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복식 콘텐츠 제작 2020"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7번째 줄: 7번째 줄:
 
* 오프라인 강의실 : 대학원동 305  
 
* 오프라인 강의실 : 대학원동 305  
 
* 온라인 강의실 :  
 
* 온라인 강의실 :  
** MS Teams 또는 Zoom  
+
** 옵션 : MS Teams, Google Meet, Zoom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한국_복식_콘텐츠_제작_2020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한국_복식_콘텐츠_제작_2020  
 
** ftp://digerati.aks.ac.kr (User ID: student)  
 
** ftp://digerati.aks.ac.kr (User ID: student)  
68번째 줄: 68번째 줄:
 
----
 
----
 
===As-is===
 
===As-is===
 
+
----
 +
* 업그레이드 모델 구현 예정 : 계층적 분류체계와 관계성 표시 등이 적용되도록 시도
 
----
 
----
 
===To-be (벤치마크)===
 
===To-be (벤치마크)===
 
+
----
 
+
* 관계망 시각화 구현기술 예시 : 송상현 이야기 (종합 네트워크 그래프)
 +
{{NetworkGraph | title=SongSangHyeon.lst}}
 +
{{SemanticQuery | db=Class2019B | project=song | key=송상현}}
 
----
 
----
  

2020년 8월 27일 (목) 21:44 판

강좌 개요


  • 디지털 정보 환경에서 우리나라 전통 복식(服飾)에 관한 다양한 지식 정보를 소통시킬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한다.
  • 수강생들은 이 강의를 통해 '복식에 관한 지식'의 세계를 구성하는 다양한 지식 요소를 조사하여 이를 범주화하고, 각각의 범주에 속하는 자원들의 핵심적인 속성을 정의하는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복식에 관한 지식'을 디지털 세계에 옮겨 놓을 수 있는 '틀'을 구성한다.
  • 아울러 시대, 지역, 신분, 품계, 관직, 궁중 의례, 가정 의례, 일상 생활, 종교 등 그 시대의 복식을 설명하는 데에 필요한 다양한 지식과 개념·용어들을 복식 콘텐츠로 편찬하는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 또한 복식에 관한 지식을 효과적으로 전파하기 위한 시각화 기술을 습득하고 이를 콘텐츠 제작에 활용하는 방법을 습득한다.

강의 일정

차수 강의 주제 비고
1 오리엔테이션 : 한국 전통 복식과 '디지털 인문학'
2 전통 복식의 디지털 지식 콘텐츠 제작을 위한 구상과 기술
3 위키 소프트웨어 사용법 (1)
4 위키 소프트웨어 사용법 (2)
5 데이터 관계망 구현 기술
6 전통 복식의 지식 세계에 대한 이해와 현대적 활용
7 복식의 지식 콘텐츠 편찬 방법론
8 전통 복식의 지식 온톨로지 설계 (1)
9 전통 복식의 지식 온톨로지 설계 (2)
10 전통 복식의 지식 온톨로지 설계 (3)
11 전통 복식의 지식 콘텐츠 편찬 실습 (1)
12 전통 복식의 지식 콘텐츠 편찬 실습 (2)
13 전통 복식의 지식 콘텐츠 편찬 실습 (3)
14 전통 복식의 지식 콘텐츠 편찬 실습 (4)
15 프로젝트 수행 성과 종합 보고 및 평가 순연일

수강생

실습

Before




As-is


  • 업그레이드 모델 구현 예정 : 계층적 분류체계와 관계성 표시 등이 적용되도록 시도

To-be (벤치마크)


  • 관계망 시각화 구현기술 예시 : 송상현 이야기 (종합 네트워크 그래프)




읽을거리

기반 기술 참고자료

디지털 교실 환경 설정

온톨로지 (Ontology)

위키 (Wiki)

데이터 시각화 (Data Visualization)

전자지도 (Digital Map)

콘텐츠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