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주 회암사 무학대사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참고문헌) |
(→시각자료) |
||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사진=BHST Hoeamsa Muhak stele.jpg | |사진=BHST Hoeamsa Muhak stele.jpg | ||
|사진출처= | |사진출처= | ||
− | |대표명칭=무학대사비 | + | |대표명칭=양주 회암사 무학대사비 |
|영문명칭=Stele for Buddhist Monk Muhak | |영문명칭=Stele for Buddhist Monk Muhak | ||
− | |한자=無學大師碑 | + | |한자=楊州 檜巖寺 無學大師碑 |
|이칭= | |이칭= | ||
|지정번호=경기도 유형문화재 제51호 | |지정번호=경기도 유형문화재 제51호 | ||
40번째 줄: | 40번째 줄: | ||
}} | }} | ||
====후면==== | ====후면==== | ||
− | 원래의 탑비는 1410년([[조선 태종|태종]] 10)에 제작되었으나,<ref>이도남,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dataType=99&contents_id=GC04300652 무학대사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1821년([[조선 순조|순조]] 21)에 파괴되었고 1828년([[조선 순조|순조]] 28)에 다시 세워졌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0510000,31&flag=Y 무학대사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이러한 과정은 무학대사비(無學大師碑)의 음기(陰記)에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 + | 원래의 탑비는 1410년([[조선 태종|태종]] 10)에 제작되었으나,<ref>이도남,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dataType=99&contents_id=GC04300652 무학대사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1821년([[조선 순조|순조]] 21)에 파괴되었고 1828년([[조선 순조|순조]] 28)에 다시 세워졌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0510000,31&flag=Y 무학대사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이러한 과정은 무학대사비(無學大師碑)의 음기(陰記)<ref>비갈(碑碣)의 등뒤에 새긴 글</ref>에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
{{Blockquote|우리나라의 세 분의 조사(祖師) 지공(指空), 나옹(懶翁), 무학(無學)의 사리를 안치한 탑과 사적비(事蹟碑)가 양주(楊州)의 천보산(天寶山) 북쪽 벼랑에 있으니, 지공과 나옹의 두 비는, 목은(牧隱) 이문정공(李文靖公)이 글을 짓고, 한수(韓修)와 권중화(權仲和)가 써서 고려 말에 세운 것이다.<br/> | {{Blockquote|우리나라의 세 분의 조사(祖師) 지공(指空), 나옹(懶翁), 무학(無學)의 사리를 안치한 탑과 사적비(事蹟碑)가 양주(楊州)의 천보산(天寶山) 북쪽 벼랑에 있으니, 지공과 나옹의 두 비는, 목은(牧隱) 이문정공(李文靖公)이 글을 짓고, 한수(韓修)와 권중화(權仲和)가 써서 고려 말에 세운 것이다.<br/> | ||
54번째 줄: | 54번째 줄: | ||
|비문3= | |비문3= | ||
}} | }} | ||
− | |||
− | |||
− | === | + | =='''지식 관계망'''== |
+ | *'''양주 회암사 지식관계망'''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D011/temple_hoeamsa.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 | ===관계정보===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63번째 줄: | 69번째 줄: | ||
| [[양주 회암사 무학대사비]] || [[자초]]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1828년 | | [[양주 회암사 무학대사비]] || [[자초]]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1828년 | ||
|- | |- | ||
− | | [[양주 | + | | [[양주 회암사지 무학대사탑]] || [[자초]] ||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 1407년 |
|- | |- | ||
| [[양주 회암사 무학대사비]] || [[변계량]]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 | [[양주 회암사 무학대사비]] || [[변계량]]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 ||
71번째 줄: | 77번째 줄: | ||
| [[양주 회암사 무학대사비]] || [[양주 회암사]] || A는 B에 있다 || | | [[양주 회암사 무학대사비]] || [[양주 회암사]] || A는 B에 있다 || | ||
|- | |- | ||
− | | [[양주 회암사 무학대사탑]] || [[양주 회암사]] || A는 B에 있다 || | + | | [[양주 회암사 무학대사비]] || [[양주 회암사지 무학대사탑]]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 |- | ||
+ | | [[양주 회암사지 무학대사탑]] || [[양주 회암사]] || A는 B에 있다 || | ||
|- | |- | ||
| [[지공]] || [[자초]] || A는 B의 스승이다 || | | [[지공]] || [[자초]] || A는 B의 스승이다 || | ||
|- | |- | ||
| [[혜근]] || [[자초]] || A는 B의 스승이다 || | | [[혜근]] || [[자초]] || A는 B의 스승이다 || | ||
− | |||
− | |||
|} | |} | ||
− | ==''' | + | =='''시각 자료'''== |
+ | ===가상현실=== | ||
+ | <html> | ||
+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D011/hoeamsa.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br/> | ||
+ | {{clickable button|[http://dh.aks.ac.kr/Encyves/Pavilions/D011/hoeamsa.htm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 ||
+ | |||
===갤러리=== | ===갤러리=== | ||
<gallery mode=packed heights=200px caption="''회암사의 무학 관련 문화유산''"> | <gallery mode=packed heights=200px caption="''회암사의 무학 관련 문화유산''"> | ||
+ | 파일:BHST Hoeamsa Muhak stele.jpg|무학대사비 전면 | ||
파일:BHST Hoeamsa Josajeon Muhak.jpg|회암사 조사전 내 [[자초|무학]] 진영 | 파일:BHST Hoeamsa Josajeon Muhak.jpg|회암사 조사전 내 [[자초|무학]] 진영 | ||
파일:BHST Hoeamsa Muhak stele-side.jpg|무학대사비 옆면 | 파일:BHST Hoeamsa Muhak stele-side.jpg|무학대사비 옆면 | ||
103번째 줄: | 116번째 줄: | ||
{{승탑비문 Top icon}} | {{승탑비문 Top icon}} | ||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탑비]] [[분류:승탑/ |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탑비]] [[분류:승탑/교열완료]] |
2017년 12월 21일 (목) 14:07 기준 최신판
양주 회암사 무학대사비 (楊州 檜巖寺 無學大師碑) |
|
대표명칭 | 양주 회암사 무학대사비 |
---|---|
영문명칭 | Stele for Buddhist Monk Muhak |
한자 | 楊州 檜巖寺 無學大師碑 |
주소 | 경기 양주시 회암동 산8-1번지 |
문화재 지정번호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51호 |
문화재 지정일 | 1974년 9월 26일 |
찬자 | 변계량(卞季良) |
서자 | 공부(孔俯) |
각자 | 미상 |
서체 | 해서(楷書) |
승려 | 자초(自超) |
건립연대 | 1828년 |
승탑 | 양주 회암사지 무학대사탑 |
|
정의
경기도 양주시 회암동 회암사(檜巖寺)에 있는 조선 초기의 승려 무학대사 자초(無學大師 自超, 1327-1405)의 탑비.
내용
개요
높이 256cm, 너비 91cm, 두께 29cm.[1]
높직한 4각 받침돌 위에 비몸을 세우고 지붕돌을 얹은 간결한 모습이며,[2] 탑비의 오른쪽에는 처음 비석에 쓰였던 사각 받침과 연꽃잎 형태의 지붕이 올려 있다.[3]
태종이 평소 무학대사(無學大師)를 존경하고 따르던 상왕인 친형 정종의 뜻을 받아들여 당대의 문장가이자 문신인 변계량(卞季良)으로 하여금 비명을 짓게 하여 세웠다.[4]
비문
전면
비문에는 무학대사(無學大師)가 고려 공민왕 때 연경(燕京)에 가서 지공대사(指空大師)를 찾아 법을 구하고, 이어서 법천사(法天寺)에 가 있는 나옹선사(懶翁禪師)를 만나보고 제자가 된 일, 태조의 부름을 받아 왕사(王師)가 되어 한양 천도에 큰 역할을 한 일, 회암사(檜巖寺)에 두 스승의 묘탑을 세운 일 등을 기록하고 있다.[5]
그리고 비문의 기록을 통해 무학대사 부도(無學大師 浮屠)가 1407년(태종 7)에 세워졌음을 알 수 있다.[6]
3년이 지난 정해년(태종 7, 1407년) 겨울 12월, 상감께서 의안대군(義安大君) 화(和)에게 대사의 뼈를 회암사 탑에 모시도록 하셨고, 또 4년이 지난 경인년(태종 10, 1410년) 7월, 시호를 내리셨다. | ||
출처: "무학대사비", 금석문 세부정보, |
후면
원래의 탑비는 1410년(태종 10)에 제작되었으나,[7] 1821년(순조 21)에 파괴되었고 1828년(순조 28)에 다시 세워졌다.[8] 이러한 과정은 무학대사비(無學大師碑)의 음기(陰記)[9]에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세 분의 조사(祖師) 지공(指空), 나옹(懶翁), 무학(無學)의 사리를 안치한 탑과 사적비(事蹟碑)가 양주(楊州)의 천보산(天寶山) 북쪽 벼랑에 있으니, 지공과 나옹의 두 비는, 목은(牧隱) 이문정공(李文靖公)이 글을 짓고, 한수(韓修)와 권중화(權仲和)가 써서 고려 말에 세운 것이다. 무학(無學)의 비는 태종께서 즉위하신지 10년(태종 10, 1410년)되던 해인 경인년에, 왕명을 받들어 문신 변계량(卞季良)이 글을 짓고, 공부(孔俯)가 써서 두 분 왕사(王師)의 탑 아래에 세웠다. 그러나 지금은 절은 폐허가 되었고 비만 덩그러니 남아있다. 금상 21년(순조 21, 1821년) 신사년에 이응준(李膺埈)이란 자가 술사(術士) 조대진(趙大鎭)과 함께 사리탑을 헐은 뒤 자기 아버지를 묻고, 지공, 무학의 두 비를 두들겨 부쉈다. |
||
출처: "무학대사비", 금석문 세부정보, |
또한, 각수(刻手) 박지춘(朴枝春)과 석수(石手) 박종석(朴宗錫)·문수조(文守兆)라는 이름이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기술력을 중시하였던 조선 후기 당시 사회상을 확인할 수 있는 부분으로서 역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의의를 지니고 있다.[10]
비문 보러가기 |
• "무학대사비", 금석문 세부정보, |
지식 관계망
- 양주 회암사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양주 회암사 무학대사비 | 자초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1828년 |
양주 회암사지 무학대사탑 | 자초 |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 1407년 |
양주 회암사 무학대사비 | 변계량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
양주 회암사 무학대사비 | 공부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
양주 회암사 무학대사비 | 양주 회암사 | A는 B에 있다 | |
양주 회암사 무학대사비 | 양주 회암사지 무학대사탑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양주 회암사지 무학대사탑 | 양주 회암사 | A는 B에 있다 | |
지공 | 자초 | A는 B의 스승이다 | |
혜근 | 자초 | A는 B의 스승이다 |
시각 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회암사 조사전 내 무학 진영
주석
- ↑ "무학대사비", 금석문 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 - ↑ "무학대사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이도남, "무학대사비",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황원갑, "무학왕사와 천보산 회암사", 『고승과 명찰』, 바움, 2010, 278쪽.
- ↑ 허균, "무학대사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이도남, "무학대사비",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이도남, "무학대사비",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무학대사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비갈(碑碣)의 등뒤에 새긴 글
- ↑ 이도남, "무학대사비",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 "무학대사비", 금석문 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 - "무학대사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무학대사비", 답사여행의 길잡이:경기북부와 북한강,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무학대사비",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이도남, "무학대사비",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허균, "무학대사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황원갑, "무학왕사와 천보산 회암사", 『고승과 명찰』, 바움, 2010, 272-292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