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초상화관 개관

김정희 초상(전신상)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김정희 초상
석기자닷컴, "허련 <완당선생 해천일립상>", 문화재이야기, 『다음 블로그 - 석기자닷컴』online, 작성일: 2015년 02월 09일.
한자명칭 金正喜 肖像
작가 허유
제작시기 1847년 이후
소장처 아모레퍼시픽 미술관
유형 초상
크기(세로×가로) 51.0x24.0㎝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학자, 서화가인 김정희(1786∼1856)의 모습을 그린 초상.

내용

초상의 제작 및 보관

허유가 그린 <김정희 초상> 전신상은 우의적 의미를 지닌 일종의 분장 초상화로서 우리나라에서는 매우 희귀한 예이다.[1] 중국 송나라의 소동파를 그린 <동파입극도>를 본떠 그린 것이다. <동파입극도>는 소동파가 혜주(惠州)로 귀양살이 갔을 때 갓 쓰고 나막신 신은 평복 차림의 처연한 모습을 그린 그림이다.
허유제주도 유배시절 추사의 모습을 보고 추사의 처연한 자태를 소동파의 모습을 빌어 표현했다. 이 작품이 유배 기간 중 어느 시기에 그려졌는지는 알 수 없으나 권돈인허유에게 부탁하여 <동파입극도>를 제작하게 하고 제를 붙여 추사에게 보낸 때가 1847년 음력 7월 16일이므로, 그 이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화폭 우측에 ‘완당선생해천일립상(阮堂先生海天一笠像)’, 좌측에는 ‘허소치필(許小癡筆)’이라는 표제가 있는데 이는 나중에 오세창(吳世昌)이 쓴 것이다.[2]
소동파의 모습을 차용한 이 <김정희 초상> 전신상은 거의 예가 전하지 않는 초상화의 형태로 그 희귀성이 주목되며, 특히 김정희 자신이 존경했던 소식이라는 인물에 가탁하여 그려진 초상이라는 점에서 각벽한 의미를 가진다.

문헌에 기록된 외모

김정희의 외모에 관해서는 상유현(尙有鉉)이 13세 때 죽기 5개월 전의 추사를 만난 기록이 전한다. 상유현추사를 아래와 같이 묘사하였다.

Quote-left.png 키나 몸집은 작고 수염은 하얗고 눈동자는 빛났으며 머리카락은 없고 안색에도 붉은 기운이 돌았다. 또한 팔과 손가락은 가늘고 섬세하여 마치 아녀자같았다 Quote-right.png
출처: 유홍준, 『완당평전』2권, 학고재, 2002, 756~757쪽.[3]


초상에 묘사된 모습

<김정희 초상> 완당선생해천일립상은 머리에는 삿갓을 쓰고 나막신을 신었다. 비스듬히 서서 한 손으로는 수염을 쓸어내리듯 잡고, 또 한 손으로는 옷자락을 잡고 있는 약간 어색한 자세를 취하고 있다. <동파입극도> 중 왕춘파본을 차용한 모습이다. 허유는 <동파입극도 왕춘파본>에서 소동파의 상징적 지물과 포즈를 그대로 차용하고 얼굴 모습만 김정희의 얼굴로 바꾸어 초상을 그렸다. 김정희가 입은 옷은 거친 필치로 그려졌지만 얼굴은 부드러운 미소의 깔끔한 얼굴의 미남자로 그려져 유배생활의 풍파는 찾아볼 수 없는 이상화된 모습이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김정희 초상(전신상) 초상 A는 B에 해당한다 A dcterms:type B
김정희 초상(전신상) 김정희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김정희 초상(전신상) 허유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김정희 초상(전신상) 아모레퍼시픽 미술관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김정희 초상(전신상) 동파입극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동파입극도 왕춘파본 허유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동파입극도 왕춘파본 소동파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추사방현기 김정희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전수만록 추사방현기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상유현 전수만록 A는 B가 썼다 A dcterms:creator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2600081 127.1080256 김정희 초상(전신상)아모레퍼시픽 미술관에 소장되어있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조선미, 『한국의 초상화, 形과 影의 예술』, 돌베게, 2009, 369쪽.
  2. 조선미, 『한국의 초상화, 形과 影의 예술』, 돌베게, 2009, 370쪽.
  3. 유홍준, 『완당평전』 2권, 학고재, 2002, 756~757쪽.
  4. 석기자닷컴, "허련 <완당선생 해천일립상>", 문화재이야기, 『다음 블로그 - 석기자닷컴』online, 작성일: 2015년 02월 09일.

참고문헌

더 읽을거리

  1. 전시도록
    •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
  2. 단행본
    • 문화재청, 『한국의 초상화- 역사 속의 인물과 조우하다』, 눌와, 2007.
  3. 논문
    • 이가원, 「阮堂肖像小攷」, 『미술자료』 7호, 국립중앙박물관, 1963.
    • 김상엽, 『小癡 許鍊(1808~1893)의 生涯와 繪畵活動 硏究』,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예술철학 박사학위논문,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