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도깨비

DH 교육용 위키
Powerfred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5월 29일 (월) 16:31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요

한국에서의 도깨비를 총체적으로 다루어서 한국과 도깨비의 연관성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정의

요약

민간신앙에서 믿어지고 있는 초자연적 존재 중의 하나.

유래[1]

일찍이 성호 이익은 도깨비가 출생하는 곳을 식물로 봤다. 그리고 식물들 중에서도 특히 나무는 도깨비의 주요 출생지와 서식지이다. 조선 후기의 유명한 학자 이익은 '우리 나라의 귀신 중에 괴상한 짓 하는 것을 사람들은 도깨비라고 한다. 이 도깨비는 나무에서 나온다.'고 말하며 그 유래지에 대한 견해를 밝히고 있다. 그밖에도 도깨비는 사람이 사용하는 일상 도구에 붙어서 활동하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도깨비를 '자고신 [紫姑神]'이라고 칭하기도 한다.

기원 및 내용

도깨비의 기원은 신라 시대의 비형랑 설화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깨비의 발생은 원시시대의 귀신 숭배 사상과 직접적으로 연관된다. 따라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등장하고 또 숭배되는 복합신이라고 할 수 있다. 그 이름은 도채비·독각귀(獨脚鬼)·독갑이[狐魅]·허주(虛主)·허체(虛體)·망량(魍魎)·영감(제주도) 등의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한중일, 3개국으로 대표되는 동아시아 문화권에서부터 도깨비가 발생했다고 보는 견해가 일반적이지만, 한국의 도깨비는 중국과 일본의 귀(鬼)와는 다른 존재로써 나름의 고유한 특징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점은 어떤 장소, 어떤 민족을 살펴보더라도 그들이 제각기 만들어 놓은 초자연적인 존재들이 있지만 오직 도깨비를 통해서만이 한국인 고유의 사유 체계를 엿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깨비는 악랄하지 않다. 사람들에게 해를 끼치기 보다는 심술을 부리고 골탕을 먹이지만 결국에는 선한 사람에게 도움을 주는 존재로써 역할을 한다. 즉, 도깨비는 자신이 지닌 초월적 능력으로 인간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꿈꾸는 있는 이상과 현실은 큰 괴리를 보인다. 사람들은 많은 돈을 가질 수 있었으면 좋겠고, 자식들이 다복하기를 바라며 맛있는 음식을 배부르게 먹고 걱정없이 살기를 바란다. 하지만 현실은 이와 같은 사람들의 이상과는 크게 다른 경우가 많다. 따라서 사람들은 도깨비를 이상과 현실 사이의 괴리를 해결해 줄 수 있는 존재로 만들고 또 믿음으로써 인간 욕망의 대리인으로 기능하게끔 하고 있다. 결국 도깨비신앙을 통해 대한민국에서 거주했었고 또 지금도 거주하고 있는 사람들의 민족성에 대해서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다.

발생

119개에 이르는 도노 지역에 나타난 요괴 이야기가 수록되어 있으며 공간, 목격자, 요괴의 외형적 특징을 자세하게 묘사하였다.

도노지역은 광산 채굴자나 기지시 혹은 슈겐자들이 사는 깊은 산속의 촌락을 포괄하고 있었다. 폐쇄성과 개방성이 서로 어우러져 환상적인 일본의 요괴 이야기가 창작될 수 있었다.


특징

1. 요괴의 출현장소가 산 속 공간이 상당히  많이 차지한다. 
2. 요괴를 목격한 사람을 구체적으로 드러내면서 생생하게 이야기를 전개한다. 
3. 요괴의 외형적인 특징을 구체적으로 묘사한다. 

분석 [2]

[문헌설화] ㉮ 길달이란 자가 있사온데 국정을 보필할 만합니다 [3] ㉯ 대숲 속에 한 여자가 분홍 연꽃무늬 난삼(襴衫)을 입고 머리를 풀고 앉아 있다가21) ㉰ 어떤 도깨비가 고관대면(高冠大面)으로22) ㉱ 어떤 사람이 농립에 도롱이를 입고(중략) 키가 한 길이 넘고 벙거지 에 도롱이를 입고 눈빛이 횃불 같으며 비린내가 풍기기에23) ㉲ 홀연히 관복과 관모를 쓴 장부 하나가(중략) 밤에 푸른 치마를 입은 여자와 백발 노파가24) ㉳ 갑자기 험악하게 생긴 사내 하나가 문을 열고 들어 왔소. 머리에는 전립을 쓰고 몸에는 푸른빛이 나는 전복을 입은 모습이 마치 관가 의 군졸 같았소. 25)

종류

금방망이 은방망이 도깨비

혹 떼러 갔다가 혹 붙인 사나이 도깨비

아버지의 유산과 삼형제 도깨비

마법의 옷 도깨비

무엇이 무서워 도깨비

도깨비가 나오는 집 도깨비

도깨비와 관련된 한국의 지명이나 공간

각주

  1. <참고>한ㆍ중 도깨비 설화 연구, 박기용
  2. <출처> 한국 도깨비 형상 연구, 박기용
  3. [ 一然,『三國遺事』卷1〈桃花女鼻荊郞〉. ‘有吉達者, 可輔國政.’ *건장한 사내의 도깨비 설화는 한국문헌설화전집2「청구야담」19쪽, 한국문헌설화전집1「계서야담」10쪽, 한국야담자료집성6의「기문총화」159쪽,「대동기문」영조조 34쪽 등에 5편 나타난다]


기여

최초편집자: 김대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