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변두
Encyves Wiki
철변두 (撤籩豆) |
|
대표명칭 | 철변두 |
---|---|
한자표기 | 撤籩豆 |
유형 | 의례 |
관련개념 | 길례, 제례 |
정의
조선시대 제례에서 모든 제례 절차가 끝나고 제향에 쓰인 제물을 거두어들이는 의식이다.[1]
내용
제사 음식이 담긴 변두(籩豆)를 거두는 절차로, 술을 올리는 절차가 다 끝나면, 대축(大祝)이 변두를 거두는데, 변두의 한 개씩을 조금 옮겨 놓는 것으로 의식을 대신한다. 종묘(宗廟)ㆍ사직(社稷)ㆍ영녕전(永寧殿)의 대사(大祀)와 선농(先農)ㆍ선잠(先蠶) 등 일부 중사(中祀)에서는 철변두를 하는 동안 ‘옹안지악(雍安之樂)’을 연주한다. 철변두가 끝나면 ‘예필(禮畢, 예가 끝났음)’을 아뢴다.[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왕 | 철변두 | A는 B를 참여하였다 | A ekc:participates B |
왕세자 | 철변두 | A는 B를 참여하였다 | A ekc:participates B |
종친 | 철변두 | A는 B를 참여하였다 | A ekc:participates B |
백관 | 철변두 | A는 B를 참여하였다 | A ekc:participates B |
제례 | 철변두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철변두 | 음복례 | A는 순서상 B의 뒤이다 | A edm:isNextInSequence B |
시간정보
시간 | 내용 |
---|---|
1706년 | 종묘의궤가 편찬되었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574550 | 126.994100 | 종묘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훈정동 1-2에 위치한다 |
주석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國朝五禮儀』
- 『世宗實錄五禮儀』
- 김문식ㆍ김지영 외 4명, 『왕실의 천지제사』, 돌베개, 2011.
- 김문식ㆍ송지원, 「국가제례의 변천과 복원」, 『서울 20세기 생활ㆍ문화변천사』, 서울시정개발원, 2001.
- 이욱, 「근대 국가의 모색과 국가의례의 변화-1894~1908년 국가 제사의 변화를 중심으로」, 『정신문화연구』 95, 한국학중앙연구원, 2004.
- 이욱, 「조선전기 유교국가의 성립과 국가제사의 변화」, 『한국사연구』 118, 한국사연구회,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