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산 명재 고택(論山明齋古宅)"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5명의 사용자에 의한 26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2번째 줄: 2번째 줄:
 
|대표명칭 = 윤증 고택
 
|대표명칭 = 윤증 고택
 
|지정번호 = 중요민속문화재  제190호
 
|지정번호 = 중요민속문화재  제190호
 +
|지정일 = 1984년 12월 24일
 
|지정명칭 = 논산 명재 고택(論山明齋古宅)
 
|지정명칭 = 논산 명재 고택(論山明齋古宅)
 
|영문명칭 = Myeongjae Historic House, Nonsan
 
|영문명칭 = Myeongjae Historic House, Nonsan
 +
|분류 = 가옥 - 한옥
 +
|건립·제작 = 18세기
 
|주소 = 충남 논산시 노성면 노성산성길 50 (교촌리)
 
|주소 = 충남 논산시 노성면 노성산성길 50 (교촌리)
 
|위도 = 36.2822276
 
|위도 = 36.2822276
9번째 줄: 12번째 줄:
 
|사진 = Yoon01.jpg
 
|사진 = Yoon01.jpg
 
|지도 = <googlemap width="400" height="300" lat="36.2822276" lon="127.1311420" zoom="15"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지도 = <googlemap width="400" height="300" lat="36.2822276" lon="127.1311420" zoom="15"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36.2822276, 127.1311420, [[논산 명재 고택(論山 明齋 古宅)]]
+
36.2822276, 127.1311420, [[논산 명재 고택(論山明齋古宅)]]
 
</googlemap>
 
</googlemap>
 
}}
 
}}
 
+
<div>__NOTOC__</div>
 
=='''개관'''==
 
=='''개관'''==
  
조선 숙종 때의 학자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2583 윤증(1629∼1714)]지었다고 전하는 집이다.  
+
조선 숙종 때의 학자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2583 윤증(尹拯, 1629∼1714)]의 제자들이 윤증을 위해 지었다고 전하는 집이다.  
 
+
후대에 수리가 있었던 듯하며 그 세부기법은 19세기 중엽의 건축양식을 보이고 있다. 노성산성이 있는 이 산의 산자락에 [[노성향교(魯城鄕校)|노성향교]]와 나란히 남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후대에 수리가 있었던 듯 하며 그 세부기법은 19세기 중엽의 건축양식을 보이고 있다. 노성산성이 있는 이 산의 산자락에 [[노성향교(魯城鄕校)|노성향교]]와 나란히 남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
 
+
 
높은 기단 위에 앞면 4칸·옆면 2칸 규모의 사랑채가 있고, 왼쪽 1칸 뒤로 '一' 자형의 중문간채가 자리잡고 있다.  
 
높은 기단 위에 앞면 4칸·옆면 2칸 규모의 사랑채가 있고, 왼쪽 1칸 뒤로 '一' 자형의 중문간채가 자리잡고 있다.  
 
 
중문간채는 안채가 바로 보이지 않도록 1칸 돌아 들어가게 중문을 내었다. 중문을 들어서면 'ㄷ'자 모양의 안채가 있어서, 중문간채와 함께 튼 'ㅁ'자 모양을 이루고 있다.
 
중문간채는 안채가 바로 보이지 않도록 1칸 돌아 들어가게 중문을 내었다. 중문을 들어서면 'ㄷ'자 모양의 안채가 있어서, 중문간채와 함께 튼 'ㅁ'자 모양을 이루고 있다.
 
 
집 앞에는 넓은 바깥마당이 있고 그 앞에 인공연못을 파고 가운데에 원형의 섬을 만들어 정원을 꾸몄다. 또한 안채 뒷쪽에는 완만한 경사지를 이용하여 독특한 뒤뜰을 가꾸어, 우리나라 살림집의 아름다운 공간구조를 보이고 있다.
 
집 앞에는 넓은 바깥마당이 있고 그 앞에 인공연못을 파고 가운데에 원형의 섬을 만들어 정원을 꾸몄다. 또한 안채 뒷쪽에는 완만한 경사지를 이용하여 독특한 뒤뜰을 가꾸어, 우리나라 살림집의 아름다운 공간구조를 보이고 있다.
 
 
모든 건축부재의 마감이 치밀하면서 구조가 간결하고 보존상태도 양호한 조선의 양반주택으로 중요하다.
 
모든 건축부재의 마감이 치밀하면서 구조가 간결하고 보존상태도 양호한 조선의 양반주택으로 중요하다.
 +
지정 당시 명칭은 '윤증선생고택(尹拯先生故宅)'이었으나, 2007년에 윤증 선생의 호 명재(明齋)를 취하여 '논산 명재 고택(論山明齋古宅)'으로 지정명칭을 변경하였다.(2007.1.29)<ref>출처: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8,01900000,34&flag=Y 문화재청, 문화재정보]</ref>
  
지정 당시 명칭은 '윤증선생고택(尹拯先生故宅)'이었으나, 조선 숙종 때의 이름난 유학자 명재 윤증이 지었다고 전하는 가옥인 점을 반영하여 그의 호를 따라 '논산 명재 고택'으로 지정명칭을 변경(2007.1.29)하였다.<ref>출처: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8,01900000,34&flag=Y 문화재청, 문화재정보]</ref>
 
  
=='''영문 해설'''==
+
=='''시각자료'''==
 +
==='''파노라마 영상'''===
 +
<html>
 +
<iframe width="700" height="400" src="http://digerati.aks.ac.kr/Pavilions/tour2016-4/site_02/site_02.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div style="font-family:Cambria; color:#368D9C; font-size:150%;">
+
==='''동영상'''===
'''Myeongjae Historic House'''
+
</div>
+
<div style="font-family:Cambria; font-size:120%;">
+
This house was built in the 18th century by Yun Jeung (1629-1714), a notable Confucian scholar of the late Joseon period. However, it appears to have undergone extensive reconstruction in the 19th century.
+
 
+
This house is called Myeongjae Historic House, after Yun's pen name, Myeongjae.<ref>Most Confucian scholars had a pen name. Please Refer to [https://en.wikipedia.org/wiki/Art_name "Art name" in Wikipedia], for more information.</ref>
+
 
+
[[파일: 윤증고택_배치평면도.JPG|thumb|500px|right|Layout of Myeongjae Historic House<ref>출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2585 "윤증선생고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
+
 
+
===Structure===
+
 
+
Unlike most upper class hanoks, Myeongjae Historic House lacks a wall surrounding the entire complex. This results in some unique features, such as no main gate and some buildings being directly accessible from the outside. Its main buildings include a ''sarangchae'' (men's quarters) in front, ''anchae'' (women's quarters) in the middle, and shrine to the back right. It also has a ''jungmunganchae'', with a gate to the ''anchae'', as well as a ''gotganchae'', used for storage, to the left of the ''anchae''. The ''anchae'' and ''gotganchae'' are located behind a wall which can be entered by the ''jungmunganchae''. The shrine also has its own wall. To the left of Myeongjae Historic House is Noseonghyanggyo, a local Confucian school where Yun Jeung frequented with fellow Confucian scholars.
+
 
+
* '''''Sarangchae'''''
+
 
+
A ''sarangchae'' is a space found in most hanoks which is used by the men of the house as a place for study and private social gatherings.
+
 
+
This ''sarangchae'' has three main spaces: a ''sarangbang'' (study room) in the middle, a ''daecheong'' (wood-floor hall) to the right, and a ''numaru'' (elevated porch) to the left. Behind the ''numaru'' are a kitchen and small ''sarangbang'', as well as a small enclosed porch, which are connected to the main ''sarangbang''. The ''numaru'', which is an unusual feature in a ''sarangchae'', was designed to overlook the nearby Noseong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
 
+
* '''''Jungmunganchae'''''
+
 
+
A ''jungmunganchae'' (lit. central gate quarters) is a structure which includes the gate leading to the ''anchae''. In addition to the gate itself, it also has small rooms used as living quarters for servants and/or storage space. They are usually built in a straight line.
+
 
+
This ''jungmunganchae'' has the gate placed slightly off center in order to block a direct view into the anchae.
+
 
+
[[파일:명재고택.jpg|700px|center]]
+
 
+
* '''''Anchae'''''
+
 
+
An ''anchae'' (lit. inner quarter) is the most basic space found in all hanoks, as is serves as the living, sleeping, and cooking quarters of the home. It was traditionally forbidden for outsiders to enter, and with the men of the house spending much time in the ''sarangchae'', it was thus considered the women’s domain.
+
 
+
The ''anchae'' of Myeongjae Historic House features a spacious ''daecheong'' (wood-floored hall) in the center. It also has several rooms commonly found in anchae which were each used by various members of the family. A unique feature of this house is that it has two kitchens. At the end of each wing of the house is a kitchen, with the small kitchen in the right wing used for convenience when preparing and moving food to the shrine.
+
 
+
In addition, while there are walls surrounding the front and sides of the ''anchae'', there is no wall in the back. To the back of the ''anchae'' there is a hill which both serves the function of a wall separating the ''anchae'' from the outside, yet also keeping a connection to nature.
+
 
+
* '''''Shrine'''''
+
 
+
Traditional Korean upper class homes feature a shrine which honors the ancestors of the family. Usually, the shrine is usually located within the wall surrounding the entire complex. However, in the case of Myeongjae Historic House, because there is no surrounding wall, the entrance gate to the shrine appears to be located apart from the family living space. Yet, this entrance gate actually serves to bring the buildings closer together. Usually, the shrine entrance i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wall, directly in front of the shrine itself, making it appear independent from the rest of the complex. But, in Myeongjae Historic House, the entrance gate is located to the left, close to the other spaces of the complex, making it not only feel closer and more connected to the rest of the house, but physically placing it closer to the rest of the house. 
+
 
+
* '''''Gotganchae'''''
+
A ''gotcanchae'' is a storage space that also can be used as living quarters for servants. This ''gotganchae'' is located to the left of the ''anchae'', but within the wall surrounding the ''anchae'' area.
+
 
+
</div>
+
 
+
=='''관련 기사'''==
+
*[[윤증의 실심실학(實心實學)]] / 김동근
+
 
+
=='''관련 동영상'''==
+
 
*[https://youtu.be/y24rmCQaUoQ 스승의 정원, 명재고택] (3:29)
 
*[https://youtu.be/y24rmCQaUoQ 스승의 정원, 명재고택] (3:29)
  
=='''사진 및 도면'''==
+
==='''사진'''===
  
===사진===
+
<gallery>
 
+
파일:명재고택_연못.jpg|연못 전경
===도면===
+
파일:명재_문간채와사랑채.jpg|문간채와 사랑채
 +
파일:명재_사랑채누마루.jpg|사랑채 누마루
 +
파일:명재_안채안마당.jpg|안채와 안마당
 +
</gallery>
  
 
=='''관련 사이트'''==
 
=='''관련 사이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2585 "윤증선생고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2585 "윤증선생고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27015&cid=49277&categoryId=49277 "윤증고택", 문화원형백과 전통건축과 장소]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27015&cid=49277&categoryId=49277 "윤증고택", 문화원형백과 전통건축과 장소]
 +
 +
=='''답사 후기'''==
 +
* 명재고택 장독대 안에서 사진 찍으려다가 주인 아주머니께 혼났던 것이 기억에 남네요.
  
 
=='''참고문헌'''==
 
=='''참고문헌'''==
96번째 줄: 56번째 줄:
 
*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 4 - 충남』, 돌베개, 2012.
 
*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 4 - 충남』, 돌베개, 2012.
  
 
=='''답사 후기'''==
 
 
*답사 중/후에 느낀 것. 보완되어야 할 부분이 있으면 적어주세요!
 
  
 
=='''출처'''==
 
=='''출처'''==
 
 
<references/>
 
<references/>
  
  
[[분류:한국학중앙연구원 2016 봄 답사 자료집]]
+
[[분류:건축]]
 +
[[분류:조선]]

2016년 9월 27일 (화) 10:23 기준 최신판

개관

조선 숙종 때의 학자인 윤증(尹拯, 1629∼1714)의 제자들이 윤증을 위해 지었다고 전하는 집이다. 후대에 수리가 있었던 듯하며 그 세부기법은 19세기 중엽의 건축양식을 보이고 있다. 노성산성이 있는 이 산의 산자락에 노성향교와 나란히 남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높은 기단 위에 앞면 4칸·옆면 2칸 규모의 사랑채가 있고, 왼쪽 1칸 뒤로 '一' 자형의 중문간채가 자리잡고 있다. 중문간채는 안채가 바로 보이지 않도록 1칸 돌아 들어가게 중문을 내었다. 중문을 들어서면 'ㄷ'자 모양의 안채가 있어서, 중문간채와 함께 튼 'ㅁ'자 모양을 이루고 있다. 집 앞에는 넓은 바깥마당이 있고 그 앞에 인공연못을 파고 가운데에 원형의 섬을 만들어 정원을 꾸몄다. 또한 안채 뒷쪽에는 완만한 경사지를 이용하여 독특한 뒤뜰을 가꾸어, 우리나라 살림집의 아름다운 공간구조를 보이고 있다. 모든 건축부재의 마감이 치밀하면서 구조가 간결하고 보존상태도 양호한 조선의 양반주택으로 중요하다. 지정 당시 명칭은 '윤증선생고택(尹拯先生故宅)'이었으나, 2007년에 윤증 선생의 호 명재(明齋)를 취하여 '논산 명재 고택(論山明齋古宅)'으로 지정명칭을 변경하였다.(2007.1.29)[1]


시각자료

파노라마 영상

동영상

사진

관련 사이트

답사 후기

  • 명재고택 장독대 안에서 사진 찍으려다가 주인 아주머니께 혼났던 것이 기억에 남네요.

참고문헌

  • 서정호, 『한옥의 미』, 경인문화사, 2010.
  •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 4 - 충남』, 돌베개, 2012.


출처

  1. 출처: 문화재청, 문화재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