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설 경무청 복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74번째 줄: 74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
<span class="plainlinks">[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A%B3%A0%EC%A2%85%EC%8B%A4%EB%A1%9D&ridx=0&tot=31 『고종실록(高宗實錄)』]</span>, 『관보(官報)』, 『의궤(儀軌)』, 『의주(議奏)』, <span class="plainlinks">[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C%9D%BC%EC%84%B1%EB%A1%9D&ridx=0&tot=19 『일성록(日省錄)』]</span>, 『주본(奏本)』, 『칙령(勅令)』
 +
 +
박선희, 「대한제국기 의례반차도의 경찰 제복 고증」,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2019.<br/>
 +
 +
[[분류:복식콘텐츠]] [[분류:복식2020단국대]]
 +
[[분류:Concept]] [[분류:Concept-개념용어]]
 +
[[분류:대한제국기 경찰 제복]]
 +
[[분류:박선희]]

2020년 11월 20일 (금) 12:02 판

정의

복설 경무청 체제(1902.02.18. ~ 1907.07.29.)에서의 경찰 복식제도 변화 정리이다.

<표 1> 복설 경무청 복제의 변천 과정(1902.02.18. ~ 1907.07.29.)
분류 제정 및 시행 칙령 내용 관보
복제
(服制)
1902.08.03. 제11호 경무사 이하 각 관찰부 총순의 예모·예장 변통 광무6년 8월 6일
제12호 경무사 이하 각 관찰부 총순의 상모·상장 변통
1905.07.22. 제39호 경무사이하 총순의 예모·예장 제식 개정 광무9년 7월 27일
제40호 경무사이하의 상모·상장·하복 제식 개정
1907.03.19. 제10호 경무사 이하 예모·예장 제식 중 개정건 광무11년 3월 21일
제11호 경무사 이하 간수장 상모·상장·하복 제식 개정
1907.06.22. - 칙령 제11호·제40호 중 첨입·수정·삭제 광무11년 6월 22일

내용

상복(常服):동복(冬服)

상모(常帽)

상의(常衣)

바지[常袴]

상복(常服):하복(夏服)

예복(禮服)

예모(禮帽)

상의(上衣)

바지[袴]

부속품

상장(喪章)

지식관계망

클래스

관계정보

시각자료

주석


참고문헌

『고종실록(高宗實錄)』, 『관보(官報)』, 『의궤(儀軌)』, 『의주(議奏)』, 『일성록(日省錄)』, 『주본(奏本)』, 『칙령(勅令)』

박선희, 「대한제국기 의례반차도의 경찰 제복 고증」,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