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리론
DH 교육용 위키
203.252.145.8 (토론) 사용자의 2014년 6월 3일 (화) 13:11 판
요약
- 성리학의 이기론(理氣論)에서 이(理)의 우위를 주장하는 이론.
내용
- 「주리」라는 말은 퇴계 이황이 기대승에게 보낸 편지에서 처음으로 사용되었고, 이후 대체로 영남지방의 학자들에 의해 계승, 발전되었다. 처음 이황이 이와 기가 서로 작용한다는 이기호발설(理氣互發設)]을 통해 이의 우위와 능동성을 주장한 이후 영남학자들은 별다른 논란 없이 이를 받아들였는데, 기호학자들이 율곡 이이의「기발이승도설(氣發理乘途設)」에 따라 이의 무능동성과 기의 능동성을 주장하자, 이기론에 관심을 기울이고 이황의 학설을 옹호하는 학파의 성격을 강화해갔다. 그것은 이황이 죽은 뒤 100년이 지난 17세기후반 이현일(李玄逸)에서 시작되었는데, 그는 이이의 성리설을 19조목으로 비판했다.
그의 아들 이재(李栽)는 한걸음 더 나아가 기의 작용을 기다리지 않고 이만으로도 이미 만물의 체용(體用)을 갖추고 있음을 주장했다. 이상정(李象靖)을 거쳐 유치명(柳致明)에 이르면 주리론은 한층 강화되어, 이가 우주의 주체이자 마음의 본체라는 데까지 나아가게 된다. 기호학파의 일부 학자들도 주리론을 주장했는데, 이항로(李恒老)는 이의 우위를 인정하는 입장이었고, 기정진(奇正鎭)은 일반적인 주리론에서 더 나아가 기가 이에 포함된다는 극단적인 「유리론(唯理論)」으로까지 발전시켰다. 주리론은 주기론과 조선 후기 내내 학문적·정치적으로 대립, 발전했으며, 정치 및 사회사상에 큰 영향을 끼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