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신도상
Encyves Wiki
공신도상 (功臣圖上) |
|
대표명칭 | 공신도상 |
---|---|
한자표기 | 功臣圖上 |
관련개념 | 초상화, 표준영정 |
정의
공신으로 책봉된 관리를 그린 초상화이다.
내용
공신의 책정과 공신도상
나라에 일이 있을 때마다 공신호(功臣號)가 책록되고 곧 입각도형(立閣圖形)의 명에 따라 행해졌다. 공신도형은 공신 및 자손들에게는 치하와 보상의 의미로, 여타 신민(臣民)들에게는 귀감이 되게 하려는 의도에서 군주 국가에서는 필수 도상 작업의 하나로 행하였다.[1]
특징
조선시대에는 무려 28종에 달하는 공신 책록이 있었으며 거의 대부분 입각도형명이 뒤따랐다. 현재 전해지는 조선시대의 공신상은 수십 폭에 달한다. 상용 형식면에서는 정장관복(正裝官服)의 전신교의좌상(全身交椅坐像)으로서 엄격한 형식에 맞추어 작업하였기 때문에 경직된 느낌이 없지 않다. 하지만 왕명에 따라 당시 초상화로 이름난 화사가 그렸으므로 질적으로는 일정 수준을 견지하고 있다. 게다가 공신도상은 대개 제작 연대가 확실하기 때문에 초상화의 전체적인 양식 규명에 기준이 될 수 있다.[2]
지식 관계망
- 공신도상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신숙주 공신도상 | 공신도상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김석주 공신도상 | 공신도상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강세황 초상(단령본) | 공신도상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김정희 초상(흑단령본) | 공신도상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이항복 초상 | 공신도상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박문수 공신도상 | 공신도상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진무공신 | 공신도상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장만 공신도상 | 공신도상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장만 초상(심의본) | 공신도상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이천우 공신도상 | 공신도상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이삼 공신도상 | 공신도상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주세붕 초상(반신상) | 공신도상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정몽주 초상(전신상) | 공신도상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손소 공신도상 | 공신도상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이원익 초상(국립중앙박물관) | 공신도상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이원익 공신도상 | 공신도상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적개공신 | 공신도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호성공신 | 공신도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정사공신(1398년) | 공신도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정사공신(1623년) | 공신도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좌명공신(1389년) | 공신도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좌명공신(1400년) | 공신도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주석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조선미, 「朝鮮王朝時代의 功臣圖像에 관하여」, 『미술사연구』 Vol.151, 한국미술사학회, 1981.
유용한 정보
- "조상화이야기 4 충신과 공신", 『기주짱의 하늘꿈 역사방』, 작성일: 2011년 11월 07일.
- 한국문화재단, "충신과 공신의 초상",기획기사, 『문화유산채널』, 작성일: 2012년 01월 0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