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101 이효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인물의 타임라인, 네트워크 그래프를 통한 시각적 인문학의 구현) |
|||
94번째 줄: | 94번째 줄: | ||
=='''디지털 큐레이션 제작의 의의 및 가치'''== | =='''디지털 큐레이션 제작의 의의 및 가치'''== | ||
− | === | + | ===사회적 의의 및 가치=== |
− | === | + | |
+ | ===개인적 의의 및 가치=== | ||
==''주석''== | ==''주석''== |
2021년 6월 22일 (화) 17:10 판
인문정보학과 석사1학기 20212702 이효림 |
목차
‘효창공원 일원’ 디지털 큐레이션의 구성
2021년 1학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수업의 일환으로 효창공원 일원에 관한 디지털 큐레이션을 제작하였다. 이 ‘효창공원 일원’디지털 큐레이션은 효창공원을 3개의 구역으로 나누고, 효창공원 내 7개의 공간에 대한 위키 페이지를 구성했으며, 이는 아래의 표와 같다.
구역 | 공간 |
---|---|
효창공원 서쪽 | 백범김구 묘역 |
이봉창의사 상 | |
반공투사 위령탑 | |
효창공원 중앙 | 삼의사 묘역 |
의열사 | |
효창공원 동쪽 | 임정요인 묘역 |
원효대사 상 |
또한 아래와 같이 효창공원 내 안장된 인물 8인에 대한 위키페이지를 구성하였다.
디지털 큐레이션 방법은 전자지도, 사진, 동영상, VR, 타임라인, 네트워크 그래프 등을 이용하였으며, 장소감(물리적인 공간과 함께 그 장소에 깃든 문화적 사회적 의미가 함께 어우러져서 만들어 내는 감성)[3]을 구현하여 독자가 문맥 속에서 효창공원에 대한 인문지식을 파악하여 효창공원의 의미와 가치를 알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VR, 사진, 전자지도 등 다양한 시각자료를 통한 장소감 구현
<자료1>과 같이 전자지도(Map)를 이용하여 효창공원의 지리적·공간적 특성을 시각화하여 효창공원이 삶의 터전 한 중간에 있음을 알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전자지도를 통하여 효창공원과 그 공간들을 한 눈에 조망할 수 있도록 하여 지리적 특성 뿐 아니라 공간감(효창공원이 얼마나 큰 공간인지)과 지리감(각 공간이 어디에 위치하였는지)을 도모하였다.
- <자료1> 전자지도를 통한 효창공원 일원의 시각화
그리고 <자료2>와 같이 각 구역별 위키페이지에는 효창공원의 VR을 구현하여 실제로 방문한 듯한 효과를 주어 장소감을 도모하였다. 해당 VR은 실제 동선을 고려하여 갈림길에서는 방문할 곳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높은 몰입감을 주고자 하였다. 그리고 VR 내 8개의 공간에는 위키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배치하여 클릭 시 해당 공간의 위키페이지로 이동하여 자세한 설명을 볼 수 있도록 하였다.
- <자료2> 효창공원 구역별 VR (서쪽)
또한 공간에 대한 위키페이지는 장소의 VR과 사진, 인물에 대한 주요 업적만을 간략하게 기재하는 대신, 인물 위키페이지를 생성하였다. [4]
인물의 위키페이지를 통한 인문학적 함의 구현
효창공원의 공간뿐만 아니라 효창공원 내 8인의 독립운동가에 대한 위키페이지를 생성하여 인물의 생애와 업적, 관련된 유물의 사진, 인물의 네트워크 그래프를 제공하였다. 여기에는 효창공원과 관련되지 않은 유물에 대한 내용도 포함하여 디지털 아카이브가 전문 큐레이터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5]
인물 위키페이지를 생성한 이유는 효창공원의 아카이브를 구축하여 문화적 문맥을 드러내고 역사적 가치를 입증[6]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인물 위키를 통하여 효창공원 내 인물이 조국의 독립을 위하여 얼마나 피와 땀을 바쳤는지에 대한 인문학적 정보를 제공하고, 독자로 하여금 그들이 왜 효창공원에 안장되었는지 자연스럽게 알 수 있도록 하였다. 즉 공간과 인물을 엮어서 ‘살아있는 이야기’를 제공[7]하기 위하여 아카이브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인물의 타임라인, 네트워크 그래프를 통한 시각적 인문학의 구현
디지털 시대의 지식 수요 형태를 고려하여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고자 하고자 <자료 3>처럼 인물의 생애를 타임라인으로 시각화하여 간략하게 인물의 생애를 알아볼 수 있도록 하였다.
- <자료 3> 인물 생애 타임라인 (이동녕)
또한 네트워크 그래프를 문화재 중심, 인물 중심 2가지 종류로 구현하여 독자가 다양한 문맥 속에서 효창공원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자료 4>와 같이 네트워크 그래프의 범위를 효창공원 외부로 범위를 확장시킨 그래프를 위키 대문에 배치하여 인물과 관련된 다양한 문화재를 보여줌으로써 지식의 확장을 도모하였다.
- <자료 4> 효창공원 외부로 범위가 확장된 문화재 중심의 네트워크 그래프
또한 <자료 5>, <자료 6>과 같이 인물에 대한 네트워크 그래프와 구역별 네트워크 그래프를 생성하여 각 인물이 어떠한 활동을 하였는지, 또 효창공원 내 인물들 간 연관 관계 등을 볼 수 있도록 하였다.
- <자료 5> 효창공원 내 구역별 네트워크 그래프 (효창공원 서쪽)
- <자료 6> 효창공원 내 인물별 네트워크 그래프 (백정기)
디지털 큐레이션 제작의 의의 및 가치
사회적 의의 및 가치
개인적 의의 및 가치
주석
- ↑ 기말 리포트를 축약하여 작성함.
- ↑ 안중근 의사의 묘는 유해를 아직 발굴하지 못하여 가묘이다.
- ↑ 김현, 『인문정보학의 모색』, 2012.12. 북코리아.
- ↑ 이와 관련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히 기술함
- ↑ 김현, 「데이터로 疏通하는 동아시아 儒敎文化」, 인문가치포럼 발표문, 2019.
- ↑ 김현, 「유교문화 디지털 아카이브를 위한 디지털 큐레이션 모델」, 세계유교문화박물관 디지털 아카이브 마스터플랜 연구, 2020. 3.
- ↑ 김현, 「유교문화 디지털 아카이브를 위한 디지털 큐레이션 모델」, 세계유교문화박물관 디지털 아카이브 마스터플랜 연구, 2020.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