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 추암과 해암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최한샘 사용자가 추암과 해암정 문서를 동해 추암과 해암정 문서로 옮겼습니다)
잔글
1번째 줄: 1번째 줄:
{{문화유산정보
+
 
|대표명칭 = 북평 해암정(海岩亭)
+
|사진 = [[파일:추암.jpg|섬네일]]
Sea Rock Pavillion
+
|지정번호 = 강원도 시도유형문화재 제63호
+
|지정명칭 = 북평 해암정(北坪 海岩亭)
+
|영문명칭 = Bukpyeong Hae-am-jeong
+
|주소 = 강원도 동해시 북평동 474-5
+
|전화 = 033-530-2634
+
 
|사진 = [[파일:해암정.jpg|섬네일]]
 
|사진 = [[파일:해암정.jpg|섬네일]]
|웹사이트 = }}
+
 
  
  
14번째 줄: 8번째 줄:
  
 
=='''개요 Overview'''==
 
=='''개요 Overview'''==
 +
추암과 해암정은 둘 다 강원도 동해시에 위치하고 있다.
 +
 +
Both Chu-am and Hae-am-jeong are located in Dong-hea City, Gangwon province.
 +
 +
추암의 의미는 '촛대 바위'이며, 이 촛대파도와 비바람에 씻긴 기암괴석이 해안을 막아서듯 절벽을 이루고 그다지 넓지는 않지만 백사장이 있는 한적한 해수욕장이다.
 +
 +
'Chuam' is a quiet sandy beach. It is not that spacious, but is surrounded by rocks of fantastic shape.
 +
 +
 
북평 해암정은 강원도 동해시 북평동에 있는 누정이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홑처마 팔작지붕 건물이며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63호로 지정되었다.   
 
북평 해암정은 강원도 동해시 북평동에 있는 누정이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홑처마 팔작지붕 건물이며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63호로 지정되었다.   
  
32번째 줄: 35번째 줄:
  
 
=='''특징''' Features==
 
=='''특징''' Features==
===추암(湫岩) Chuam or Candlestick Rock Beach===
+
===추암(湫岩) Chuam ===
 
'추암'은 파도와 비바람에 씻긴 기암괴석이 해안을 막아서듯 절벽을 이루고 그다지 넓지는 않지만 백사장이 있는 한적한 해수욕장이다.  
 
'추암'은 파도와 비바람에 씻긴 기암괴석이 해안을 막아서듯 절벽을 이루고 그다지 넓지는 않지만 백사장이 있는 한적한 해수욕장이다.  
  

2017년 4월 14일 (금) 15:24 판

|사진 = |사진 =
해암정.jpg



개요 Overview

추암과 해암정은 둘 다 강원도 동해시에 위치하고 있다.

Both Chu-am and Hae-am-jeong are located in Dong-hea City, Gangwon province.

추암의 의미는 '촛대 바위'이며, 이 촛대파도와 비바람에 씻긴 기암괴석이 해안을 막아서듯 절벽을 이루고 그다지 넓지는 않지만 백사장이 있는 한적한 해수욕장이다.

'Chuam' is a quiet sandy beach. It is not that spacious, but is surrounded by rocks of fantastic shape.


북평 해암정은 강원도 동해시 북평동에 있는 누정이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홑처마 팔작지붕 건물이며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63호로 지정되었다.

1361년에 심동로가 처음 세웠으나 소실되고, 1530년에 중건하였다. [1]

The pavillion is located in Donghae City, Gangwon Province. It is three kans in the front and two kans in the side.

It was designated as a tangible cultural heritage no. 63 of Gangwon Province. It was built by Shim Dong-ro in 1361, but soon distroyed by fire, and rebuilt in 1530 during the Joseon Dynasty.


위치 Location


특징 Features

추암(湫岩) Chuam

'추암'은 파도와 비바람에 씻긴 기암괴석이 해안을 막아서듯 절벽을 이루고 그다지 넓지는 않지만 백사장이 있는 한적한 해수욕장이다.

'Chuam' is a quiet sandy beach. It is not that spacious, but is surrounded by rocks of fantastic shape.

'추암'이란 이름은 주변의 바다에 뾰족하게 솟아있는 촛대바위에서 유래했다.

The name 'Chuam' comes from a rock in the sea, which looks like a candlestick.

조선 세조 때 한명회가 강원도 체찰사(體察使)로 있으면서 추암에 와보고는 그 경승에 취해 ‘능파대’라 부르기도 했다.

특히 바다에 일부러 꽂아놓은 듯 뾰족하게 솟아 있는 촛대바위를 제1의 경치로 친다.

수십 년 전 심한 폭풍우로 위쪽 일부가 부숴졌지만 고고한 모습은 여전하다.

흰 수건을 적시면 푸른색 물이 흠씬 배어들 듯 짙푸른 바다색도 인상적이다.

추암(湫岩)이라는 이름 그대로 촛대처럼 뾰족 솟은 모습도 기묘하지만 강원도 동해시와 삼척시 바닷가에 한 발씩 걸친 위치가 더 절묘하다.

바다를 향해 서면 왼쪽이 동해시, 오른쪽이 삼척시이다.

마을에서 해안 쪽을 바라보면 작은 동산 하나가 있는데, 촛대바위는 이 동산 너머 동쪽 바다에 솟아 있다.

동산에 올라 촛대바위를 직접 내려다보는 것도 좋지만 남쪽 백사장 끝에서 멀리 바라보는 풍광이 더 낫다.

북평 해암정" 답사여행의 길잡이 </ref>

해암정(海岩亭)

역사 History

시초 Foundation

1361년에 삼척심씨의 시조 심동로(沈東老)가 낙향하여 건립한 정자이다. The pavilion was founded in 1361 by Sim Dong-ro, progenitor of Samcheok Sim clan, after retiring to his hometown.

고려시대 Goryeo Period

고려 공민왕 10년(1361) 심동로는 벼슬을 버리고 낙향한 후 해암정을 건립하고 후학의 양성과 풍월로 세월을 보냈다. In the reign of King Gongmin, in 1361, Sim retired to his hometown and established the pavillion.

왕은 다시 그를 진주군(眞珠君)으로 봉하고 삼척부를 식읍(食邑)으로 하사하였다.

[2]

조선시대 Joseon Period

지금의 해암정(海岩亭)은 본래 건물이 소실된 후 조선 중종 25년(1530)에 어촌(漁村) 심언광(沈彦光)이 중건하고, 정조 18년(1794) 다시 중수한 것이다.

해방이후 모습 Present State

건물은 낮은 1단의 석축 기단 위에 세운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을 얹은 정자 형식이다.

4면 모두 기둥만 있고 벽면은 없다.

뒤로 지붕보다 조금 높은 바위산이 있어 운치를 더해 주며, 이곳에서 보는 일출 광경은 장관이라 한다. 정자 누마루의 안쪽 벽에 걸려 있는 여러 개의 판각은 이곳을 다녀갔다는 옛사람의 기록이거나 경치를 읊은 시구들이다.

“초합운심경전사”(草合雲深逕轉斜)는 우암 송시열이 숙종 때 영의정을 지내다가 왕가의 장례 문제로 구설수에 올라 함경남도 덕원땅으로 귀양살이를 가던 도중 이곳에 들른 기념으로 남긴 글씨이다.

정자 앞마당은 햇살을 쨍쨍 받는 너른 터로 어촌 아낙들이 미역을 말리는 단골 장소이다. 작은 냇물이 정자 앞을 지나 바다와 합쳐지는데, 해안가와 해암정 사이에 민박집들이 너무 바투 있어 바다 쪽 시야를 방해하고 있다. 이 민박집들을 빼놓고, 또 언덕과 해암정 뒤쪽 기암절벽에 눈엣가시처럼 둘러쳐진 군대 철조망을 빼놓고 바닷가에 오롯이 해암정만 들어서 있는 한적한 풍경을 상상하기가 그리 어렵지는 않을 듯하다. 한 가지 더 못내 아쉬운 것은 마을 초입의 굴다리 바로 뒤편에 대규모의 북평공단이 들어서게 된다는 점이다. 이 맑은 바닷물에 어떤 영향은 없을지 매우 걱정이다.

그나마 좁은 굴다리 안쪽에 요새처럼 자리 잡고 있기에 대형 관광지로 개발되는 신세를 면했지만, 그래도 추암의 풍광은 차츰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지고 있다. 아직은 작은 어촌 냄새를 풍기고 있으나 이 풍경이 언제까지 계속될는지는 알 수 없는 일이다.

촛대처럼 우뚝 서서 멀리 바다 저편에서부터 솟아오는 해를 맞이하는 촛대바위나 작고 아담한 해암정도 좋지만, 그것을 품고 있는 전체가 더 사랑스러운 곳이다.

북평 해암정" 답사여행의 길잡이 </ref>


관련 인물 Related Historical Figures

경내 문화재 Cultural Heritage Inside

가상현실 Virtual Reality

참고문헌 References

임봉훈, 「한시와 기행」, 한글한자문화 155권, 2012

박종분, 『답사여행의 길잡이 3』, 돌베개, 2011

주석 Footnotes

  1. "북평 해암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
  2. "북평 해암정" 답사여행의 길잡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