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패옥(왕실남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착용신분과 착용상황)
잔글 (정의)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궁중기록화관 Top icon}}
 
{{궁중기록화관 Top icon}}
 
{{복식정보
 
{{복식정보
|이미지=궁중기록화 복식 왕실남성 패옥 01.jpg
+
|사진= 궁중기록화 복식 왕실남성 패옥 01.jpg
|대표명칭= 패옥(佩玉)
+
|사진출처= 『正祖國葬都監儀軌』
 +
|대표명칭= 패옥
 +
|한자표기= 佩玉
 
|이칭별칭=
 
|이칭별칭=
|착용신분= 왕실
+
|구분= 기타
 +
|착용신분= [[황제]], [[황태자]], [[왕]], [[왕세자]], [[왕세손]]
 
|착용성별= 남성
 
|착용성별= 남성
|복식구성= 형(珩), 황(璜), 거(琚), 우(瑀), 충아(衝牙)
 
|관련복식= [[대례복|대례복(大禮服)]]
 
|복식구분= 기타
 
|필드수= 7
 
 
}}
 
}}
==정의==
 
* 덕의 상징으로 좌우에 늘이어 차는 옥.
 
  
==복식구성==
+
=='''정의'''==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
조선시대의 [[왕]]과 [[왕세자]], [[왕세손]]과 대한제국 [[황제]], [[황태자]]가 [[제례]]나 [[책례]], [[가례]] 등의 중요한 의례를 행하거나, 정월 초하루, 동짓날, 경축일 등 절일(節日)에 좌우에 늘어뜨려 차는 옥이다.<ref>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72쪽.</ref>
파일:궁중기록화 복식 패옥 02.jpg|『詩傳圖』
 
</gallery>
 
  
==기본정보==
+
=='''내용'''==
===착용신분===
+
[[패옥(왕실남성)|패옥]]은 형(珩), 황(璜), 거(琚), 우(瑀), 충아(衝牙)로 구성된다. 형은 길쭉한 모양으로 가장 윗부분에 있다. 그 아래에 거 2개와 우 1개가 있는데, 우가 가운데에 있고 거는 양옆에 있다. 가장 아래에는 황과 충아가 있는데, 가운데에 충아가 있고 황은 양옆에 있다.<ref> 그 내용은 『시경(詩經)』에 기록되어 있다.
* [[]], [[황태자]], [[왕세자]], [[왕세손]].
+
{{Blockquote|잡패(雜佩)는 좌우(左右)의 패옥(佩玉)이다. 위에 가로댄 것을 형(珩)이라 하니, 아래에서 세 개의 끈을 매달고 진주조개를 꿰며, 가운데 끈의 중간에 하나의 큰 구슬을 꿰니, 이것을 우(瑀)라 한다. 끝에 하나의 옥을 매다는데 두 끝이 모두 뾰족하니, 이것을 충아(衝牙)라 한다. 양 곁의 끈 중간에 각기 하나씩 옥을 매다는데, 길쭉하고 넓적하며 네모지니, 이것을 거(琚)라 한다. 그 끝에 각각 한 옥을 매다는데, 반벽(半璧)과 같으며 안으로 향했으니, 이것을 황(璜)이라 한다. 또 두 개의 끈으로 구슬을 꿰어 위로 형(珩)에 매달고, 양 끝은 아래로 우(瑀)에 교차시켜 꿰고 아래로 두 황(璜)에 매다니, 사람이 걸어가면 충아(衝牙)가 황(璜)에 부딪쳐 소리가 난다. 여씨(呂氏)가 말하기를 '비단 옥뿐만이 아니요 뿔송곳과 화경, 바늘과 대통 등 모든 찰만한 것은 모두 이것이다.' 하였다.(集傳: 雜佩者, 左右佩玉也. 上橫曰珩, 下繫三組, 貫以蠙珠, 中組之半, 貫一大珠, 曰瑀. 末懸一玉, 兩端皆銳, 曰衝牙. 兩旁組半, 各懸一玉, 長博而方, 曰琚, 其末各懸一玉, 如半璧而內向, 曰璜. 又以兩組貫珠, 上繫珩, 兩端下交貫瑀而下繫於兩璜, 行則衝牙觸璜而有聲也. 呂氏曰, 非獨玉也. 觿燧箴(針)管凡可佩者皆是也.)
 +
|출처= 『詩經』, 「鄭風」, '女曰鷄鳴'.}}</ref>
 +
덕의 상징으로, [[패옥]]을 찬 채 걸으면 황과 충아가 서로 부딪쳐 ‘쟁쟁[鏘鏘]’하고 소리를 낸다. 군자는 이 소리를 들으면서 사악한 마음이 자신 안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다스리는 것이다. [[패옥(왕실남성)|패옥]]은 [[혁대]]에 걸어야 하지만 조선 전기 [[왕의 대례복|면복]]에는 [[혁대]]를 착용하지 않아 [[대대(왕실남성)|대대]]에 걸었을 것이고, 조선 후기에 [[혁대]]를 착용하면서부터 [[혁대]]에 걸었을 것이다.<ref>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72~76쪽.</ref>
  
===착용상황===
+
=='''지식 관계망'''==
* 국가 의례, 혼례 등의 [[대례복]]을 입을 때.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기본 형태<ref>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76쪽.</ref>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형(珩), 황(璜), 거(琚), 우(瑀), 충아(衝牙)로 구성.
+
|-
* 형은 가로로 길쭉한 모양이고 가장 윗부분에 있음.
+
| [[황제]] || 패옥(왕실남성)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그 아래에 거 2개와 우 1개가 있는데, 우가 가운데에 있고 거는 양옆에 있음.
+
|-
* 가장 아래에는 황과 충아가 있는데, 가운데에 충아가 있고 황은 양옆에 있음.
+
| [[황태자]] || 패옥(왕실남성)||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Blockquote|잡패(雜佩)는 좌우(左右)의 패옥(佩玉)이다. 위에 가로댄 것을 형(珩)이라 하니, 아래에서 세 개의 끈을 매달고 진주조개를 꿰며, 가운데 끈의 중간에 하나의 큰 구슬을 꿰니, 이것을 우(瑀)라 한다. 끝에 하나의 옥을 매다는데 두 끝이 모두 뽀족하니, 이것을 충아(衝牙)라 한다. 양 곁의 끈 중간에 각기 하나씩 옥을 매다는데, 길쭉하고 넓적하며 네모지니, 이것을 거(琚)라 한다. 그 끝에 각각 한 옥을 매다는데, 반벽(半璧)과 같으며 안으로 향했으니, 이것을 황(璜)이라 한다. 또 두 개의 끈으로 구슬을 꿰어 위로 형(珩)에 매달고, 양 끝은 아래로 우(瑀)에 교차시켜 꿰고 아래로 두 황(璜)에 매다니, 사람이 걸어가면 충아(衝牙)가 황(璜)에 부딪쳐 소리가 난다. 여씨(呂氏)가 말하기를 󰡒비단 옥뿐만이 아니요 뿔송곳과 화경, 바늘과 대통 등 모든 찰만 한 것은 모두 이것이다.󰡓 하였다.(集傳: 雜佩者, 左右佩玉也. 上橫曰珩, 下繫三組, 貫以蠙珠, 中組之半, 貫一大珠, 曰瑀. 末懸一玉, 兩端皆銳, 曰衝牙. 兩旁組半, 各懸一玉, 長博而方, 曰琚, 其末各懸一玉, 如半璧而內向, 曰璜. 又以兩組貫珠, 上繫珩, 兩端下交貫瑀而下繫於兩璜, 行則衝牙觸璜而有聲也. 呂氏曰, 非獨玉也. 觿燧箴(針)管凡可佩者皆是也.)
+
|-
|출처= 『詩經』, 「鄭風」, '女曰鷄鳴'.}}
+
| [[]] ||  패옥(왕실남성)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300px>
+
|-
파일:9패옥오례의서례.jpg|『國朝五禮儀序例』
+
| [[왕세자]] || 패옥(왕실남성)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파일:궁중기록화 복식 왕실남성 패옥 01.jpg|『正祖國葬都監儀軌』
+
|-
</gallery>
+
| 패옥(왕실남성) || [[황제의 대례복]] || A는 B의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패옥]][[혁대]]에 걸어야 하지만 조선 전기 [[면복]]에는 [[혁대]]를 착용하지 않았으므로 [[대대]]에 걸었을 것이고, 조선 후기에 [[혁대]]를 착용하면서부터 [[혁대]]에 걸었을 것.<ref>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76쪽.</ref>
+
|-
 
+
| 패옥(왕실남성) || [[황태자의 대례복]] || A는 B의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기타===
+
|-
* '''상징'''
+
| 패옥(왕실남성) || [[왕의 대례복]] || A는 B의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덕의 상징으로, [[패옥]]을 찬 채 걸으면 황과 충아가 서로 부딪쳐 ‘쟁쟁[鏘鏘]’하고 소리를 내, 군자는 이 소리를 들으면서 사악한 마음이 자신 안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다스림.<ref>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72쪽.</ref>
+
|-
 
+
| 패옥(왕실남성) || [[왕세자의 대례복]] || A는 B의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관련항목==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 패옥(왕실남성) || [[황제의 조복]] || A는 B의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항목A!!항목B!!관계
+
|-
 +
| 패옥(왕실남성) || [[황태자의 조복]] || A는 B의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
|[[황제]] || '''{{PAGENAME}}''' ||A는 B를 착용한다
+
| 패옥(왕실남성) || [[왕의 조복]] || A는 B의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
|[[황태자]] || '''{{PAGENAME}}''' ||A는 B를 착용한다
+
| 패옥(왕실남성) || [[왕세자의 조복]] || A는 B의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 '''{{PAGENAME}}''' ||A는 B를 착용한다
+
| 패옥(왕실남성) || [[면복 상의]] ||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
|[[왕세자]] || '''{{PAGENAME}}''' ||A는 B를 착용한다
+
| 패옥(왕실남성) || [[면복 하상]] ||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
|[[왕세손]] || '''{{PAGENAME}}''' ||A는 B를 착용한다
+
| 패옥(왕실남성) || [[강사포 상의]] ||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
|'''{{PAGENAME}}'''  || [[대례복]] ||A는 B의 일습이다
+
| 패옥(왕실남성) || [[강사포 하상]] ||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
|'''{{PAGENAME}}''' || [[면복각]] ||A는 B에서 소장한다
+
| 패옥(왕실남성) || [[의궤]] ||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 A ekc:mentions B
 +
|-
 +
| 패옥(왕실남성) || [[상의원]] || A는 B에서 제작되였다 || A dcterms:creator B
 +
|-
 +
| 패옥(왕실남성) || [[면복각]] || A는 B에 보관되었다 || A edm:formerLocation B
 
|}
 
|}
  
==참고문헌==
+
===시간정보===
*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
+
===공간정보===
* 권현주, 「접섭대(䪓韘帶)에 관한 연구」, 『中央아시아硏究』, V.11, 중앙아시아학회, 2005.
+
 
* 단국대학교 석주선 기념박물관, 『名選-下』, 단국대학교출판부, 2004.
+
=='''시각자료'''==
* 류희경, 『우리옷 이천년』, 미술문화, 2001.
+
===갤러리===
* 문화재청, 『한국의 초상화-역사속의 인물과 조우하다』, 문화재청, 2007.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300px>
* 석주선, 『한국복식사』, 보진재, 1971.
+
파일:궁중기록화 복식 패옥 02.jpg|패옥의 구조.<ref>『詩傳圖』</ref>
* 이강칠 외, 『역사인물초상화대사전』, 현암사, 2003.
+
파일:9패옥오례의서례.jpg|『國朝五禮儀序例』
* 장정윤, 「朝鮮時代 文武百官 朝服에 關한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gallery>
* 周錫保, 『中國古代服飾史』, 中國戱劇出版社, 1983.
+
===영상===
 +
 
 +
=='''주석'''==
 +
<references/>
 +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 고광림, 『한국의 관복』, 화성사, 1995.
 +
* 국립고궁박물관 엮음, 『대한제국, 잊혀진 100년 전의 황제국』, 민속원, 2011.
 +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 金明淑, 「朝鮮時代 冕服의 考察-國葬都監儀軌 服玩圖說을 中心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
 +
* 金明淑, 「朝鮮後期 冕服의 變遷-國葬都監儀軌 服玩圖設을 통한 考察-, 『服飾』 7권, 한국복식학회, 1983.
 +
* 金明淑, 「한국과 중국의 袞冕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
* 유희경, 「冕服에 關한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72.
 +
* 이민주,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3.
 
* 최규순, 『中國歷代帝王冕服硏究』, 동화대학출판부, 2007.
 
* 최규순, 『中國歷代帝王冕服硏究』, 동화대학출판부, 2007.
* 최규순, 「이 시대의 진정한 ‘紳士’를 위하여」, 『전통 의생활 연구』, 제 2집, 단국대학교 전통복식연구소, 2008.
 
 
*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 최영선, 「朝鮮時代 文武百官 祭服에 關한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
* 홍나영ㆍ신혜성ㆍ이은진 지음, 『동아시아 복식의 역사』, 교문사, 2011.
 
* 홍나영, 「佩玉에 관한 硏究」, 『韓國服飾』 8,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1990.
 
* 홍나영, 「佩玉에 관한 硏究」, 『韓國服飾』 8,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1990.
 
==주석==
 
<references/>
 
  
 
[[분류:궁중기록화]]
 
[[분류:궁중기록화]]
 
[[분류:복식]]
 
[[분류:복식]]

2017년 12월 19일 (화) 01:39 기준 최신판


패옥
(佩玉)
『正祖國葬都監儀軌』
대표명칭 패옥
한자표기 佩玉
구분 기타
착용신분 황제, 황태자, , 왕세자, 왕세손
착용성별 남성



정의

조선시대의 왕세자, 왕세손과 대한제국 황제, 황태자제례책례, 가례 등의 중요한 의례를 행하거나, 정월 초하루, 동짓날, 경축일 등 절일(節日)에 좌우에 늘어뜨려 차는 옥이다.[1]

내용

패옥은 형(珩), 황(璜), 거(琚), 우(瑀), 충아(衝牙)로 구성된다. 형은 길쭉한 모양으로 가장 윗부분에 있다. 그 아래에 거 2개와 우 1개가 있는데, 우가 가운데에 있고 거는 양옆에 있다. 가장 아래에는 황과 충아가 있는데, 가운데에 충아가 있고 황은 양옆에 있다.[2] 덕의 상징으로, 패옥을 찬 채 걸으면 황과 충아가 서로 부딪쳐 ‘쟁쟁[鏘鏘]’하고 소리를 낸다. 군자는 이 소리를 들으면서 사악한 마음이 자신 안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다스리는 것이다. 패옥혁대에 걸어야 하지만 조선 전기 면복에는 혁대를 착용하지 않아 대대에 걸었을 것이고, 조선 후기에 혁대를 착용하면서부터 혁대에 걸었을 것이다.[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황제 패옥(왕실남성)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황태자 패옥(왕실남성)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패옥(왕실남성)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왕세자 패옥(왕실남성)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패옥(왕실남성) 황제의 대례복 A는 B의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패옥(왕실남성) 황태자의 대례복 A는 B의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패옥(왕실남성) 왕의 대례복 A는 B의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패옥(왕실남성) 왕세자의 대례복 A는 B의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패옥(왕실남성) 황제의 조복 A는 B의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패옥(왕실남성) 황태자의 조복 A는 B의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패옥(왕실남성) 왕의 조복 A는 B의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패옥(왕실남성) 왕세자의 조복 A는 B의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패옥(왕실남성) 면복 상의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A ekc:goesWith B
패옥(왕실남성) 면복 하상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A ekc:goesWith B
패옥(왕실남성) 강사포 상의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A ekc:goesWith B
패옥(왕실남성) 강사포 하상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A ekc:goesWith B
패옥(왕실남성) 의궤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A ekc:mentions B
패옥(왕실남성) 상의원 A는 B에서 제작되였다 A dcterms:creator B
패옥(왕실남성) 면복각 A는 B에 보관되었다 A edm:formerLocation B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72쪽.
  2. 그 내용은 『시경(詩經)』에 기록되어 있다.
    Quote-left.png 잡패(雜佩)는 좌우(左右)의 패옥(佩玉)이다. 위에 가로댄 것을 형(珩)이라 하니, 아래에서 세 개의 끈을 매달고 진주조개를 꿰며, 가운데 끈의 중간에 하나의 큰 구슬을 꿰니, 이것을 우(瑀)라 한다. 끝에 하나의 옥을 매다는데 두 끝이 모두 뾰족하니, 이것을 충아(衝牙)라 한다. 양 곁의 끈 중간에 각기 하나씩 옥을 매다는데, 길쭉하고 넓적하며 네모지니, 이것을 거(琚)라 한다. 그 끝에 각각 한 옥을 매다는데, 반벽(半璧)과 같으며 안으로 향했으니, 이것을 황(璜)이라 한다. 또 두 개의 끈으로 구슬을 꿰어 위로 형(珩)에 매달고, 양 끝은 아래로 우(瑀)에 교차시켜 꿰고 아래로 두 황(璜)에 매다니, 사람이 걸어가면 충아(衝牙)가 황(璜)에 부딪쳐 소리가 난다. 여씨(呂氏)가 말하기를 '비단 옥뿐만이 아니요 뿔송곳과 화경, 바늘과 대통 등 모든 찰만한 것은 모두 이것이다.' 하였다.(集傳: 雜佩者, 左右佩玉也. 上橫曰珩, 下繫三組, 貫以蠙珠, 中組之半, 貫一大珠, 曰瑀. 末懸一玉, 兩端皆銳, 曰衝牙. 兩旁組半, 各懸一玉, 長博而方, 曰琚, 其末各懸一玉, 如半璧而內向, 曰璜. 又以兩組貫珠, 上繫珩, 兩端下交貫瑀而下繫於兩璜, 行則衝牙觸璜而有聲也. 呂氏曰, 非獨玉也. 觿燧箴(針)管凡可佩者皆是也.) Quote-right.png
    출처: 『詩經』, 「鄭風」, '女曰鷄鳴'.

  3.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72~76쪽.
  4. 『詩傳圖』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고광림, 『한국의 관복』, 화성사, 1995.
  • 국립고궁박물관 엮음, 『대한제국, 잊혀진 100년 전의 황제국』, 민속원, 2011.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金明淑, 「朝鮮時代 冕服의 考察-國葬都監儀軌 服玩圖說을 中心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
  • 金明淑, 「朝鮮後期 冕服의 變遷-國葬都監儀軌 服玩圖設을 통한 考察-」, 『服飾』 7권, 한국복식학회, 1983.
  • 金明淑, 「한국과 중국의 袞冕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 유희경, 「冕服에 關한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72.
  • 이민주,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3.
  • 최규순, 『中國歷代帝王冕服硏究』, 동화대학출판부, 2007.
  •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 홍나영ㆍ신혜성ㆍ이은진 지음, 『동아시아 복식의 역사』, 교문사, 2011.
  • 홍나영, 「佩玉에 관한 硏究」, 『韓國服飾』 8,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