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암화차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망암화차(望庵火車)
*마경덕, "時調詩學 2012 봄 신인작품상, 연밥경전 외 4편, 변우연", 『네이버 블로그 - 내 영혼의 깊은곳』online, 작성일: 2012년 03월 29일.
대표명칭 망암화차
한자표기 望庵火車
유형 물품
시대 조선시대
용도 무기
관련인물 권율


정의

임진왜란 시기 변이중이 개량한 화차이다.

내용

망암화차의 등장

망암화차에 대한 기록이 세상에 들러난 것은, 임진왜란 시기 행주산성 전투에서이다. 당시 권율이 이끄는 조선군 4천명은 행주산성에 있었으며, 소모사 변이중은 정병 1천을 거느리고 양천에 주둔하여, 행주산성과 금천 중간인 양천에 주둔하며 일본군을 견제하였다. 이 때 변이중은 개량한 망암화차 300량을 권율의 조선군에게 지원하였다. 그 결과 전투 초기에 망암화차의 막강한 화력으로 일본군을 효과적으로 제압하였다. [1]

망암화차의 구조와 성능

화차는 조선에서 활용되었던 화약 무기로, 아래는 수레 형태로 되어 있으며, 위에는 여러개의 화포를 얹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대부분 위에 설치된 화기의 종류나 발사체의 종류에 따라서 명칭이 달라지기도 하고, 개발자의 이름을 붙이기도 한다. 망암화차승자총통 40문을 수레위에 설치하고, 발사체는 철환으로 이루어졌다. 철환(쇠구술)은 1개의 승자총통에서 약 3-15발 솔 수 있으므로 화차 1량 당 최대 600발의 철환을 동시에 발사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류성룡이 개발한 화차와 다르게 한 방향으로 승자총통 15개를 배치한 것이 아니라 양 옆에 13개 정면에 14개를 배치하여 3면을 동시에 사격하기가 가능하였다. 그리고 기존 화차들은 쏘는 사수가 노출되어 있어 적들의 공격에 매우 취약하였다. 그러나 망암화차은 사방에 방벽을 높이 쌓고 뒤에 문을 열어 출입할 수 있게 하였다. 그 결과 사수가 안전하게 지속적으로 화기를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2]

망암화차 개발자 변이중에 대해서

본관은 황주(黃州), 자는 언시(彦時) 호는 망암(望庵)이다. 택(澤)의 아들이고 어머니는 함풍이씨이다. 이이성흔(成渾)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573년(선조 6)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그리고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소모사(召募使)가 되어 군비를 마련하는데 주력하였다. 그리고 1593년 권율에게 개량된 망암화차를 지원하여 행주대첩 승리에 큰 역할을 하였다. 1600년(선조 33)에는 사옹원정을 지냈고, 1603년 함안 군수를 지냈다. 1605년 벼슬을 그만두고 낙향하여 여생을 보냈다. 주요 서적으론 『총통화전도설』 과 『화차도설』 이 있다. [3]

지식 관계망

  • 화포식언해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망암화차 변이중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A dcterms:creator B
화차 망암화차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망암화차 승자총통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이이 변이중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성흔 변이중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행주대첩 권율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행주대첩 변이중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임진왜란 행주대첩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총통화전도설 변이중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A dcterms:creator B
화차도설 변이중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화포식언해 승자총통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화포식언해 망암화차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593년 망암화차변이중이 개발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5.322092 126.787992 망암화차장성 봉암서원에 보관되어 있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이장희, "행주대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3년 6월 3일.
  2. 오경후, 「화차(火車)의 제조(製造)와 임란(壬亂) 정세(情勢)의 변화(變化)」, 『孔子學』21, 한국공자학회, 2011, 69-77쪽.
  3. 박석무, "변이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더 읽을거리

  • 논문
    • 오경후, 「화차(火車)의 제조(製造)와 임란(壬亂) 정세(情勢)의 변화(變化)」, 『孔子學』21, 한국공자학회, 2011, 107-132쪽.
    • 최재현외 4명, 「탄창 접이식 이중벽 화차 모델을 기반으로 한 조선시대 망암 변이중 화차 복원」,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대한기계학회, 2014, 603-608쪽.
    • 김병륜, 「망암 화차(火車)의 구조적 특성과 실효성」, 『孔子學』21, 한국공자학회, 2011, 65-105쪽.
  • 웹자원
    • 이장희, "행주대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3년 6월 3일.
    • 박석무, "변이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