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의궤정보 |이미지= 궁중기록화 의궤 가례 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 외규장각.jpg |사진출처= 국립중앙박물관 |대표명칭= 효명세자책례도감...) |
잔글 (→내용) |
||
(사용자 6명의 중간 판 2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궁중기록화관 Top icon}} | ||
{{의궤정보 | {{의궤정보 | ||
− | | | + | |사진= 궁중기록화 의궤 가례 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 외규장각.jpg |
− | |사진출처= 국립중앙박물관 | + | |사진출처= 국립중앙박물관 외규장각 의궤(http://uigwe.museum.go.kr) |
|대표명칭= 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 | |대표명칭= 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 | ||
|한자표기= 孝明世子冊禮都監儀軌 | |한자표기= 孝明世子冊禮都監儀軌 | ||
− | |주제= 책례 | + | |주제= [[책례|책례(冊禮)]] |
− | |작성주체= [[책례도감]] | + | |작성주체= [[책례도감|책례도감(冊禮都監)]] |
|의례담당자= [[이시수|이시수(李時秀)]] | |의례담당자= [[이시수|이시수(李時秀)]] | ||
|작성지역= 한성부 | |작성지역= 한성부 | ||
|작성시기= 1812년(순조 12년) | |작성시기= 1812년(순조 12년) | ||
− | |소장처(원소장처)= | + | |소장처(원소장처)= [[국립중앙박물관]](어람용)<br/>[[규장각한국학연구원]](오대산) |
|판본= 필사본 | |판본= 필사본 | ||
|표기문자= 한자, 이두 | |표기문자= 한자, 이두 | ||
− | |수량= 1책 145장: | + | |수량= 어람용: 총 1책 145장<br/>오대산: 총 1책 145장 |
− | |도설= 9면(채색) | + | |크기= 어람용: 47.5×33.8<br/>오대산: 45.4×32.6 |
− | + | |도설= 9면(채색) | |
+ | |반차도= 12면(채색)<br/>총 길이: 약 408㎝ | ||
}} | }} | ||
− | ==정의== | + | =='''정의'''== |
− | 1812년(순조 12) [[효명세자|효명세자(孝明世子]] | + | 1812년(조선 순조 12) [[효명세자|효명세자(孝明世子)]]를 [[왕세자]]로 책봉(冊封)하는 과정을 기록한 [[의궤]]이다. |
− | == | + | =='''내용'''== |
− | + | 1812년(순조 12), [[순원왕후]]가 낳은 원자가 4세가 되었다. 평안도에서 일어났던 [[홍경래]]의 난이 진압되어 평온을 찾자 [[왕세자]] 책봉이 논의에 올랐다. 5월 1일 [[백관]]들이 하루빨리 [[왕세자]]로 책봉하기를 청하자 [[순조]]는 [[대왕대비]] [[효의왕후]]와 할머니인 [[혜경궁 홍씨]]에게 의논하여 승낙을 받고 7월 안으로 택일하여 아뢰라고 명하였다. 1812년 5월 22일 [[책례도감]]이 설치되었고, 책봉 의절을 결정하였으며 6월 2일에는 [[왕세자]]의 이름을 의논하였다. 예정대로 7월 6일 [[창덕궁 희정당]]에서 [[책례]] 의식이 거행되었다. [[순조]]는 [[창덕궁 인정전]]에 나가 [[죽책]]과 [[옥인]], [[교명]]을 책봉 정사(正使)에게 주어 [[창덕궁 희정당]]에 있는 [[왕세자]]에게 전달하였다. [[왕]]은 [[왕의 대례복|면복]]을 입고 의식에 참여하였으며, [[왕세자]]는 [[쌍동계]]와 [[공정책]], [[왕세자의 대례복|면복]] 차림으로 의식을 거행하였다. [[순조]]는 다음날 [[창덕궁 인정전]]에 나가 [[백관]]들의 하례를 받고 교문을 반포하였으며, [[도제조]]인 영중추부사 [[이시수]]를 비롯한 여러 백관들에게 상을 내렸다.<ref>한영우, 『조선왕조 의궤-국가의례와 그 기록』, 일지사, 2005, 481~482쪽.</ref> | |
− | |||
− | |||
− | + | ===목록=== | |
− | + | 좌목(座目), 거행일기(擧行日記), 전교(傳敎), 이문(移文), 내관(來關), 예관(禮關), 의주(儀註), 감결(甘結), 미포철탄이내수(米布鐵炭移來數), 매삭료포상하식(每朔料布上下式), 상전(賞典), 의궤(儀軌), 일방(一房), 이방(二房), 삼방(三房), 별공작(別工作) | |
− | |||
− | |||
− | + | ===해제=== | |
− | + | 김남윤, "[http://uigwe.museum.go.kr/content/contentView1?serviceType=b&id=uig_224&searchKeyword=&searchKeyword2=&sortField=&sortOrder=asc&dataType=&lmenuType=&listAll=&totalCount=0¤tIndex=1&pageIndex=1&pageUnit=10 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 의궤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외규장각의궤』<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br/> | |
+ | 김영인, "[http://kyujanggak.snu.ac.kr/center/inspection/ins_viewDetail.jsp?setid=1052183&pos=0&total_df=1&uci=GK13125_00&c1=&c2=&c3=&sType=&sWord=%ED%9A%A8%EB%AA%85%EC%84%B8%EC%9E%90%EC%B1%85%EB%A1%80%EB%8F%84%EA%B0%90%EC%9D%98%EA%B6%A4&chung=%E5%A5%8E+13125&writedata=1812 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 의궤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의궤 종합정보』<sup>online</sup></online></html>,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
− | + | ===판본=== | |
− | + | [[국립중앙박물관]]: 어람용(2687)<br/> | |
− | +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오대산본(奎 13125), 예조본(奎 13126), 춘추관본(奎 13127), 태백산본(奎 13128), 정족산성본(奎 13129), 의정부본(奎 14906)<br/> | |
− | +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적상산성본(K2-2690) | |
− | == | + | {{연계자원정보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 | |연계자원1= '''회화'''<br/>[[수교도|수교도(受敎圖)]] |
−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연계자원2= |
+ | |연계자원3= | ||
+ | |연계자원4= | ||
+ | |연계자원5= | ||
+ | }} | ||
+ | |||
+ | =='''지식 관계망'''==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B007/B007.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 | ===관계정보===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 || [[효명세자]]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 || [[왕세자]]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 || [[왕세자의 대례복]] || A는 B를 기록하였다 || A ekc:mentions B | ||
+ | |- | ||
+ | | 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 || [[책례]] || A는 B를 기록하였다 || A ekc:documents B | ||
+ | |- | ||
+ | | 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 || [[국립중앙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 | ||
+ | | 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 | ||
+ | | 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 | ||
+ | |||
+ | ===시간정보===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 | !style="width:20%px"|시간!!style="width:80%px"|내용 | ||
|- | |- | ||
− | | | + | | 1812년 7월 6일 || [[효명세자]]의 [[책례]]가 거행되었다 |
|- | |- | ||
− | | | + | | 1812년 || 『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가 편찬되었다 |
+ | |} | ||
+ | |||
+ | ===공간정보===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 |- | ||
− | |''' | + | | 37.579721 || 126.992259 || [[창덕궁 희정당]]에서 [[효명세자]]의 [[책례]] 의식이 거행되었다 |
+ | |} | ||
+ | |||
+ | =='''시각자료'''== | ||
+ | ===가상현실===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B007/S001/S00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 | ===왕세자의 행렬=== |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800px> | ||
+ | 파일:궁중기록화_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_왕세자.jpg | ||
+ | </gallery> |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
+ | ! 번호 !! 이미지 !! 대상 !! 설명<ref>제송희, "[http://uigwe.museum.go.kr/banchado/banchaView?dataType=&id=uig_224&searchKeyword=&pageIndex=1&lmenuType=&pageUnit=10 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 <html><online style="color:purple">『외규장각 의궤』<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ref> !! 복장/복식 | ||
+ | |- | ||
+ | | 1 || [[파일:궁중기록화_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_왕세자_1청일산.png|80x80px|청일산]] || 청일산(靑日傘) || 청색 일산 || [[청건|청건(靑巾)]]<br/> [[청의|청의(靑衣)]] | ||
+ | |- | ||
+ | | 2 || [[파일:궁중기록화_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_왕세자_2궐달마.png|80x80px|궐달마]] || 궐달마(闕闥馬) || 왕세자가 각종 국가 행사에 참여할 때, 의장을 화려하고 위엄있게 보이기 위해 늘어 세우는 의장용 말 || [[초립|초립(草笠)]]<br/>[[흑의|흑의(黑衣)]] | ||
+ | |- | ||
+ | | 3 || [[파일:궁중기록화_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_왕세자_3효명세자.png|80x80px|효명세자]] || 연(輦)-효명세자(孝明世子) || 왕실에서 사용하는 지붕이 있는 가마로, [[효명세자|효명세자(孝明世子)]]가 타고 있다. || [[왕세자의 대례복]] | ||
+ | |- | ||
+ | | 3 || [[파일:궁중기록화_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_왕세자_3연배군.png|80x80px|연배군]] || 연배군(輦陪軍) || 왕의 가마를 메는 군사 || [[흑건|흑건(黑巾)]]<br/>[[흑의|흑의(黑衣)]] | ||
+ | |- | ||
+ | | 4 || [[파일:궁중기록화_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_왕세자_4별감.png|80x80px|별감]] || 별감(別監) || 호위를 맡았던 하급 군관 || [[조건|조건(皁巾)]]<br/>[[홍의|홍의(紅衣)]] | ||
+ | |- | ||
+ | | 5 || [[파일:궁중기록화_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_왕세자_5청선.png|80x80px|청선]] || 청선(靑扇) || 청색 부채 || [[청건|청건(靑巾)]]<br/> [[청의|청의(靑衣)]] | ||
+ | |} | ||
+ | |||
+ | ===도감 관원의 행렬=== |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800px> | ||
+ | 파일:궁중기록화_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_도감관원.jpg | ||
+ | </gallery> |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
+ | ! 번호 !! 이미지 !! 대상 !! 설명<ref>제송희, "[http://uigwe.museum.go.kr/banchado/banchaView?dataType=&id=uig_224&searchKeyword=&pageIndex=1&lmenuType=&pageUnit=10 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 <html><online style="color:purple">『외규장각 의궤』<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ref> !! 복장/복식 | ||
+ | |- | ||
+ | | 1 || [[파일:궁중기록화_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_도감관원_1사령.png|80x80px|사령]] || 사령(使令) || 각 관청의 관원이 부리던 하인으로 호위와 시종을 담당함 || [[백관의 융복]] | ||
+ | |- | ||
+ | | 1 || [[파일:궁중기록화_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_도감관원_1서리.png|80x80px|서리]] || 서리(書吏) || 중앙 관아에 근무하던 하급 관원 || [[무각평정건]]<br/>[[단령|단령(團領)]] | ||
+ | |- | ||
+ | | 2 || [[파일:궁중기록화_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_도감관원_2도제조.png|80x80px|도제조]] || 도제조(都提調) || 육조의 속아문이나 군영 등에 두었던 정1품 관직으로, 효명세자 책례의 총책임자는 [[이시수|이시수(李時秀)]]였다. || [[백관의 조복]] | ||
|- | |- | ||
− | | | + | | 3 || [[파일:궁중기록화_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_도감관원_3제조.png|80x80px|제조]] || 제조(提調) || 당상관 이상의 관원이 없는 관아에 겸직으로 임명하여 각 관아를 실질적으로 통솔하던 직책 || [[백관의 조복]] |
|- | |- | ||
− | | | + | | 4 || [[파일:궁중기록화_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_도감관원_4도청.png|80x80px|도청]] || 도청(都㕔) || 임시 관서인 도감의 관직 || [[백관의 조복]] |
|- | |- | ||
− | | [[ | + | | 5 || [[파일:궁중기록화_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_도감관원_5낭청.png|80x80px|낭청]] || 낭청(郎㕔) || 각 관서에서 차출하여 겸임시켰던 당하관의 실무 담당 관직 || [[백관의 조복]] |
|- | |- | ||
− | | [[ | + | | 6 || [[파일:궁중기록화_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_도감관원_6감조관.png|80x80px|감조관]] || 감조관(監造官) || 여러가지 왕실행사의 실무를 감독하는 관원 || [[백관의 조복]] |
|} | |} | ||
− | ==참고문헌== | + | =='''주석'''== |
− | + | <references/> | |
− | * 김지영, 김문식 외 4명, 『즉위식, 국왕의 탄생』, | + | |
+ | =='''참고문헌'''== | ||
+ | ===인용 및 참조=== | ||
+ | * 김지영, 김문식 외 4명, 『즉위식, 국왕의 탄생』, 돌베개, 2013. | ||
+ | * 김문식, 신병주 저, 『조선 왕실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베개, 2005. | ||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분류별의궤해설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분류별의궤해설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의궤 해제집(3)』,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의궤 해제집(3)』,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
− | *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 + | *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 |
− | + | * 한영우, 『조선왕조 의궤-국가의례와 그 기록』, 일지사, 2005. | |
− | |||
− | |||
− | [[분류:궁중기록화]] [[분류:의궤]] | + | [[분류:궁중기록화]] |
+ | [[분류:의궤]] |
2017년 12월 15일 (금) 15:35 기준 최신판
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 (孝明世子冊禮都監儀軌) |
|
대표명칭 | 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 |
---|---|
한자표기 | 孝明世子冊禮都監儀軌 |
주제 | 책례(冊禮) |
작성주체 | 책례도감(冊禮都監) |
의례담당자 | 이시수(李時秀) |
작성지역 | 한성부 |
작성시기 | 1812년(순조 12년) |
소장처(원소장처) | 국립중앙박물관(어람용) 규장각한국학연구원(오대산) |
판본 | 필사본 |
표기문자 | 한자, 이두 |
수량 | 어람용: 총 1책 145장 오대산: 총 1책 145장 |
크기 | 어람용: 47.5×33.8 오대산: 45.4×32.6 |
도설 | 9면(채색) |
반차도 | 12면(채색) 총 길이: 약 408㎝ |
목차
정의
1812년(조선 순조 12) 효명세자(孝明世子)를 왕세자로 책봉(冊封)하는 과정을 기록한 의궤이다.
내용
1812년(순조 12), 순원왕후가 낳은 원자가 4세가 되었다. 평안도에서 일어났던 홍경래의 난이 진압되어 평온을 찾자 왕세자 책봉이 논의에 올랐다. 5월 1일 백관들이 하루빨리 왕세자로 책봉하기를 청하자 순조는 대왕대비 효의왕후와 할머니인 혜경궁 홍씨에게 의논하여 승낙을 받고 7월 안으로 택일하여 아뢰라고 명하였다. 1812년 5월 22일 책례도감이 설치되었고, 책봉 의절을 결정하였으며 6월 2일에는 왕세자의 이름을 의논하였다. 예정대로 7월 6일 창덕궁 희정당에서 책례 의식이 거행되었다. 순조는 창덕궁 인정전에 나가 죽책과 옥인, 교명을 책봉 정사(正使)에게 주어 창덕궁 희정당에 있는 왕세자에게 전달하였다. 왕은 면복을 입고 의식에 참여하였으며, 왕세자는 쌍동계와 공정책, 면복 차림으로 의식을 거행하였다. 순조는 다음날 창덕궁 인정전에 나가 백관들의 하례를 받고 교문을 반포하였으며, 도제조인 영중추부사 이시수를 비롯한 여러 백관들에게 상을 내렸다.[1]
목록
좌목(座目), 거행일기(擧行日記), 전교(傳敎), 이문(移文), 내관(來關), 예관(禮關), 의주(儀註), 감결(甘結), 미포철탄이내수(米布鐵炭移來數), 매삭료포상하식(每朔料布上下式), 상전(賞典), 의궤(儀軌), 일방(一房), 이방(二房), 삼방(三房), 별공작(別工作)
해제
김남윤, "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 의궤 검색,
김영인, "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 의궤 검색,
판본
국립중앙박물관: 어람용(2687)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오대산본(奎 13125), 예조본(奎 13126), 춘추관본(奎 13127), 태백산본(奎 13128), 정족산성본(奎 13129), 의정부본(奎 14906)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적상산성본(K2-2690)
연계 자원 보러 가기 |
• 회화 수교도(受敎圖) |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 | 효명세자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 | 왕세자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 | 왕세자의 대례복 | A는 B를 기록하였다 | A ekc:mentions B |
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 | 책례 | A는 B를 기록하였다 | A ekc:documents B |
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 | 국립중앙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시간정보
시간 | 내용 |
---|---|
1812년 7월 6일 | 효명세자의 책례가 거행되었다 |
1812년 | 『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가 편찬되었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579721 | 126.992259 | 창덕궁 희정당에서 효명세자의 책례 의식이 거행되었다 |
시각자료
가상현실
왕세자의 행렬
번호 | 이미지 | 대상 | 설명[2] | 복장/복식 |
---|---|---|---|---|
1 | 청일산(靑日傘) | 청색 일산 | 청건(靑巾) 청의(靑衣) | |
2 | 궐달마(闕闥馬) | 왕세자가 각종 국가 행사에 참여할 때, 의장을 화려하고 위엄있게 보이기 위해 늘어 세우는 의장용 말 | 초립(草笠) 흑의(黑衣) | |
3 | 연(輦)-효명세자(孝明世子) | 왕실에서 사용하는 지붕이 있는 가마로, 효명세자(孝明世子)가 타고 있다. | 왕세자의 대례복 | |
3 | 연배군(輦陪軍) | 왕의 가마를 메는 군사 | 흑건(黑巾) 흑의(黑衣) | |
4 | 별감(別監) | 호위를 맡았던 하급 군관 | 조건(皁巾) 홍의(紅衣) | |
5 | 청선(靑扇) | 청색 부채 | 청건(靑巾) 청의(靑衣) |
도감 관원의 행렬
번호 | 이미지 | 대상 | 설명[3] | 복장/복식 |
---|---|---|---|---|
1 | 사령(使令) | 각 관청의 관원이 부리던 하인으로 호위와 시종을 담당함 | 백관의 융복 | |
1 | 서리(書吏) | 중앙 관아에 근무하던 하급 관원 | 무각평정건 단령(團領) | |
2 | 도제조(都提調) | 육조의 속아문이나 군영 등에 두었던 정1품 관직으로, 효명세자 책례의 총책임자는 이시수(李時秀)였다. | 백관의 조복 | |
3 | 제조(提調) | 당상관 이상의 관원이 없는 관아에 겸직으로 임명하여 각 관아를 실질적으로 통솔하던 직책 | 백관의 조복 | |
4 | 도청(都㕔) | 임시 관서인 도감의 관직 | 백관의 조복 | |
5 | 낭청(郎㕔) | 각 관서에서 차출하여 겸임시켰던 당하관의 실무 담당 관직 | 백관의 조복 | |
6 | 감조관(監造官) | 여러가지 왕실행사의 실무를 감독하는 관원 | 백관의 조복 |
주석
- ↑ 한영우, 『조선왕조 의궤-국가의례와 그 기록』, 일지사, 2005, 481~482쪽.
- ↑ 제송희, "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
『외규장각 의궤』online , 국립중앙박물관. - ↑ 제송희, "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
『외규장각 의궤』online , 국립중앙박물관.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김지영, 김문식 외 4명, 『즉위식, 국왕의 탄생』, 돌베개, 2013.
- 김문식, 신병주 저, 『조선 왕실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베개,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분류별의궤해설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의궤 해제집(3)』,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
- 한영우, 『조선왕조 의궤-국가의례와 그 기록』, 일지사,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