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이마동"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수상)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2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4143 이마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에서 인용. 2017년 03월 26일 확인.
+
{{틀:민족기록화 Top icon}}
 
+
{{작가정보
http://www.daarts.or.kr/imageView/work.jsp?bit_id=420467&coll_id=8862&type=visual
+
|사진= 민족기록화_작가_이마동_이마동.jpg
 
+
|사진출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4143 이마동]",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 2016년 4월 8일.
 
+
|대표명칭 = 이마동
*"[http://monthlyart.com/dicwho/%EC%9D%B4%EB%A7%88%EB%8F%99-2/ 이마동]", 『월간미술』, 월간미술. 2017년 03월 26일 확인.
+
|한자표기 = 李馬銅
 
+
|영문명칭 = Lee Ma-dong 
{{작가정보_김지선
+
|본명 =
|국문명 = 이마동
+
|호 = 청구(靑駒)
|한자명 = 李馬銅
+
|생년 = 1906년 5월 1일
|영문명 = Lee Ma-Dong
+
|몰년 = 1981년 10월 5일  
|출생 - 사망 = 1906년 - 1981년 10월 5일
+
|출생지 = 충청남도 아산
|출생지 =  
 
 
|국적 = 대한민국
 
|국적 = 대한민국
 
|분야 = 서양화가
 
|분야 = 서양화가
|대표작품 = [http://www.oki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0370 항구, 1986년] @
+
|필드수 =
|이미지 출처 = "[http://www.okcc.or.kr/html/kr/person/person_16.html 박석호(朴錫浩)]", 『옥천문화원 온라인 서비스』, 옥천문화원. 2017년 03월 26일 확인. @
 
|image =  민족기록화_작가_박석호_박석호.jpg@
 
 
}}
 
}}
 +
=='''정의'''==
 +
대한민국의 [[서양화|서양화가]]이다.
  
=='''작가소개'''==
+
=='''내용'''==
 +
1906년 충청남도 아산에서 태어난 이마동은 휘문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하여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화|서양화가]]로 불리는 [[고희동]], 그리고 [[이한복]]으로부터 그림을 공부하였다. 이후 프랑스에서 유학한 [[이종우]]의 문하에서, 그리고  근대기의 미술교육기관인 [[고려미술원]]에서는 [[구본웅]] 등과도 함께 공부하였다. 1927년에는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 미술학교]] 서양화과에 입학하였으며, 제7회와 8회 [[조선미술전람회]]에서 특선, 13회에는 입선하였다.<br/>
 +
1932년 졸업 후 이듬해에는 [[동아일보]] 미술기자가 되었으며, 1934년에는 서양화가 단체인 [[목일회|목일회(牧日會)]] 결성에 참여하였다. 한국전쟁 시에는 종군화가 단장으로 활동하기도 하였다.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심사위원, [[목우회]] 회장, [[홍익대학교]] 교수. [[한국미술협회]] 이사장 등을 역임했다.
  
 +
===작품 세계===
 +
그의 회화는 [[도쿄 미술학교]]를 중심으로 성립되었던 일본 관학풍의 사실적인 자연주의를 특징으로 한다. 정확한 데생과 잘 계획된 구도, 단단한 색채감에 의한 사실적 표현이 그것이다. 이후 인상주의 회화를 연상시키는 짧은 터치와 화사한 색감이 강조된 서정적인 화면으로 점진적인 전이를 나타냈다. 후기에 들어서면서 나이프를 이용하여 자연의 색채를 보다 생생하게 표현하는 방법을 즐겨 썼다. 그의 화풍은 이상적인 아름다움과 서정적인 분위기를 나타내는 밝고 감각적인 표현 경향으로 전개되었다.
  
=='''학력'''==
+
===학력===
*1932년 동경미술학교 서양화 학사
+
*1932 [[도쿄 미술학교]] 졸업
  
=='''경력'''==
+
===경력===
* 1933년 동아일보 미술부 기자
+
*동아일보 미술부 기자, 국방부 종군화가 단장
* 1950년 국방부 종군화가 단장
+
*[[한국미술협회]] 회장
* 1951년 대한민국 미술협회 부회장
+
*[[홍익대학교]] 교수, 학장
* 1953년 대한민국 미술전람회 심사위원장
 
* 1956년 대한민국 미술협회 회장
 
* 1962년 서울시 문화위원회 위원
 
* 1963년 홍익대학교 교수
 
* 1965년 홍익대학교 미술학부장
 
* 1968년 홍익대학교 대학원장
 
* 1969년-1971년 홍익대학교 학장
 
* 1970년-1973년 한국미술협회 이사장
 
* 1973년 한국미술협회 회장
 
  
=='''전시'''==
+
===전시===
* 1932년, 조선 미술전람회, 경복궁 미술관
+
*1928-34 [[조선미술전람회]], 경복궁미술관
* 1938년, 개인전, 화신 화랑
+
*1973  한국현역작가 100인전, 국립현대미술관
* 1957년, 개인전, 중앙공보관
+
*1974  제10회 아시아현대미술전, 동경도미술관
* 1962년, 개인전, 국립도서관 화랑
+
*1997  한국근대미술: 유화- 근대를 보는 눈, 국립현대미술관
* 1966년, 개인전, 신문회관 화랑
+
*1998  중원미술의 향기, 대전시립미술관
* 1968년, 개인전, 신세계 화랑
+
*2003  한밭미술의 여정 II, 대전시립미술관
* 1970년, 개인전, 서울 화랑
 
* 1972년, 개인전, 고베
 
* 1973년, 한국 현역작가 100인전, 국립현대미술관
 
* 1974년, 제10회 아시아 현대미술전, 동경 동경도 미술관
 
* 1974년, 개인전, 양지 화랑
 
* 1975년, 개인전, 양지 화랑
 
* 1977년, 개인전, 송원 화랑
 
* 1986년, 개인전, 서울 갤러리
 
* 1997년-1998년, 한국 근대미술: 유화- 근대를 보는 눈, 국립현대미술관
 
* 1998년, 중원 미술의 향기, 대전 시립미술관
 
* 2003년, 한밭미술의 여정 II-이동훈과 대전화단, 대전시립미술관
 
  
=='''수상'''==
+
===수상===
* 1928년-1934년, 조선 미술전람회 3회 입선
+
*1928-34 [[조선미술전람회]] 3회 입선
* 1932년, 조선 미술전람회 창덕궁상
+
*1932  [[조선미술전람회]] 창덕궁상
* 1963년, 서울시 문화상
+
*1963  서울시문화상
* 1972년, 대한민국 문화훈장 은관
+
*1972  대한민국 은관문화훈장
* 1975년, 제7회 대한민국 문화예술상
+
*1975  제7회 대한민국 문화예술상
  
=='''주요작품'''==
+
=='''지식 관계망'''==
<gallery>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60/C060.htm "소득사업(새마을)"(이마동) 지식관계망]
파일:민족기록화_작가_박석호_어부들, 1992년.jpg| 어부들, 1992년<ref>김재관, "[http://www.inews365.com/news/article.html?no=163738 김재관의 현대미술 산책 - 박석호 화백(1919~1994)]", 『충북일보』, 2011년 1월 23일. 2017년 03월 26일 확인.</ref>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61/C061.htm "감귤"(이마동) 지식관계망]
파일:민족기록화_작가_박석호_항구, 1986년.jpg| 항구, 1986년<ref>"[http://www.oki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0370 박석호의 미술사적 의미]", 『옥천신문』, 2004년 7월 16일. 2017년 03월 26일 확인.</ref>
+
<html>
파일:민족기록화_작가_박석호_한촌, 1993년.jpg  | 박석호의 유작 : 한촌, 33 x 24, 캔버스에 유채, 1993년.<ref>송유재, "http://bravo.etoday.co.kr/view/atc_view.php?varAtcId=4527 머무는 배, 흐르는 물]",『브라보마이라이프』, 2015년 10월 12일. 2017년 03월 26일 확인.</ref>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gallery>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60/C060.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민족기록화'''==
+
</html>
<gallery>
+
<html>
파일:이마동-감귤-1973s.jpg |[[이마동-감귤]]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파일:이마동-소득사업(새마을)-1975s.jpg |[[이마동-소득사업(새마을)]]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gallery>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61/C06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관련 항목'''==
+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항목A||width="33%"|항목B||width="33%"|관계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이마동-소득사업(새마을)]] || [[이마동]]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이마동-감귤]] || [[이마동]]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이마동]] || [[도쿄 미술학교]] || A는 B를 졸업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고희동]]  || [[이마동]]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이한복]] || [[이마동]]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이종우]] || [[이마동]]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목일회]] || [[이마동]] ||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
 +
| [[백만회]] || [[이마동]] ||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
 +
| [[목우회]] || [[이마동]] ||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
|{{PAGENAME}} ||[[이마동-감귤]]|| A는 B를 그렸다
+
| [[이마동]] || [[조선미술전람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PAGENAME}} ||[[이마동-소득사업(새마을)]]|| A는 B를 그렸다
+
| [[이마동]] || [[대한민국미술전람회]]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PAGENAME}} ||[[ ]]|| A는 B로 칭해진다
+
| [[종군화가단]] ||   [[이마동]]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
|{{PAGENAME}} ||[[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한국미술협회]]|| [[이마동]]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시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항목A !! 항목B !! 관계 !! 관계속성
 
 
|-
 
|-
|{{PAGENAME}}||[[이마동-감귤]]||A는 B를 그렸다|| 1973년
+
| [[이마동]] || [[서양화]]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PAGENAME}}||[[이마동-소득사업(새마을)]]||A는 B를 그렸다|| 1975년
 
 
|}
 
|}
  
=='''공간정보'''==
+
=='''시각자료'''==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가상현실===
!중심||width="20%"|연결정보||width="20%"|공간정보이름||width="20%"|경도||width="20%"|위도
+
===갤러리===
|-
+
<gallery mode=packed caption="주요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
파일:민족기록화_작가_이마동_꽃다발 있는 정물, 115 x 88cm.jpg |꽃다발이 있는 정물, 1933, 캔버스에 유채, 116.8x91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미사,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winjs&logNo=100060852526 한국근대미술걸작전2(작품감상)]",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블로그 - AIC 아트인시티(ART IN CITY)』<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09년 01월 25일.</ref>
 +
파일:민족기록화_작가_이마동_남자, 117 x 91cm, 1931년.jpg | 남자, 1931, 캔버스에 유채, 115x87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미사,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winjs&logNo=100060852526 한국근대미술걸작전2(작품감상)]",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블로그 - AIC 아트인시티(ART IN CITY)』<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09년 01월 25일.</ref>
 +
파일:민족기록화_작가_이마동_자화상.jpg |자화상, 1932, 캔버스에 유채.<ref>회남자, "[http://blog.naver.com/agogik/80047987003 412. 이마동 <자화상(1932)>]",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블로그 - 회허백 겸선재』<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08년 02월 06일.</ref>
 +
</gallery>
 +
<gallery mode=packed caption="민족기록화"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파일:이마동-감귤-1973s.jpg |[[이마동-감귤]]
 +
파일:이마동-소득사업(새마을)-1975s.jpg |[[이마동-소득사업(새마을)]]
 +
</gallery>
 +
 +
===영상===
  
=='''그래프'''==
+
=='''주석'''==
 +
<references/>
  
 
=='''참고문헌'''==
 
=='''참고문헌'''==
*"[http://monthlyart.com/dicwho/%EB%B0%95%EC%84%9D%ED%98%B8-2/ 박석호]", 『월간미술』, 월간미술. 2017년 03월 26일 확인.
+
===인용 및 참조===
*"[http://www.okcc.or.kr/html/kr/person/person_16.html 박석호(朴錫浩)]", 『옥천문화원 온라인 서비스』, 옥천문화원. 2017년 03월 26일 확인.
+
#단행본
*"[http://www.okinews.com/news/quickViewArticleView.html?idxno=20368 역사적 인물)박석호 (朴錫浩 : 1919 - 1993)]", 『옥천신문』, 2004년 7월 16일. 2017년 03월 26일 확인.
+
#* 『한국현대미술대표작가100인선집 22』, 이경성 편, 금성출판사, 1976.
*김재관, "[http://www.inews365.com/news/article.html?no=163738 김재관의 현대미술 산책 - 박석호 화백(1919~1994)]", 『충북일보』, 2011년 1월 23일. 2017년 03월 26일 확인.
+
#* 『한국현대미술전집 2』, 한국일보사, 1977.
*"[http://www.oki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0370 박석호의 미술사적 의미]", 『옥천신문』, 2004년 7월 16일. 2017년 03월 26일 확인.
+
#* 『이마동 화집: 1906∼1981』, 동아일보사, 1986.
  
=='''주석'''==
+
===유용한 정보===
<references/>
+
# "[http://monthlyart.com/dicwho/%EC%9D%B4%EB%A7%88%EB%8F%99-2/ 이마동]", 인명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월간미술』<sup>online</sup></online></html>.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4143 이마동]",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 2016년 4월 8일.
  
[[분류:민족기록화]] [[분류:작가]]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가]][[분류:인물]]
 +
[[분류:민족/교열완료]]

2017년 12월 24일 (일) 16:48 기준 최신판


이마동(李馬銅)
"이마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 2016년 4월 8일.
대표명칭 이마동
한자표기 李馬銅
영문명칭 Lee Ma-dong
생몰년 1906년 5월 1일-1981년 10월 5일
출생지 충청남도 아산
청구(靑駒)
국적 대한민국
분야 서양화가


정의

대한민국의 서양화가이다.

내용

1906년 충청남도 아산에서 태어난 이마동은 휘문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하여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화가로 불리는 고희동, 그리고 이한복으로부터 그림을 공부하였다. 이후 프랑스에서 유학한 이종우의 문하에서, 그리고 근대기의 미술교육기관인 고려미술원에서는 구본웅 등과도 함께 공부하였다. 1927년에는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 미술학교 서양화과에 입학하였으며, 제7회와 8회 조선미술전람회에서 특선, 13회에는 입선하였다.
1932년 졸업 후 이듬해에는 동아일보 미술기자가 되었으며, 1934년에는 서양화가 단체인 목일회(牧日會) 결성에 참여하였다. 한국전쟁 시에는 종군화가 단장으로 활동하기도 하였다.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심사위원, 목우회 회장, 홍익대학교 교수. 한국미술협회 이사장 등을 역임했다.

작품 세계

그의 회화는 도쿄 미술학교를 중심으로 성립되었던 일본 관학풍의 사실적인 자연주의를 특징으로 한다. 정확한 데생과 잘 계획된 구도, 단단한 색채감에 의한 사실적 표현이 그것이다. 이후 인상주의 회화를 연상시키는 짧은 터치와 화사한 색감이 강조된 서정적인 화면으로 점진적인 전이를 나타냈다. 후기에 들어서면서 나이프를 이용하여 자연의 색채를 보다 생생하게 표현하는 방법을 즐겨 썼다. 그의 화풍은 이상적인 아름다움과 서정적인 분위기를 나타내는 밝고 감각적인 표현 경향으로 전개되었다.

학력

경력

전시

  • 1928-34 조선미술전람회, 경복궁미술관
  • 1973 한국현역작가 100인전, 국립현대미술관
  • 1974 제10회 아시아현대미술전, 동경도미술관
  • 1997 한국근대미술: 유화- 근대를 보는 눈, 국립현대미술관
  • 1998 중원미술의 향기, 대전시립미술관
  • 2003 한밭미술의 여정 II, 대전시립미술관

수상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이마동-소득사업(새마을) 이마동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이마동-감귤 이마동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이마동 도쿄 미술학교 A는 B를 졸업하였다 A edm:isRelatedTo B
고희동 이마동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이한복 이마동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이종우 이마동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목일회 이마동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A ekc:founder B
백만회 이마동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A ekc:founder B
목우회 이마동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A ekc:founder B
이마동 조선미술전람회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이마동 대한민국미술전람회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종군화가단 이마동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한국미술협회 이마동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이마동 서양화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1. 미사, "한국근대미술걸작전2(작품감상)", 『네이버 블로그 - AIC 아트인시티(ART IN CITY)』online, 작성일: 2009년 01월 25일.
  2. 미사, "한국근대미술걸작전2(작품감상)", 『네이버 블로그 - AIC 아트인시티(ART IN CITY)』online, 작성일: 2009년 01월 25일.
  3. 회남자, "412. 이마동 <자화상(1932)>", 『네이버 블로그 - 회허백 겸선재』online, 작성일: 2008년 02월 06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단행본
    • 『한국현대미술대표작가100인선집 22』, 이경성 편, 금성출판사, 1976.
    • 『한국현대미술전집 2』, 한국일보사, 1977.
    • 『이마동 화집: 1906∼1981』, 동아일보사, 1986.

유용한 정보

  1. "이마동", 인명검색, 『월간미술』online.
  2. "이마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 2016년 4월 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