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시각자료)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4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3번째 줄: 3번째 줄:
 
|사진출처=
 
|사진출처=
 
|대표명칭=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대표명칭=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영문명칭=Stele for
+
|영문명칭=Stele for State Preceptor Beopin at Bowonsa Temple Site, Seosan
 
|한자=瑞山 普願寺址 法印國師塔碑
 
|한자=瑞山 普願寺址 法印國師塔碑
 
|이칭=보원사 법인국사보승탑비(普願寺 法印國師寶乘塔碑)
 
|이칭=보원사 법인국사보승탑비(普願寺 法印國師寶乘塔碑)
9번째 줄: 9번째 줄:
 
|지정일=1963년 1월 21일
 
|지정일=1963년 1월 21일
 
|주소=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119-2
 
|주소=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119-2
|위도=
+
|위도=36.761545
|경도=
+
|경도=126.600716
|찬자=김정언(金廷彦)
+
|찬자=[[김정언|김정언(金廷彦)]]
|서자=한윤(韓允)
+
|서자=[[한윤(고려)|한윤(韓允)]]
|각자=김승렴(金承廉)
+
|각자=[[김승렴|김승렴(金承廉)]]
|서체=해서(楷書)
+
|서체=[[해서|해서(楷書)]]
 
|승려=[[탄문|탄문(坦文)]]
 
|승려=[[탄문|탄문(坦文)]]
|건립연대=
+
|건립연대=978년
|승탑=
+
|승탑=[[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瑞山 普願寺址 法印國師塔)]]
|비문=[[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문]]
+
|비문=
 
}}
 
}}
  
 
=='''정의'''==
 
=='''정의'''==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서산 보원사지|보원사지(普願寺址)]]에 있는 고려시대의 승려 법인국사 탄문(法印國師 坦文, 900-975)의 탑비.
+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서산 보원사지|보원사지(普願寺址)]]에 있는 고려시대의 승려 [[탄문|법인국사 탄문(法印國師 坦文, 900-975)]][[탑비]].
  
 
=='''내용'''==
 
=='''내용'''==
 
 
===개요===
 
===개요===
 
전체 높이 4.25m, 비신 너비 1.2m. 탑비는 [[귀부|귀부(龜趺)]]와 비신(碑身)과 [[이수|이수(螭首)]]로 구성되어 있다.
 
전체 높이 4.25m, 비신 너비 1.2m. 탑비는 [[귀부|귀부(龜趺)]]와 비신(碑身)과 [[이수|이수(螭首)]]로 구성되어 있다.
  
[[탄문|법인국사(法印國師)]]는 고려 광종의 총애 속에 고려 불교계를 이끌면서 교종(敎宗)과 선종(禪宗)의 융합을 주창하였으며, 국사(國師)가 되어 [[서산 보원사지|서산 보원사(普願寺)]]에 주석하였다.<ref>이해준, "[http://seosan.grandculture.net/Contents?local=seosan&dataType=01&contents_id=GC04100927 탄문]", 디지털서산문화대전</ref>
+
[[탄문|법인국사(法印國師)]]는 [[고려 광종]]의 총애 속에 고려 불교계를 이끌면서 [[교종|교종(敎宗)]][[선종|선종(禪宗)]]의 융합을 주창하였으며, [[국사|국사(國師)]]가 되어 [[서산 보원사지|서산 보원사(普願寺)]]에 주석하였다.<ref>이해준, "[http://seosan.grandculture.net/Contents?local=seosan&dataType=01&contents_id=GC04100927 탄문]", <html><online style="color:purple">『디지털서산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975년([[고려 광종|광종]] 26) 75세의 나이로 입적하자, 978년([[고려 경종|경종]] 3) [[고려 경종|경종]]은 '법인(法印)'이라는 시호를 내리고 '보승(寶乘)'이라는 탑호를 내렸다.<ref>김세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3480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현재 탑비 옆에는 [[탄문|법인국사]]의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승탑]]이 놓여져 있는데, 이 승탑은 [[탄문|법인국사]]가 입적한 975년과 탑비가 건립된 978년 사이에 조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ref>정영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3479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비문은 [[김정언|김정언(金廷彦)]]이 짓고, [[한윤(고려)|한윤(韓允)]]이 썼으며, [[김승렴|김승렴(金承廉)]]이 글씨를 새겼다. 글씨는 [[구양순|구양순(歐陽詢)]]의 [[해서|해서체]]로 쓰여졌다. [[귀부]]는 거북모양이나, 머리는 여의주를 물고 있는 용의 모습으로, 목은 앞으로 빼고 콧수염은 뒤로 돌아 있으며 눈은 크게 튀어 나와 있다. 등 위에는 3단받침을 하고 비를 얹었으며, [[이수]]는 네 귀퉁이에서 안쪽을 바라보는 용을 새기고, 앞·뒷면에는 구름무늬를 조각하였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1060000,34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비문===
 
===비문===
 +
비문의 내용은 [[탄문|법인국사(法印國師)]]의 출가 과정, [[고려 태조|태조]]와 [[고려 광종|광종]] 등 역대 고려 임금들과의 특별한 인연, [[서산 보원사지|보원사(普願寺)]]와의 관계 등을 기록하고 마지막에 [[국사]]를 칭송하는 비명(碑銘)을 덧붙였다.<ref>윤용혁, "[http://seosan.grandculture.net/Contents?local=seosan&dataType=01&contents_id=GC04100626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디지털서산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비문정보
 +
|비문1=임세원, 이우태, "보원사 법인국사 보승탑비", 『한국금석문집성 21: 고려5 비문5』, 한국국학진흥원, 2014, 15-35쪽. 온라인 참조: "[http://www.krpia.co.kr/product/main;jsessionid=9D11B9A1645E04A3207CA9F97B6F3C2B?plctId=PLCT00006043#none 한국금석문집성 21: 고려5 비문5]", <html><online style="color:purple">『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누리미디어.
 +
|비문2="[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118 보원사법인국사보승탑비]", 금석문 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
 +
}}
  
=='''지식관계망'''==
+
=='''지식 관계망'''==
"그래프 삽입"
+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D019/stele_beopin_bowonsa.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관련항목===
+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 [[탄문]]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
 +
|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 [[김정언]]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
 +
|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 [[한윤(고려)]]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A ekc:calligrapher B
 +
|-
 +
|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 [[김승렴]] || A는 B가 비문을 새겼다 || A ekc:inscriber B
 +
|-
 +
|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 [[서산 보원사]] || A는 B에 있었다 || A edm:formerLocation B
 +
|-
 +
|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 [[서산 보원사지]]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서산 보원사지]] || [[서산 보원사]] || A는 B의 터이다 || A edm:isRelatedTo B
 +
|-
 +
|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시각자료'''==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현실===
 +
<html>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D019/Bowonsaji.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br/>
 +
{{clickable button|[http://dh.aks.ac.kr/Encyves/Pavilions/D019/Bowonsaji.htm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
  
 
===갤러리===
 
===갤러리===
 
+
<gallery mode=packed heights=250px>
===영상===
+
파일:
 +
</gallery>
  
 
=='''주석'''==
 
=='''주석'''==
54번째 줄: 86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
* 이지관, "해미 보원사 법인국사 보승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2,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5, 74-116쪽.
 +
* 김세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3480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윤용혁, "[http://seosan.grandculture.net/Contents?local=seosan&dataType=01&contents_id=GC04100626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디지털서산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이해준, "[http://seosan.grandculture.net/Contents?local=seosan&dataType=01&contents_id=GC04100927 탄문]", <html><online style="color:purple">『디지털서산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임세원, 이우태, "보원사 법인국사 보승탑비", 『한국금석문집성 21: 고려5 비문5』, 한국국학진흥원, 2014, 15-35쪽. 온라인 참조: "[http://www.krpia.co.kr/product/main;jsessionid=9D11B9A1645E04A3207CA9F97B6F3C2B?plctId=PLCT00006043#none 한국금석문집성 21: 고려5 비문5]", <html><online style="color:purple">『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누리미디어.
 +
* 정영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3479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118 보원사법인국사보승탑비]", 금석문 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1060000,34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
 
{{승탑비문 Top icon}}
 
{{승탑비문 Top icon}}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탑비]]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탑비]] [[분류:승탑/교열완료]]

2017년 12월 21일 (목) 13:51 기준 최신판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瑞山 普願寺址 法印國師塔碑)
BHST Stele.png
대표명칭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영문명칭 Stele for State Preceptor Beopin at Bowonsa Temple Site, Seosan
한자 瑞山 普願寺址 法印國師塔碑
이칭 보원사 법인국사보승탑비(普願寺 法印國師寶乘塔碑)
주소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119-2
문화재 지정번호 보물 제106호
문화재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찬자 김정언(金廷彦)
서자 한윤(韓允)
각자 김승렴(金承廉)
서체 해서(楷書)
승려 탄문(坦文)
건립연대 978년
승탑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瑞山 普願寺址 法印國師塔)



정의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보원사지(普願寺址)에 있는 고려시대의 승려 법인국사 탄문(法印國師 坦文, 900-975)탑비.

내용

개요

전체 높이 4.25m, 비신 너비 1.2m. 탑비는 귀부(龜趺)와 비신(碑身)과 이수(螭首)로 구성되어 있다.

법인국사(法印國師)고려 광종의 총애 속에 고려 불교계를 이끌면서 교종(敎宗)선종(禪宗)의 융합을 주창하였으며, 국사(國師)가 되어 서산 보원사(普願寺)에 주석하였다.[1] 975년(광종 26) 75세의 나이로 입적하자, 978년(경종 3) 경종은 '법인(法印)'이라는 시호를 내리고 '보승(寶乘)'이라는 탑호를 내렸다.[2] 현재 탑비 옆에는 법인국사승탑이 놓여져 있는데, 이 승탑은 법인국사가 입적한 975년과 탑비가 건립된 978년 사이에 조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3]

비문은 김정언(金廷彦)이 짓고, 한윤(韓允)이 썼으며, 김승렴(金承廉)이 글씨를 새겼다. 글씨는 구양순(歐陽詢)해서체로 쓰여졌다. 귀부는 거북모양이나, 머리는 여의주를 물고 있는 용의 모습으로, 목은 앞으로 빼고 콧수염은 뒤로 돌아 있으며 눈은 크게 튀어 나와 있다. 등 위에는 3단받침을 하고 비를 얹었으며, 이수는 네 귀퉁이에서 안쪽을 바라보는 용을 새기고, 앞·뒷면에는 구름무늬를 조각하였다.[4]

비문

비문의 내용은 법인국사(法印國師)의 출가 과정, 태조광종 등 역대 고려 임금들과의 특별한 인연, 보원사(普願寺)와의 관계 등을 기록하고 마지막에 국사를 칭송하는 비명(碑銘)을 덧붙였다.[5]


비문 보러가기
임세원, 이우태, "보원사 법인국사 보승탑비", 『한국금석문집성 21: 고려5 비문5』, 한국국학진흥원, 2014, 15-35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21: 고려5 비문5",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누리미디어.
"보원사법인국사보승탑비", 금석문 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소.



지식 관계망

  •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탄문 A는 B를 위한 비이다 A ekc:isSteleOf B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김정언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A ekc:writer B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한윤(고려) A는 B가 비문을 썼다 A ekc:calligrapher B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김승렴 A는 B가 비문을 새겼다 A ekc:inscriber B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서산 보원사 A는 B에 있었다 A edm:formerLocation B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서산 보원사지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서산 보원사지 서산 보원사 A는 B의 터이다 A edm:isRelatedTo B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갤러리

주석

  1. 이해준, "탄문", 『디지털서산문화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김세호,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정영호,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5. 윤용혁,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디지털서산문화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