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외환위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14번째 줄: 14번째 줄:
 
'[[IMF 경제 위기]]', '[[IMF 외환 위기]]', '[[IMF 환란]]', '[[IMF 관리체제]]', '[[IMF 시대]]', '[[IMF 사태]]' 등으로 불리나 [[IMF]]라는 명칭 자체가 외환 위기의 의미를 담고 있지 않기 때문에 잘못된 표현이다. 그러나 [[IMF]]에 구제금융을 요청했다는 상징성으로 인해 내용이 압축된 단어로 [[대한민국]] 언론 등에서 자주 사용되고 있다.
 
'[[IMF 경제 위기]]', '[[IMF 외환 위기]]', '[[IMF 환란]]', '[[IMF 관리체제]]', '[[IMF 시대]]', '[[IMF 사태]]' 등으로 불리나 [[IMF]]라는 명칭 자체가 외환 위기의 의미를 담고 있지 않기 때문에 잘못된 표현이다. 그러나 [[IMF]]에 구제금융을 요청했다는 상징성으로 인해 내용이 압축된 단어로 [[대한민국]] 언론 등에서 자주 사용되고 있다.
  
태국, 홍콩, 말레이시아,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의 연쇄적 '외환 위기' 속에 대한민국 정부의 외환관리정책의 미숙과 실패가 'IMF 환란'의 직접적인 원인이다.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김영삼은 1997년 11월 10일에 이루어진 강경식 경제부총리와의 통화 이전까지 외환위기의 심각성조차 모르고 있었다.[5]
+
[[태국]], [[홍콩]], [[말레이시아]], [[필리핀]], [[인도네시아]] [[동남아시아]]의 연쇄적 '외환 위기' 속에 [[대한민국]] 정부의 외환관리정책의 미숙과 실패가 '[[IMF 환란]]'의 직접적인 원인이다.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김영삼]]은 1997년 11월 10일에 이루어진 [[강경식]] 경제부총리와의 통화 이전까지 [[외환위기]]의 심각성조차 모르고 있었다.
  
 
많은 회사들의 [[부도]] 및 경영 위기가 나타났고, 이 과정에서 대량 해고와 경기 악화로 인해 [[대한민국]]의 온 국민이 큰 어려움을 겪었다. 이 사건이 일어난 직후인 1997년 12월 18일에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선거]]가 치러졌고, 이 [[선거]]에서 [[여당]]은 [[야당]]에게 패배하여 [[정권]] 교체가 이루어졌다.
 
많은 회사들의 [[부도]] 및 경영 위기가 나타났고, 이 과정에서 대량 해고와 경기 악화로 인해 [[대한민국]]의 온 국민이 큰 어려움을 겪었다. 이 사건이 일어난 직후인 1997년 12월 18일에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선거]]가 치러졌고, 이 [[선거]]에서 [[여당]]은 [[야당]]에게 패배하여 [[정권]] 교체가 이루어졌다.

2016년 12월 20일 (화) 16:57 판


대한민국IMF 구제금융 요청(1997년 12월 3일 ~ 2001년 8월 23일)은 국가부도 위기에 처한 대한민국이 IMF으로부터 자금을 지원받는 양해각서를 체결한 사건이다. 1997년 12월 3일에 이루어졌다. 기업이 연쇄적으로 도산하면서 외환보유액이 급감했고 IMF에 20억 달러 긴급 융자를 요청하였다. 외환 위기 속에 대한민국은 외환보유액이 한때 39억 달러까지 급감했지만, IMF에서 195억 달러의 구제금융을 받아 간신히 국가부도 사태는 면했다.

'IMF 경제 위기', 'IMF 외환 위기', 'IMF 환란', 'IMF 관리체제', 'IMF 시대', 'IMF 사태' 등으로 불리나 IMF라는 명칭 자체가 외환 위기의 의미를 담고 있지 않기 때문에 잘못된 표현이다. 그러나 IMF에 구제금융을 요청했다는 상징성으로 인해 내용이 압축된 단어로 대한민국 언론 등에서 자주 사용되고 있다.

태국, 홍콩, 말레이시아, 필리핀, 인도네시아동남아시아의 연쇄적 '외환 위기' 속에 대한민국 정부의 외환관리정책의 미숙과 실패가 'IMF 환란'의 직접적인 원인이다.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김영삼은 1997년 11월 10일에 이루어진 강경식 경제부총리와의 통화 이전까지 외환위기의 심각성조차 모르고 있었다.

많은 회사들의 부도 및 경영 위기가 나타났고, 이 과정에서 대량 해고와 경기 악화로 인해 대한민국의 온 국민이 큰 어려움을 겪었다. 이 사건이 일어난 직후인 1997년 12월 18일에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선거가 치러졌고, 이 선거에서 여당야당에게 패배하여 정권 교체가 이루어졌다.

1998년 2월, 김대중 정부가 들어섰고 김대중 대통령은 취임 이후 계속해서 IMF의 개입을 전면적으로 받아들이고 경제개혁에 착수했다. 대한민국IT 산업 장려 정책이나 대기업 간의 사업 교환 및 통폐합으로 경제 재건을 도모했다. 1999년 3월, 정부는 사이버 코리아 21 계획을 발표하며 IT 산업 발전 및 인프라 투자에 힘을 쏟았다. 2000년 6월, 남북정상회담을 개최하여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었다.

1998년 12월, IMF 긴급 보관 금융에 18억 달러를 상환한 것을 계기로대한민국은 금융 위기로부터 서서히 빠져나갔다. 2000년 12월 4일, 김대중 대통령은 "국제 통화 기금의 모든 차관을 상환하였고, 우리나라가 'IMF 위기'에서 완전히 벗어났다"라고 공식 발표하였다. 2001년 8월 23일, 대한민국에 대한 IMF 관리 체제가 종료되었다.

대한민국 정부는 위기 발생 때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장치로서 외환보유액을 꾸준히 늘려왔다. 'IMF외환 위기'로 39억 달러까지 떨어졌던 대한민국의 외환보유액은 이듬해인 1998년 말 520억 달러로 증가했고, 2001년 말에는 1028억 달러로 1000억 달러선을 돌파했다. 2001년 8월 23일에는 IMF 구제금융 195억 달러를 조기 상환해 IMF 관리체제를 졸업했다.[1]

관련문서

이 문서 관계 관련 문서
IMF 외환위기 는 ~과 관련있다. 시티폰
IMF 외환위기 는 ~과 관련있다. 가요톱텐


각주

  1. <출처> 위키백과-대한민국의 IMF 구제금융 요청

기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