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례 의대 발기 (해독)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Pici.png

본 기사의 해독문 초안 작성자는 이민호입니다.

원문 중 옛 한글의 경우 웹브라우저 및 시스템의 문자세트(character set) 표현상 한계로 인해 표시가 불완전할 수 있으며, 각 내용상의 사소한 교정은 별도의 언급 없이 적용하였습니다.


한글팀 가례 의대 발기.jpg

원문과 해석문

원문 해석문
가례시(嘉禮時) 웃뎐[上殿][1] 가례시 상전(上殿)
금치흉ᄇᆡ(胸背)[2] 견화(肩畵)[3] 구(具) 금치흉배 견화 포함
다홍(多紅) 화문사(花紋紗) 부금(付金)[4] 원삼(圓衫)[5] 일쟉 다홍색 화문사 부금 원삼 한 벌
뉴쳥(柳靑) 화문사 ᄂᆡ쟉(內作) 유청색 화문사 내작
초록 ᄉᆡᆼ항나(生亢羅)[6] 당고의(唐袴衣)[7] 초록 생항라 당고의
숑화ᄉᆡᆨ(松花色) 화ᄉᆞ듀(花絲紬) ᄌᆞᆫ누비[8] 쇼고의[9] 일쟉 송화색 화사주 잔누비 소고의 한 벌
분홍 화방듀(花方紬) ᄌᆞᆫ누비 쇼고의 분홍 화방주 잔누비 소고의
숑화ᄉᆡᆨ 닌화문사(印花紋紗)[10] 쇼고의 일쟉 송화색 인화문사 소고의 한 벌
분홍 화방듀 ᄌᆡᆼ[11] 쇼고의 분홍 화방주 쟁 소고의
분홍 뎌포(苧布) 한삼(汗衫) 일 분홍 저포 한삼 하나
ᄌᆞ뎍쥬(紫的紬) 련문사(蓮紋紗) 웃치마[12] 자적주 연문사 겉치마 하나
남슌닌문사(藍純鱗紋紗)[13] 겹치마 일 남순린문사 겹치마 하나
다홍 화문사 겹치마 일 다홍색 화문사 겹치마 하나
다홍 닌졉문고사(鱗蝶紋庫紗) 단치마 일
다홍 광쵸(廣綃) 단치마 일 다홍색 광초 단치마 하나
남화문사 단치마 일 남색 화문사 단치마 하나
남향항나(藍鄕亢羅)[14] 단치마 일 남색 향항라 단치마 하나
ᄇᆡᆨ화방듀 ᄌᆞᆫ누비 너ᄅᆞᆫ봉디[15] 일쟉 백색 화방주 잔누비 너른바지 한 벌
ᄇᆡᆨ화방듀 ᄌᆞᆫ누비 봉디 백색 화방주 잔누비 바지
ᄇᆡᆨ광수사(白廣水紗) 단니의(單裏衣) 일쟉 백색 광수사 단속곳 한 벌
ᄇᆡᆨ화방듀 ᄌᆞᆫ누비 봉디 백색 화방주 잔누비 바지
ᄇᆡᆨ뎡듀(白鼎紬) ᄌᆡᆼ 겹단니의 일쟉 백색 정주 쟁 겹단속옷 한 벌
ᄇᆡᆨ뎡듀 ᄌᆡᆼ 겹봉디 백색 정주 쟁 겹바지
ᄇᆡᆨ셰뎌포(白細苧布) 겹ᄃᆡᄌᆞ(裌帶子)[16] 백색 세저포 겹대자 하나


본래의 항목 기사로 돌아가기

주석

  1. 웃뎐 : 임금이나 왕비, 대왕대비가 거처하는 전각.
  2. 흉ᄇᆡ : 흉배. 조선시대 왕, 왕세자, 문무백관 등의 관복의 가슴과 등에 장식한 표장.
  3. 견화 : 관복의 어깨에 장식한 표장.
  4. 부금 : 금에 약간의 은을 섞어 두드려서 얇게 만든 것. 옷에 금박을 입히는 데 쓰임.
  5. 원삼 : 부녀 예복의 하나. 흔히 비단이나 명주로 지으며 연두색 길에 자주색 깃과 색동 소매를 달고 옆을 튼 것으로 홑옷, 겹옷 두 가지가 있음.
  6. ᄉᆡᆼ항나 : 당항라(唐亢羅). 중국에서 만든 항라를 지칭.
  7. 당고의 : 여자들이 저고리 위에 덧입는 한복의 일종.
  8. ᄌᆞᆫ누비 : 잔누비. 잘게 누빈 누비.
  9. 쇼고의 : 궁중 여성이 입는 짧은 저고리.
  10. 닌화문사 : 인화문사. 꽃무늬를 넣은 옷감.
  11. ᄌᆡᆼ : 재양(載陽). 명주나 모시 따위를 빤 뒤에, 풀을 먹여 반반하게 펴서 말리거나 다리는 일.
  12. 웃치마 : 겉치마.
  13. 남슌닌문사 : 남색 순린문사. 순린문사는 비늘 모양의 무늬가 있는 옷감.
  14. 향항나 : 국내에서 만든 항라.
  15. 너ᄅᆞᆫ봉디 : 너른바지. 상류계급에서 정장할 때 치마 속에 받쳐 입어 하체가 풍성해 보이도록 입던 속옷.
  16. 겹ᄃᆡᄌᆞ : 겹으로 된 대자. ‘대자’는 꼰 실로 나비가 좁고 길이가 길며 두껍게 짠 직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