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내용) |
잔글 (→내용)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7번째 줄: | 17번째 줄: | ||
[[화|화(靴)]]는 통일신라 시대만 하더라도 평민 남자들까지도 신을 수 있는 보편적인 신이었다. 조선시대에 이르면 [[왕]]과 [[백관]]만이 착용할 수 있는 신으로 정착된다. [[경국대전|『경국대전』]]에 규정된 [[백관]]들의 [[백관의 공복|공복]]용 신은 1품에서 9품까지 모두 '흑피화(黑皮靴)'이며, '협금화(挾金靴)'는 정1품에서 정3품까지의 당상관들이 평상시 집무를 볼 때 입는 [[단령]]에 갖추어 신던 신이다.<ref>최공호·박계리·고우리·진유리·김소정, 『한국인의 신발, 화혜』, 미진사, 2015, 32~38쪽.</ref> '수화자(水靴子)'는 조선시대 무관들이 [[철릭]]에 갖추어 신던 신으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바닥에 기름을 먹인 천이나 가죽, 종이를 깔아 만들었다. '목화(木靴)'는 목이 긴 신을 통칭하는 말로 19세기부터 문헌에서 확인되며, [[단령]]과 함께 [[백관]]의 [[백관의 상복|상복]]과 [[백관의 공복|공복]]에 착용되었다.<ref>홍나영ㆍ신혜성ㆍ이은진 지음, 『동아시아 복식의 역사』, 교문사, 2011, 340쪽.</ref> | [[화|화(靴)]]는 통일신라 시대만 하더라도 평민 남자들까지도 신을 수 있는 보편적인 신이었다. 조선시대에 이르면 [[왕]]과 [[백관]]만이 착용할 수 있는 신으로 정착된다. [[경국대전|『경국대전』]]에 규정된 [[백관]]들의 [[백관의 공복|공복]]용 신은 1품에서 9품까지 모두 '흑피화(黑皮靴)'이며, '협금화(挾金靴)'는 정1품에서 정3품까지의 당상관들이 평상시 집무를 볼 때 입는 [[단령]]에 갖추어 신던 신이다.<ref>최공호·박계리·고우리·진유리·김소정, 『한국인의 신발, 화혜』, 미진사, 2015, 32~38쪽.</ref> '수화자(水靴子)'는 조선시대 무관들이 [[철릭]]에 갖추어 신던 신으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바닥에 기름을 먹인 천이나 가죽, 종이를 깔아 만들었다. '목화(木靴)'는 목이 긴 신을 통칭하는 말로 19세기부터 문헌에서 확인되며, [[단령]]과 함께 [[백관]]의 [[백관의 상복|상복]]과 [[백관의 공복|공복]]에 착용되었다.<ref>홍나영ㆍ신혜성ㆍ이은진 지음, 『동아시아 복식의 역사』, 교문사, 2011, 340쪽.</ref> | ||
− | [[화]]는 재료와 기능, 시대에 따라서 다양한 명칭으로 | + | [[화]]는 재료와 기능, 시대에 따라서 다양한 명칭으로 불렸다. [[화]]에는 동물의 가죽으로 만든 '피화(皮靴)'가 가장 많았는데, 신을 만들 때 많이 사용했던 사슴 가죽에서부터 고라니, 담비, 말, 살쾡이에 이르기까지 온갖 동물의 가죽이 폭넓게 사용되었다.<ref>최공호·박계리·고우리·진유리·김소정, 『한국인의 신발, 화혜』, 미진사, 2015, 27쪽.</ref> 바닥은 나무나 가죽으로 만들고 신목은 검은 사슴가죽이나 아청공단, 융으로 길게 만들었다. 안은 백색 공단으로 하며 가장자리에는 홍색 선을 둘렀다. [[화]]는 그 형태나 장식에 일정한 규정이 없어 시대의 변천에 따라 조금씩 다른데, [[고종]]이 신던 [[화]]는 발목의 위쪽 발등에 붉은 선을 2줄 둘렀고, 목 부분에는 흰 가죽을 댔다. 신코에는 솜털로 작은 꽃 장식을 달고, 발목 앞쪽에는 흰 선을 한 줄 둘렀다.<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310~311쪽.</ref>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2017년 12월 19일 (화) 00:42 기준 최신판
목화 (木靴) |
|
대표명칭 | 목화 |
---|---|
한자표기 | 木靴 |
이칭별칭 | 목화(木靴), 흑피화(黑皮靴), 수화자(水靴子) |
구분 | 신 |
착용신분 | 황제, 왕, 황태자, 왕세자, 왕세손, 백관 |
착용성별 | 남성 |
정의
대한제국 황제와 황태자, 조선시대 왕과 왕세자, 백관 등이 평상시 집무를 보거나 군대에 관한 일이 있을 때 단령이나 동다리에 갖추어 신는 목이 긴 신이다.[1]
내용
화(靴)는 통일신라 시대만 하더라도 평민 남자들까지도 신을 수 있는 보편적인 신이었다. 조선시대에 이르면 왕과 백관만이 착용할 수 있는 신으로 정착된다. 『경국대전』에 규정된 백관들의 공복용 신은 1품에서 9품까지 모두 '흑피화(黑皮靴)'이며, '협금화(挾金靴)'는 정1품에서 정3품까지의 당상관들이 평상시 집무를 볼 때 입는 단령에 갖추어 신던 신이다.[2] '수화자(水靴子)'는 조선시대 무관들이 철릭에 갖추어 신던 신으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바닥에 기름을 먹인 천이나 가죽, 종이를 깔아 만들었다. '목화(木靴)'는 목이 긴 신을 통칭하는 말로 19세기부터 문헌에서 확인되며, 단령과 함께 백관의 상복과 공복에 착용되었다.[3]
화는 재료와 기능, 시대에 따라서 다양한 명칭으로 불렸다. 화에는 동물의 가죽으로 만든 '피화(皮靴)'가 가장 많았는데, 신을 만들 때 많이 사용했던 사슴 가죽에서부터 고라니, 담비, 말, 살쾡이에 이르기까지 온갖 동물의 가죽이 폭넓게 사용되었다.[4] 바닥은 나무나 가죽으로 만들고 신목은 검은 사슴가죽이나 아청공단, 융으로 길게 만들었다. 안은 백색 공단으로 하며 가장자리에는 홍색 선을 둘렀다. 화는 그 형태나 장식에 일정한 규정이 없어 시대의 변천에 따라 조금씩 다른데, 고종이 신던 화는 발목의 위쪽 발등에 붉은 선을 2줄 둘렀고, 목 부분에는 흰 가죽을 댔다. 신코에는 솜털로 작은 꽃 장식을 달고, 발목 앞쪽에는 흰 선을 한 줄 둘렀다.[5]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왕 | 화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왕세자 | 화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백관 | 화 | A는 B를 착용한다 | A ekc:wears B |
왕의 군복 | 화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왕세자의 군복 | 화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백관의 군복 | 화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백관의 공복 | 화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백관의 상복 | 화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화 | 곤룡포 |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화 | 단령 |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화 | 철릭 |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235쪽.
- ↑ 최공호·박계리·고우리·진유리·김소정, 『한국인의 신발, 화혜』, 미진사, 2015, 32~38쪽.
- ↑ 홍나영ㆍ신혜성ㆍ이은진 지음, 『동아시아 복식의 역사』, 교문사, 2011, 340쪽.
- ↑ 최공호·박계리·고우리·진유리·김소정, 『한국인의 신발, 화혜』, 미진사, 2015, 27쪽.
-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310~311쪽.
- ↑ 국립민속박물관(http://www.nfm.go.kr/) 소장.
- ↑ 국립민속박물관(http://www.nfm.go.kr/) 소장.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 곽경희ㆍ홍나영, 「조선시대 남자용 靴에 관한 연구」, 『服飾』 56권 1호, 한국복식학회, 2006.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名選 中』, 단국대학교 출판부, 2005.
- 이민주,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3.
- 조선희, 「東北아시아 신 文化에 關한 硏究 -靴ㆍ鞋ㆍ履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7.
- 최공호·박계리·고우리·진유리·김소정, 『한국인의 신발, 화혜』, 미진사, 2015.
- 홍나영ㆍ신혜성ㆍ이은진 지음, 『동아시아 복식의 역사』, 교문사,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