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응서 초상
김응서 초상 | |
한자명칭 | 金景瑞 肖像 |
---|---|
작가 | 이팔룡 |
제작시기 | 1792년 |
소장처 | 조선중앙력사박물관 |
유형 | 초상 |
크기(세로×가로) | 125.7×85.6㎝ |
목차
정의
조선시대 무장인 김응서(재위 1564∼1624)의 모습을 그린 초상.
내용
초상의 제작 및 보관
<김응서 초상>은 현재 북한의 조선중앙력사박물관에 소장된 작품으로 사진을 통해서만 그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북한의 자료에는 이 그림이 평양 출신의 화원인 패인 이팔룡이 1729년에 모사한 것[1]이라고 기록되어있다. 이팔룡에 관해서는 『근역서화징』에 김홍도, 이명기와 같이 활동했다고 기록되어있고 국립중앙박물관에 그의 작품으로 <산수인물도> 12폭 그림이 전해올 뿐 별다른 기록이 없어 자세한 행적을 알 수 없다.
<김응서 초상>은 붉은 색 단령, 배경의 운문, 도식화된 의자 등 일반적인 정장관복본 초상화에는 나타나지 않는 요소들이 보이며 화격에서도 큰 차이를 보여 화원이 그의 얼굴을 보고 제작한 초상화로 보이지는 않는다. 조선 후기 이후 지방의 화가가 상상하여 그린 초상화로 보인다. 배경의 운문, 도식화된 호피무늬 등 민화적인 요소가 가미되어 있다.
사진으로나마 북한지역의 초상화를 볼 수 있는 자료이며 조선 후기 이후 보이는 민화 초상화와의 관련성이 주목되는 작품이다.
초상에 묘사된 모습
<김응서 초상>은 오사모를 쓰고 붉은 단령 차림의 정면관으로 교의에 앉아 있는 전신교의좌상이다. 흉배는 쌍호흉배로 무관임 나타낸다. 바닥에는 돗자리가 깔려 있고 의자의 둥근 무늬는 호피가 깔린 모습을 도식화하여 표현한 듯하다. 얼굴은 김응서 장군의 실제 모습이 반영되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간 눈썹과 꾹 담은 입, 매서운 눈매에서 왜적들을 격파한 용맹함이 엿보인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김응서 초상 | 초상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김응서 초상 | 김응서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김응서 초상 | 이팔룡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김응서 초상 | 조선중앙력사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오사모 | 김응서 초상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흉배 | 김응서 초상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9.0204890 | 125.7546050 | 김응서 초상은 조선중앙력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시각자료
갤러리
김응서 초상[2]
주석
- ↑ 《조선유적유물도감》편찬위원회, 『리조시기의 회화』, 《조선유적유물도감》편찬위원회 , 1995, 84쪽.
- ↑ "김응서의 화상", 이미지 정보,
『문화유산 연구지식포털』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
참고문헌
더 읽을거리
- 단행본
- 조선유적유물도감편찬위원회 편, 『북한의 문화재와 문화유적』,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