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희 초상(전신상)
김정희 초상 | |
한자명칭 | 金正喜 肖像 |
---|---|
작가 | 허유 |
제작시기 | 1847년 이후 |
소장처 | 아모레퍼시픽 미술관 |
유형 | 초상 |
크기(세로×가로) | 51.0x24.0㎝ |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학자, 서화가인 김정희(1786∼1856)의 모습을 그린 초상.
내용
초상의 제작 및 보관
허유가 그린 <김정희 초상> 전신상은 우의적 의미를 지닌 일종의 분장 초상화로서 우리나라에서는 매우 희귀한 예이다.[1] 중국 송나라의 소동파를 그린 <동파입극도>를 본떠 그린 것이다. <동파입극도>는 소동파가 혜주(惠州)로 귀양살이 갔을 때 갓 쓰고 나막신 신은 평복 차림의 처연한 모습을 그린 그림이다.
허유는 제주도 유배시절 추사의 모습을 보고 추사의 처연한 자태를 소동파의 모습을 빌어 표현했다.
이 작품이 유배 기간 중 어느 시기에 그려졌는지는 알 수 없으나 권돈인이 허유에게 부탁하여 <동파입극도>를 제작하게 하고 제를 붙여 추사에게 보낸 때가 1847년 음력 7월 16일이므로, 그 이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화폭 우측에 ‘완당선생해천일립상(阮堂先生海天一笠像)’, 좌측에는 ‘허소치필(許小癡筆)’이라는 표제가 있는데 이는 나중에 오세창(吳世昌)이 쓴 것이다.[2]
소동파의 모습을 차용한 이 <김정희 초상> 전신상은 거의 예가 전하지 않는 초상화의 형태로 그 희귀성이 주목되며, 특히 김정희 자신이 존경했던 소식이라는 인물에 가탁하여 그려진 초상이라는 점에서 각벽한 의미를 가진다.
문헌에 기록된 외모
김정희의 외모에 관해서는 상유현(尙有鉉)이 13세 때 죽기 5개월 전의 추사를 만난 기록이 전한다. 상유현은 추사를 아래와 같이 묘사하였다.
![]() |
키나 몸집은 작고 수염은 하얗고 눈동자는 빛났으며 머리카락은 없고 안색에도 붉은 기운이 돌았다. 또한 팔과 손가락은 가늘고 섬세하여 마치 아녀자같았다 | ![]() |
출처: 유홍준, 『완당평전』2권, 학고재, 2002, 756~757쪽.[3] |
초상에 묘사된 모습
<김정희 초상> 완당선생해천일립상은 머리에는 삿갓을 쓰고 나막신을 신었다. 비스듬히 서서 한 손으로는 수염을 쓸어내리듯 잡고, 또 한 손으로는 옷자락을 잡고 있는 약간 어색한 자세를 취하고 있다. <동파입극도> 중 왕춘파본을 차용한 모습이다. 허유는 <동파입극도 왕춘파본>에서 소동파의 상징적 지물과 포즈를 그대로 차용하고 얼굴 모습만 김정희의 얼굴로 바꾸어 초상을 그렸다. 김정희가 입은 옷은 거친 필치로 그려졌지만 얼굴은 부드러운 미소의 깔끔한 얼굴의 미남자로 그려져 유배생활의 풍파는 찾아볼 수 없는 이상화된 모습이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김정희 초상(전신상) | 초상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김정희 초상(전신상) | 김정희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김정희 초상(전신상) | 허유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김정희 초상(전신상) | 아모레퍼시픽 미술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김정희 초상(전신상) | 동파입극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동파입극도 왕춘파본 | 허유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동파입극도 왕춘파본 | 소동파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추사방현기 | 김정희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전수만록 | 추사방현기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상유현 | 전수만록 | A는 B가 썼다 | A dcterms:creator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2600081 | 127.1080256 | 김정희 초상(전신상)은 아모레퍼시픽 미술관에 소장되어있다. |
시각자료
갤러리
김정희 초상(전신상)[4]
주석
- ↑ 조선미, 『한국의 초상화, 形과 影의 예술』, 돌베게, 2009, 369쪽.
- ↑ 조선미, 『한국의 초상화, 形과 影의 예술』, 돌베게, 2009, 370쪽.
- ↑ 유홍준, 『완당평전』 2권, 학고재, 2002, 756~757쪽.
- ↑ 석기자닷컴, "허련 <완당선생 해천일립상>", 문화재이야기,
『다음 블로그 - 석기자닷컴』online , 작성일: 2015년 02월 09일.
참고문헌
더 읽을거리
- 전시도록
-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
- 단행본
- 문화재청, 『한국의 초상화- 역사 속의 인물과 조우하다』, 눌와, 2007.
- 논문
- 이가원, 「阮堂肖像小攷」, 『미술자료』 7호, 국립중앙박물관, 1963.
- 김상엽, 『小癡 許鍊(1808~1893)의 生涯와 繪畵活動 硏究』,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예술철학 박사학위논문,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