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양호
Encyves Wiki
홍양호(洪良浩) | |
대표명칭 | 홍양호 |
---|---|
한자표기 | 洪良浩 |
생몰년 | 1724년-1802년 |
본관 | 풍산(豊山) |
이칭 | 양한(良漢) |
시호 | 문헌(文獻) |
호 | 이계(耳溪) |
자 | 한사(漢師) |
시대 | 조선 |
대표저서 | 해동명장전(海東名將傳),고려대사기(高麗大事記) |
부 | 홍진보(洪鎭輔) |
유형 | 문신 |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이다.
내용
생애
1747년(조선 영조 23) 진사시에 합격하고, 1752년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사헌부 지평, 홍문관 수찬, 교리 등을 거쳤고, 1774년 등준시(登俊試)에 뽑히기도 하였다. 1777년(정조 1) 홍국영(洪國榮)의 세도정치가 시작되면서 경흥부사로 밀려났다가 홍국영이 실각되면서 1781년 한성부우윤이 되었다. 1799년에는 홍문관, 예문관 양관(兩館)의 대제학을 겸임하는 최고의 영예를 누렸다. 또한, 지방관으로 나가서는 산림녹화에 주력하였고, 1764년(영조 40)에는 일본에 가는 통신사에게 의뢰하여 벚나무 묘목을 가져다가 우이동(牛耳洞)에 심었다.[1]
저술활동
학문과 문장에 뛰어나 『영조실록(英祖實錄)』 『국조보감(國朝寶鑑)』 『갱장록(羹墻錄)』 『동문휘고(同文彙考)』 등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그동안 두 차례에 걸쳐 연경(燕京)에 다녀오면서 중국의 대구형(戴衢亨), 기효람(紀曉嵐) 등 석학들과 교유하여 문명(文名)을 날렸으며, 고증학(考證學)을 수용, 보급하는 데 기여하였다. 글씨는 특히 진체(晉體), 당체(唐體)에 뛰어났으며, 문집으로 『이계집(耳溪集)』이 있다.[2]편저로는 삼국시대부터 인조 때까지의 명장 46명의 전기(傳記)를 엮은 『해동명장전(海東名將傳)』 등이 알려져 있다.[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해동명장전 | 홍양호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고려대사기 | 홍양호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이계집 | 홍양호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 ↑ 한국사전연구사 편집부,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4. 온라인 참조: "홍양호", 국어국문학자료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홍양호",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 "해동명장전",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웹 자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