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북정맥"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29번째 줄: 29번째 줄:
 
[[파일:한북정맥-수락지맥-상세도.jpg|썸네일]]<ref>한돌의 산이야기-수락지맥 [http://blog.daum.net/_blog/BlogTypeView.do?blogid=0TbAM&articleno=467&categoryId=92&regdt=20120113163142&totalcnt=7]</ref>
 
[[파일:한북정맥-수락지맥-상세도.jpg|썸네일]]<ref>한돌의 산이야기-수락지맥 [http://blog.daum.net/_blog/BlogTypeView.do?blogid=0TbAM&articleno=467&categoryId=92&regdt=20120113163142&totalcnt=7]</ref>
  
== 고지도로 보는 수락지맥 ==
+
== 지도 ==
 +
* 고지도로 보는 수락지맥
 
<gallery>
 
<gallery>
 
파일:산경표-한북정맥-수락지맥-청구도.jpg|청구도<ref>규장각 고지도 서비스-청구 [http://e-kyujanggak.snu.ac.kr/home/index.do?idx=06&siteCd=KYU&topMenuId=206&targetId=379]</ref>
 
파일:산경표-한북정맥-수락지맥-청구도.jpg|청구도<ref>규장각 고지도 서비스-청구 [http://e-kyujanggak.snu.ac.kr/home/index.do?idx=06&siteCd=KYU&topMenuId=206&targetId=379]</ref>
36번째 줄: 37번째 줄:
 
    
 
    
 
파일:산경표-한북정맥-수락지맥-대동여지도.jpg|대동여지도<ref>규장각 고지도 서비스-대동여지도 [http://e-kyujanggak.snu.ac.kr/home/index.do?idx=06&siteCd=KYU&topMenuId=206&targetId=379] </ref>
 
파일:산경표-한북정맥-수락지맥-대동여지도.jpg|대동여지도<ref>규장각 고지도 서비스-대동여지도 [http://e-kyujanggak.snu.ac.kr/home/index.do?idx=06&siteCd=KYU&topMenuId=206&targetId=379] </ref>
 
 
</gallery>
 
</gallery>
  
== 현대지형도로 보는 수락지맥 ==
 
 
* 본 지도는 경기도 지역의 대동여지도의 지명과 수계 및 산계를 현대지도 상에 overlap해서 제작한 지도임.
 
* 본 지도는 경기도 지역의 대동여지도의 지명과 수계 및 산계를 현대지도 상에 overlap해서 제작한 지도임.
 
<gallery>
 
<gallery>
47번째 줄: 46번째 줄:
 
</gallery>
 
</gallery>
  
== 구글맵으로 보는 수락지맥 ==
+
* 구글 지도로 본 수락지맥
<googlemap width="800" height="600" lat="37.696493" lon="127.082233" zoom="11"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
<googlemap height="400" lat="37.696493" lon="127.082233" type="terrain" zoom="11"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37.571387, 127.103798, [[아차산]]
 
  37.571387, 127.103798, [[아차산]]
 
  37.781774, 127.119472, [[축석현,현)축석령]]
 
  37.781774, 127.119472, [[축석현,현)축석령]]
56번째 줄: 55번째 줄:
 
</googlemap>
 
</googlemap>
  
== 이 페이지 개선할 점 ==
+
== 클래스 ==
* (todo:작업예정)아차산에서 한북산맥을 기록한 이유 서술.
+
* 장소
* (todo:작업예정)아차산과의 차별성은?
+
* 장소-산맥
* (todo:작업예정)kml로 주요 산 이름 지명 찍기
+
 
* (todo:작업예정)산경표 원본 이미지 연결하기
+
==관련 문서==
* (todo:작업예정)수락지맥 3D 지형 만들기
+
{|class="wikitable"
* (todo:작업예정)군현단위(양주) 고지도 중 아차산 주변 일대 캡쳐
+
!문서 || 관계 || 관련 문서
* (todo:작업예정)서울의 역사화문화유적확인해서 보완하기
+
|-
 +
|한북정맥|| A는 B를 포함한다 || [[아차산]]
 +
|}
 +
 
 +
==기여==
 +
*[[김현종]], 20160606, draft v1.0 제작
 +
*문서 메모
 +
** (todo:작업예정)아차산에서 한북산맥을 기록한 이유 서술.
 +
** (todo:작업예정)아차산과의 차별성은?
 +
** (todo:작업예정)kml로 주요 산 이름 지명 찍기
 +
** (todo:작업예정)산경표 원본 이미지 연결하기
 +
** (todo:작업예정)수락지맥 3D 지형 만들기
 +
** (todo:작업예정)군현단위(양주) 고지도 중 아차산 주변 일대 캡쳐
 +
** (todo:작업예정)서울의 역사화문화유적확인해서 보완하기
 +
 
 +
== 출처 ==
 +
<references/>
  
== 주석 ==
+
[[분류:김현종]]
<references />
+
[[분류:문화유산 디지털 콘텐츠 개발]]

2016년 6월 9일 (목) 01:51 판

한북정맥의 개요

  • 백두대간에서 갈라져 남쪽으로 한강임진강에 이르는 산줄기 이름.
    • 산경표(山經表)』에 근거를 둔 이들 산줄기의 특징은 모두 강을 기준으로 한 분수산맥으로 그 이름도 대부분 강 이름에서 비롯됨.
  • 동쪽으로 회양·화천·가평·남양주, 서쪽으로 평강·철원·포천·양주 등의 경계를 이룸.
  • 동쪽은 한강 유역이고 서쪽은 임진강 유역이 됨.[1]
  • 백두대간(白頭大幹)의 추가령에서 서남으로 갈라져 백암산·양쌍령(兩雙嶺)·적근산(赤根山)·대성산(大成山)·수피령(水皮嶺)·광덕산(廣德山)·백운산·국망봉(國望峰)·강씨봉(姜氏峰)·청계산·현등산(懸燈山)·죽엽산·도봉산·노고산·현달산(峴達山)·고봉산·장명산(長命山) 등으로 이어짐[2]
한북정맥-지도-민백.jpg

한북정맥의 지맥

수락지맥의 개요

수락지맥-조감도.jpg

수락지맥의 답사 경로

  • 1구간 : 축석령(43번 국도)→수락지맥 분기점→234.9m봉→용암산(475.4m)→수리봉 갈림길→수리봉(535.9m)→수리봉 갈림길→224.2m봉→비루고개→깃대봉(288.3m)→박수고개→43번 국도 : 13.5km
  • 2구간 : 43번 국도→사기막 고개→수락산(640.6m)→372.6m봉→덕능고개→불암산(509.7m)→420.3m봉→담터 4거리→새우개 고개→171.5m봉→57사단 정문 : 15.6km
  • 3구간 : 57사단 입구→망우리 고개→281.3m봉→279.5m봉→용마산 갈림길(316m봉)→용마산(348.6m)→용마산 갈림길→아차산(285m)→249.9m봉→한강 : 9.7km(용마산 산행거리 : 1.2km)
한북정맥-수락지맥-상세도.jpg
[3]

지도

  • 고지도로 보는 수락지맥
  • 본 지도는 경기도 지역의 대동여지도의 지명과 수계 및 산계를 현대지도 상에 overlap해서 제작한 지도임.
  • 구글 지도로 본 수락지맥

클래스

  • 장소
  • 장소-산맥

관련 문서

이 문서 관계 관련 문서
한북정맥 A는 B를 포함한다 아차산

기여

  • 김현종, 20160606, draft v1.0 제작
  • 문서 메모
    • (todo:작업예정)아차산에서 한북산맥을 기록한 이유 서술.
    • (todo:작업예정)아차산과의 차별성은?
    • (todo:작업예정)kml로 주요 산 이름 지명 찍기
    • (todo:작업예정)산경표 원본 이미지 연결하기
    • (todo:작업예정)수락지맥 3D 지형 만들기
    • (todo:작업예정)군현단위(양주) 고지도 중 아차산 주변 일대 캡쳐
    • (todo:작업예정)서울의 역사화문화유적확인해서 보완하기

출처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북정맥(漢北正脈)[1]
  2. 두산백과, 한북정맥 [2]
  3. 한돌의 산이야기-수락지맥 [3]
  4. 규장각 고지도 서비스-청구 [4]
  5. 규장각 고지도 서비스-동여도 [5]
  6. 규장각 고지도 서비스-대동여지도 [6]
  7. 경기도지도집성 2권-경기도의 근현대지도 중 포천도엽
  8. 경기도지도집성 2권-경기도의 근현대지도 중 성동도엽
  9. 경기도지도집성 2권-경기도의 근현대지도 중 성동도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