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세자의 군복"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지식 관계망) |
(→내용)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궁중기록화관 Top icon}} | {{궁중기록화관 Top icon}} | ||
{{복장정보 | {{복장정보 | ||
− | |사진= | + | |사진= 궁중기록화 복장 왕세자의 군복 김아람.png |
|사진출처= | |사진출처= | ||
|대표명칭= 왕세자의 군복 | |대표명칭= 왕세자의 군복 | ||
12번째 줄: | 12번째 줄: | ||
=='''정의'''== | =='''정의'''== | ||
− | 군사(軍事)가 있을 때 또는 능(陵)에 행차하는 등 궁궐 밖으로 나갈 때 입었던 | + | 조선의 [[왕세자]]가 군사(軍事)가 있을 때 또는 능(陵)에 행차하는 등 궁궐 밖으로 나갈 때 입었던 복식 일습이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80쪽.</ref> |
=='''내용'''== | =='''내용'''== | ||
− | 활동의 편의를 위해 소매가 좁고 옷자락의 옆과 뒤가 트여 있다. [[철종]] | + | 활동의 편의를 위해 소매가 좁고 옷자락의 옆과 뒤가 트여 있다. [[철종]]이 [[왕의 군복|군복]]을 착용하고 있는 어진을 참고해 보면 [[곤룡포|곤룡포(袞龍袍)]]와 같이 둥글게 말려 있는 용을 표현한 [[보(왕실남성)|보(補)]]가 달려 있는데, 용의 발톱 수가 4개였을 것으로 추정된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80쪽.</ref> |
==복식구성== | ==복식구성== | ||
67번째 줄: | 67번째 줄: | ||
* 李成熙, 「軍服飾의 記號學的 分析-舊韓末 期陸軍服을 中心으로-」, 상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 | * 李成熙, 「軍服飾의 記號學的 分析-舊韓末 期陸軍服을 中心으로-」, 상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 | ||
− | === | + | ===일러스트 참고문헌=== |
+ | * 난사 전통복식문화재 연구소, 『어진에 옷을 입히다』, 민속원, 2016. | ||
+ |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
+ | * 이민주,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4. | ||
[[분류:궁중기록화]] | [[분류:궁중기록화]] | ||
[[분류:복장]] | [[분류:복장]] |
2017년 12월 18일 (월) 00:14 기준 최신판
왕세자의 군복 (王世子의 軍服) |
|
대표명칭 | 왕세자의 군복 |
---|---|
한자표기 | 王世子의 軍服 |
분류 | 군복 |
착용신분 | 왕세자 |
착용성별 | 남성 |
목차
정의
조선의 왕세자가 군사(軍事)가 있을 때 또는 능(陵)에 행차하는 등 궁궐 밖으로 나갈 때 입었던 복식 일습이다.[1]
내용
활동의 편의를 위해 소매가 좁고 옷자락의 옆과 뒤가 트여 있다. 철종이 군복을 착용하고 있는 어진을 참고해 보면 곤룡포(袞龍袍)와 같이 둥글게 말려 있는 용을 표현한 보(補)가 달려 있는데, 용의 발톱 수가 4개였을 것으로 추정된다.[2]
복식구성
전립(戰笠), 전복(戰服), 동다리, 광대(廣帶), 전대(戰帶), 화(靴)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왕세자의 군복 | 전립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왕세자의 군복 | 전복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왕세자의 군복 | 동다리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왕세자의 군복 | 광대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왕세자의 군복 | 화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왕세자의 군복 | 상의원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권오선, 「조선후기 동다리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 金正子, 「韓國軍服의 變遷硏究」, 『대한가정학회지』 제24권 4호, 대한가정학회, 1986.
- 金賢舜, 「軍服에 對한 硏究 -具軍服을 中心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0.
- 문광희, 「조선 후기 甲胄 및 具軍服에 관한 연구-부산 忠烈祠 소장 유물을 중심으로-」, 『한복문화』 제7권 1호, 한복문화학회, 2004.
- 박가영, 「조선시대의 갑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 박성실, 김향미, 「조선시대 기능적 馬上衣類의 실증적 고찰」, 『韓國服飾』 20호,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02.
- 李成熙, 「軍服飾의 記號學的 分析-舊韓末 期陸軍服을 中心으로-」, 상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
일러스트 참고문헌
- 난사 전통복식문화재 연구소, 『어진에 옷을 입히다』, 민속원, 2016.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이민주,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