [[이마동]] || [[서양화]]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PAGENAME}}||[[목우회]]||A는 B를 조직하였다|| 1958년 6월 17일
 
 
|}
 
|}
  
=='''공간정보'''==
+
=='''시각자료'''==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가상현실===
!중심||width="20%"|연결정보||width="20%"|공간정보이름||width="20%"|경도||width="20%"|위도
+
===갤러리===
|-
+
<gallery mode=packed caption="주요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
파일:민족기록화_작가_이마동_꽃다발 있는 정물, 115 x 88cm.jpg |꽃다발이 있는 정물, 1933, 캔버스에 유채, 116.8x91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미사,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winjs&logNo=100060852526 한국근대미술걸작전2(작품감상)]",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블로그 - AIC 아트인시티(ART IN CITY)』<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09년 01월 25일.</ref>
 +
파일:민족기록화_작가_이마동_남자, 117 x 91cm, 1931년.jpg | 남자, 1931, 캔버스에 유채, 115x87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미사,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winjs&logNo=100060852526 한국근대미술걸작전2(작품감상)]",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블로그 - AIC 아트인시티(ART IN CITY)』<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09년 01월 25일.</ref>
 +
파일:민족기록화_작가_이마동_자화상.jpg |자화상, 1932, 캔버스에 유채.<ref>회남자, "[http://blog.naver.com/agogik/80047987003 412. 이마동 <자화상(1932)>]",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블로그 - 회허백 겸선재』<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08년 02월 06일.</ref>
 +
</gallery>
 +
<gallery mode=packed caption="민족기록화"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파일:이마동-감귤-1973s.jpg |[[이마동-감귤]]
 +
파일:이마동-소득사업(새마을)-1975s.jpg |[[이마동-소득사업(새마을)]]
 +
</gallery>
 +
 +
===영상===
  
=='''그래프'''==
+
=='''주석'''==
 +
<references/>
  
 
=='''참고문헌'''==
 
=='''참고문헌'''==
*"[http://monthlyart.com/dicwho/%EC%9D%B4%EB%A7%88%EB%8F%99-2/ 이마동]", 『월간미술』, 월간미술. 2017년 03월 26일 확인.
+
===인용 및 참조===
 +
#단행본
 +
#* 『한국현대미술대표작가100인선집 22』, 이경성 편, 금성출판사, 1976.
 +
#* 『한국현대미술전집 2』, 한국일보사, 1977.
 +
#* 『이마동 화집: 1906∼1981』, 동아일보사, 1986.
  
=='''주석'''==
+
===유용한 정보===
<references/>
+
# "[http://monthlyart.com/dicwho/%EC%9D%B4%EB%A7%88%EB%8F%99-2/ 이마동]", 인명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월간미술』<sup>online</sup></online></html>.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4143 이마동]",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 2016년 4월 8일.
  
[[분류:민족기록화]] [[분류:작가]]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가]][[분류:인물]]
 +
[[분류:민족/교열완료]]

2017년 12월 24일 (일) 16:48 기준 최신판


이마동(李馬銅)
"이마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 2016년 4월 8일.
대표명칭 이마동
한자표기 李馬銅
영문명칭 Lee Ma-dong
생몰년 1906년 5월 1일-1981년 10월 5일
출생지 충청남도 아산
청구(靑駒)
국적 대한민국
분야 서양화가


정의

대한민국의 서양화가이다.

내용

1906년 충청남도 아산에서 태어난 이마동은 휘문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하여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화가로 불리는 고희동, 그리고 이한복으로부터 그림을 공부하였다. 이후 프랑스에서 유학한 이종우의 문하에서, 그리고 근대기의 미술교육기관인 고려미술원에서는 구본웅 등과도 함께 공부하였다. 1927년에는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 미술학교 서양화과에 입학하였으며, 제7회와 8회 조선미술전람회에서 특선, 13회에는 입선하였다.
1932년 졸업 후 이듬해에는 동아일보 미술기자가 되었으며, 1934년에는 서양화가 단체인 목일회(牧日會) 결성에 참여하였다. 한국전쟁 시에는 종군화가 단장으로 활동하기도 하였다.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심사위원, 목우회 회장, 홍익대학교 교수. 한국미술협회 이사장 등을 역임했다.

작품 세계

그의 회화는 도쿄 미술학교를 중심으로 성립되었던 일본 관학풍의 사실적인 자연주의를 특징으로 한다. 정확한 데생과 잘 계획된 구도, 단단한 색채감에 의한 사실적 표현이 그것이다. 이후 인상주의 회화를 연상시키는 짧은 터치와 화사한 색감이 강조된 서정적인 화면으로 점진적인 전이를 나타냈다. 후기에 들어서면서 나이프를 이용하여 자연의 색채를 보다 생생하게 표현하는 방법을 즐겨 썼다. 그의 화풍은 이상적인 아름다움과 서정적인 분위기를 나타내는 밝고 감각적인 표현 경향으로 전개되었다.

학력

경력

전시

  • 1928-34 조선미술전람회, 경복궁미술관
  • 1973 한국현역작가 100인전, 국립현대미술관
  • 1974 제10회 아시아현대미술전, 동경도미술관
  • 1997 한국근대미술: 유화- 근대를 보는 눈, 국립현대미술관
  • 1998 중원미술의 향기, 대전시립미술관
  • 2003 한밭미술의 여정 II, 대전시립미술관

수상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이마동-소득사업(새마을) 이마동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이마동-감귤 이마동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이마동 도쿄 미술학교 A는 B를 졸업하였다 A edm:isRelatedTo B
고희동 이마동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이한복 이마동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이종우 이마동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목일회 이마동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A ekc:founder B
백만회 이마동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A ekc:founder B
목우회 이마동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A ekc:founder B
이마동 조선미술전람회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이마동 대한민국미술전람회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종군화가단 이마동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한국미술협회 이마동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이마동 서양화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1. 미사, "한국근대미술걸작전2(작품감상)", 『네이버 블로그 - AIC 아트인시티(ART IN CITY)』online, 작성일: 2009년 01월 25일.
  2. 미사, "한국근대미술걸작전2(작품감상)", 『네이버 블로그 - AIC 아트인시티(ART IN CITY)』online, 작성일: 2009년 01월 25일.
  3. 회남자, "412. 이마동 <자화상(1932)>", 『네이버 블로그 - 회허백 겸선재』online, 작성일: 2008년 02월 06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단행본
    • 『한국현대미술대표작가100인선집 22』, 이경성 편, 금성출판사, 1976.
    • 『한국현대미술전집 2』, 한국일보사, 1977.
    • 『이마동 화집: 1906∼1981』, 동아일보사, 1986.

유용한 정보

  1. "이마동", 인명검색, 『월간미술』online.
  2. "이마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 2016년 4월 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