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세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2명의 사용자에 의한 29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1번째 줄: 1번째 줄:
  
{| class="wikitable"
 
!style="width:250px"|연대구분
 
| [[1980년대]] || ← || '''1990년대''' || → || [[2000년대]]
 
|}
 
  
일반 사람들이 필요할 때 사용할 수 있도록 사람들의 왕래가 많은 곳에 설치한 전화기이다. 과거에 비해, 현재는 [[휴대전화]]가 발달하면서 주변에서 찾기가 어려워졌다.
+
[[미국]]에서 1965년 이후에 태어난 세대를 이르는 말이었으나, [[대한민국]]으로 넘어오면서 1990년대 자기주장이 강한 [[신세대]]를 이르는 말로 의미가 변형되었다.
 +
 
 +
[[파일:Xx.jpg|400px|섬네일|1990년대 [[한국]]의 X세대]]
  
  
 
==개요==
 
==개요==
  
1889년 [[미국]]에서 최초로 등장하였다. [[대한민국]]에는 1902년에 상륙하였으나, 주화 투입식 공중전화는 [[일제강점기]]였던 1913년경에 처음 도입되었다. 그후 전화의 수요증가에 따라 가두·점포 등의 이용도가 높은 곳에는 옥내외를 가리지 않고 널리 설치되어, 1994년 기준 전국에 약 29만 대가 보급되었다.<ref>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63743&cid=40942&categoryId=32378 <출처> 두산백과-공중전화] </ref> 그러나 2000년대로 넘어오면서 [[휴대전화]]의 발달로 인해, 공중전화는 주변에서 점차 사라지기 시작했다.
+
'X세대'는 1990년대 중반에 신세대를 이르는 말로 가장 많이 쓰였던 명칭이다. 이들은 물질적인 풍요 속에서 자기중심적인 가치관을 형성했으며, 처음에는 [[TV]]의 영향을 받다가 점차 [[컴퓨터]]에 심취하기 시작했다. X세대라는 말은 1991년 [[캐나다]] 작가 [[더글러스 커플랜드]]의 소설 『[[Generation X]]』에서 유래되었다. <ref> <출처> [[정성호]], 『[[20대의 정체성]] : 살림지식총서 235』, ㈜[[살림출판사]], 2006. 5. 31. </ref>
  
==사용법==
+
==유래==
  
동전을 넣고 신호음이 나오면 상대편 전화번호를 누르면 된다. 상대방이 전화를 받으면 해당 금액의 동전은 전화기 내부로 들어가고 일정 시간의 통화가 가능하다. 시간이 다 되어가면 경고 신호음이 나오고 주어진 시간안에 동전을 더 넣지 않으면 자동으로 통화가 끊어진다. 그외에도 카드로도 전화가 가능한데, 카드를 넣고, 상대방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된다. 요금은 동전을 사용할때와 동일하다. 선불식 전화카드의 경우 금액이 모두 소진되면 자동으로 통화가 끊어진다. 전화를 마치면 사용한 카드는 반환된다.<ref> [https://ko.wikipedia.org/wiki/%EA%B3%B5%EC%A4%91%EC%A0%84%ED%99%94 <출처> 위키피디아-공중전화] </ref>
+
소설『[[X세대 Generation X]]』는 1991년 [[뉴욕]]에서 초판되었다. '점점 빨라져가는 문화이야기'라는 부제를 달고 있다.  
  
==90년대 공중전화기==
+
주인공 앤디, 댁, 클레어는 스물에서 서른 살 사이의 20대들이다. 이들은 중산층 가정에서 자라나 배울 만큼 배웠고 성공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춘 [[미국]]의 젊은이들이다. 그러나 이들은 출세, 가족, 돈 등에 전혀 관심이 없고, [[캘리포니아주]] [[팜스프링스]]에서 시간제 일을 하고 여가를 보내면서 지낸다. 그러는 가운데 자신들이 무척 나이가 들었다는 느낌을 받고, 모든 것을 끝냈다고 생각한다. 이들이 생각하는 미래는 암울하고 어쩌면 [[원자폭탄]]의 [[섬광]] 속에 종말을 맞게 될지도 모른다. 앤디와 그의 친구들은 [[아메리칸 드림]]에서 빠져나온 인간들로서 직업적인 성공 없이도 좋은 친구들을 가질 수 있다는 점을 상기시킨다. <ref>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19617&cid=40942&categoryId=32969 <출처> [[두산백과]]-X세대(Generation X, ─世代)] </ref>
  
① '''관리인 공중전화'''
+
1990년대 당시 [[미국]]에서는 새로운 세대들을 지칭할 마땅한 용어를 찾지 못했었다. 그러던 중 소설『[[X세대 Generation X]]』를 발견했고, 각종 매체에서 그 당시의 신세대를 X세대로 부르기 시작하였다.
  
지정된 관리인에게 관리를 위탁하는 형식으로 설치된 것으로서 점포·다방·음식점 등 사람이 많이 내왕하는 곳에 설치되어 있다. 관리인은 공중전화 이용자를 위하여 환전의 의무가 있고, 고장 발생시에는 곧 [[전화국]]에 연락하여 통화를 회복하는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1994년 기준 약 17만 대가 보급되어 있다).  
+
==특징==
 +
[[더글러스]]에 의하면 ‘X’는 ‘정의할 수 없음’을 의미하고, X세대는 이전 세대의 가치관과 문화를 거부하는 이질적 집단이다. X세대의 특징은 흔히 PANTS로 요약되는데, 이는 Personal(개별화, 개인화, 개성화), Amusement(인생의 가치관을 즐거움에 두고 심각함을 기피함), Natural(자연에 대한 강한 욕구), Trans-border(나이나 성에 대한 구분을 거부함), Service(서비스에 있어서 하이테크와 하이터치를 추구함)를 지향한다는 뜻이다. <ref> <출처> 김기란, 최기호, 『[[대중문화 사전]] : 300개의 키워드로 읽는 한국 대중문화 20년』, [[현실문화연구]], 2009.08.31. </ref>
  
② '''간이 공중전화'''
+
==<[[응답하라 1994]]> 속 X세대==
 +
tvN에서 방영된 드라마 <[[응답하라 1994]]>는 [[연세대학교]] 94학번인 등장인물을 통해서 그 당시 X세대를 잘 표현하고 있다. [[무선호출기]]로 사랑을 확인하고, [[공중전화]]로 이별을 통보하며, [[PC통신]]으로 우정을 나누던 시대! 바로 1990년대에 대한 이야기를 내포하고 있다. 아날로그부터 디지털까지 모든 것을 새롭게 받아들였던 이 시대에 맞춰, 신인류를 X세대라고 불렀다. 또한 대중음악의 성황기로 불리기도 했으며, [[농구]]로 인한 새로운 콘텐츠와 패션 역시 나타났고, 이를 이 드라마에서는 반영하여 다양한 소품으로 보여주고 있다. [[한국]]의 1990년대 X세대에 대해 더 궁금하다면, 아래를 참고하는 것을 추천한다.
  
일반가입전화를 공중에게 이용을 공개하는 것으로서 보통 핑크 전화라 하는 전화를 말하며, 운용상에 문제가 많아 한국에서는 폐지되었다.
+
==1990년대 한국의 X세대==
  
③ '''무인주화공중전화'''
+
우리나라에서는 1994년 경 [[태평양]]의 [[트윈엑스]] 화장품 광고에 X세대라는 말이 사용되면서 [[쿠플랜드]]의 X세대가 가진 개념과 다르게 [[신세대]]라는 말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부모들이 이해하기 힘든 사고방식과 행동양식을 가지고 있는 이들은 기성세대와는 확연히 구분되는 [[탈권위주의]]적이고 자유로운 개성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가두·주차장·호텔 등에 설치된 것으로서 [[전화국]]에서 직영하는 공중전화를 말한다(1994년 기준 약 5만 3000대가 보급되어 있다).
+
광고회사 [[제일기획]]이 작성한 트렌드 리포트는 X세대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X세대는 “주위의 눈치를 보지 않는 개성파였으며 경제적 풍요 속에 성장했던 세대로 경제적으로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 얻을 수 있었던 세대”였다. 1990년대 [[워크맨]]의 보급과 [[무선호출기]]의 유행은 X세대를 개성 있는 감각의 문화 소비자로 부상시켰다. 1990년대의 젊은 세대를 대변했던 X세대는 1994년에 처음 실시된 [[수능]]을 경험한 수능세대이자 《[[슬램덩크]]》로 대표되는 [[일본]] 만화와 [[주윤발]]이 등장하는 [[홍콩]] 영화를 즐긴 다문화의 수혜자였으며 신인이었던 [[심은하]]를 단번에 스타덤에 올려놓은 트렌디 드라마 〈[[마지막승부]]〉에 열광하는 한편 [[김일성]] 사망을 통해 한국 사회를 짓누르던 반공 이데올로기로부터 정신적으로 해방된 신세대였다.
  
④ '''카드공중전화'''
+
X세대를 집약적으로 보여주는 존재는 파격적인 음악과 춤으로 대중음악계를 평정한 [[서태지와 아이들]]이다. [[서태지와 아이들]]은 1992년에 발표한 1집이 엄청난 대중적 성공을 거두며 신세대를 의미하는 X세대의 아이콘으로 떠올랐다. 국내에서 X세대라는 말은 1990년대 초반에 대학을 다녔거나 졸업한 사람 곧 90년대에 등장한 새로운 문화적 경험과 감수성을 지닌 20대를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ref> <출처> 김기란, 최기호, 『[[대중문화 사전]] : 300개의 키워드로 읽는 한국 대중문화 20년』, [[현실문화연구]], 2009.08.31. </ref>
  
정액권 카드를 사용하여 통화하는 것으로, [[제24회 올림픽경기대회]]([[서울올림픽]])을 앞두고 1986년부터 시험운용되어 1995년 기준 전국에 7만 여 대가 보급되었다.
+
또한, [[농구복]], [[농구화]] 등 개성있고 다양한 패션을 시도하였으며, 다양한 [[잡지]], [[카세트테이프]], [[비디오테이프]], [[PC통신]] 등의 새로운 기술적 측면의 수혜를 받았다. 그들의 주 일대는 [[농구대잔치]]로 인해 큰 인기를 얻은 [[연세대학교 독수리팀]]의 학교인 [[연세대학교]]가 있는 [[신촌]]이었다.
  
일반 신용카드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1995년 광역도시 이상 대도시에 2,000여 대가 설치 운용되고 있으며, 국내외에서 사용할 수 있는 [[국제전화신용카드]]([[KT]]-Card)도 사용되고 있다.<ref>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63743&cid=40942&categoryId=32378 <출처> 두산백과-공중전화] </ref>
 
  
'''특히, 90년대 경에는 [[무선호출기]]의 음성메세지를 듣기 위해, 공중전화가 성행하였다.'''
+
<big>'''* [[대한민국]]의 1990년대 X세대의 이미지를 보여주어 최근 화제가 된 '기분이 조크든여' 영상'''</big>
 +
<html>
 +
<iframe src='http://serviceapi.rmcnmv.naver.com/flash/outKeyPlayer.nhn?vid=E30C52832B77B0A024C6CFFBE222B8C5AE32&outKey=V122b25e1fcfdfd86f0d5f2f6b53bd7d5c776cc83a3072cccad4ff2f6b53bd7d5c776&controlBarMovable=true&jsCallable=true&isAutoPlay=false&skinName=tvcast_white' frameborder='no' scrolling='no' marginwidth='0' marginheight='0' WIDTH='740' HEIGHT='416' allowfullscreen></iframe>
 +
</html>
  
==요금<ref> [https://namu.wiki/w/%EA%B3%B5%EC%A4%91%EC%A0%84%ED%99%94 <출처> 나무위키-공중전화] </ref>==
+
==다이어그램==
 
+
<html><iframe src="http://digerati.aks.ac.kr/hufs/2016-2a/yhn_hufs/graph/X세대.htm" width="600" height="700"></iframe>
* 1902년 : 50전(5분)
+
</html>
* 1908년 : 10전(3분)
+
* 1954년 4월 : 화폐개혁
+
* 1962년 6월 : 50환 (1도수)
+
* 1962년 6월 : 5원 (1도수)
+
* 1977년 1월 : 10원 (1도수)
+
* 1981년 10월 : 20원 (1도수)
+
* 1992년 2월 : 30원 (3분: 시분제 적용)
+
* 1994년 8월 : 40원 (시내: 1도수, 시외 : 일반통화료 동일)
+
* 1997년 9월 : 50원 (시내: 1도수, 시외 : 일반통화료 동일)
+
* 2002년 5월 : 70원 (시내: 1도수, 시외 : 일반통화료 동일)
+
  
 
==관련문서==
 
==관련문서==
57번째 줄: 49번째 줄:
 
!style="width:250px"|이 문서||style="width:200px"|관계||style="width:250px"|관련 문서
 
!style="width:250px"|이 문서||style="width:200px"|관계||style="width:250px"|관련 문서
 
|-
 
|-
|《공중전화》||는 ~에 위치되어있다.||[[연세대학교]]<ref> 공중전화는 정확히 언더우드관 쪽에 위치해 있다. </ref>
+
|《X세대》||는 ~에 의해 유래되었다.||소설 『[[Generation X]]
 +
|-
 +
|《X세대》||는 ~와 관련이 있다.||[[서태지와 아이들]]
 +
|-
 +
|《X세대》||는 ~와 관련이 있다.||[[슬램덩크]]
 +
|-
 +
|《X세대》||는 ~와 관련이 있다.||[[마지막승부]]
 +
|-
 +
|《X세대》||는 ~와 관련이 있다.||[[응답하라 1994]]
 +
|-
 +
|《X세대》||는 ~를 착용하였다.||[[농구복]]
 +
|-
 +
|《X세대》||는 ~를 착용하였다.||[[농구화]]
 +
|-
 +
|《X세대》||는 ~을 사용하였다.||[[PC통신]]
 +
|-
 +
|《X세대》||는 ~을 사용하였다.||[[공중전화]]
 +
|-
 +
|《X세대》||는 ~을 사용하였다.||[[무선호출기]]
 +
|-
 +
|《X세대》||는 ~을 사용하였다.||[[시티폰]]
 +
|-
 +
|《X세대》||는 ~을 사용하였다.||[[카세트테이프]]
 
|-
 
|-
|《공중전화》||는 ~에 의해 전시되었다.||[[서울역사박물관]]<ref> 90년대 놀이방이라는 테마의 기증유물전시실에 전시되어있다. </ref>
+
|《X세대》||는 ~을 사용하였다.||[[비디오테이프]]
 
|-
 
|-
|《공중전화》||는 ~에 의해 방영되었다.||[[응답하라 1994]]
+
|《X세대》||는 ~을 구독하였다.||[[잡지]]
 
|-
 
|-
|《공중전화》||는 ~와 관련이 있다.||[[무선호출기]]
+
|《X세대》||는 ~를 겪었다.||[[IMF 외환위기]]
 
|-
 
|-
|《공중전화》||는 ~와 관련이 있다.||[[카세트테이프]]
+
|《X세대》||는 ~를 겪었다.||[[농구대잔치]]
 
|-
 
|-
|《공중전화》||는 ~와 관련이 있다.||[[비디오테이프]]
+
|《X세대》||는 ~를 겪었다.||[[미팅]]
 
|-
 
|-
|《공중전화》||는 ~와 관련이 있다.||[[잡지]]
+
|《X세대》||는 ~에서 활동하였다.||[[신촌]]
 
|}
 
|}
  
79번째 줄: 93번째 줄:
  
 
* [[유현나]] : 최초 작성
 
* [[유현나]] : 최초 작성
 +
* [[김경현]] : 관련문서 추가
  
[[분류:Hufs 2016-2 디지털문화지도의 이해]] [[분류:응답하라 1994로 본 90년대 문화]] [[분류:물품]] [[분류:유현나]]
+
[[분류:Hufs 2016-2 디지털문화지도의 이해]] [[분류:응답하라 1994로 본 90년대 문화]] [[분류:개념]] [[분류:유현나]]

2016년 12월 21일 (수) 20:44 기준 최신판


미국에서 1965년 이후에 태어난 세대를 이르는 말이었으나, 대한민국으로 넘어오면서 1990년대 자기주장이 강한 신세대를 이르는 말로 의미가 변형되었다.

1990년대 한국의 X세대


개요

'X세대'는 1990년대 중반에 신세대를 이르는 말로 가장 많이 쓰였던 명칭이다. 이들은 물질적인 풍요 속에서 자기중심적인 가치관을 형성했으며, 처음에는 TV의 영향을 받다가 점차 컴퓨터에 심취하기 시작했다. X세대라는 말은 1991년 캐나다 작가 더글러스 커플랜드의 소설 『Generation X』에서 유래되었다. [1]

유래

소설『X세대 Generation X』는 1991년 뉴욕에서 초판되었다. '점점 빨라져가는 문화이야기'라는 부제를 달고 있다.

주인공 앤디, 댁, 클레어는 스물에서 서른 살 사이의 20대들이다. 이들은 중산층 가정에서 자라나 배울 만큼 배웠고 성공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춘 미국의 젊은이들이다. 그러나 이들은 출세, 가족, 돈 등에 전혀 관심이 없고, 캘리포니아주 팜스프링스에서 시간제 일을 하고 여가를 보내면서 지낸다. 그러는 가운데 자신들이 무척 나이가 들었다는 느낌을 받고, 모든 것을 끝냈다고 생각한다. 이들이 생각하는 미래는 암울하고 어쩌면 원자폭탄섬광 속에 종말을 맞게 될지도 모른다. 앤디와 그의 친구들은 아메리칸 드림에서 빠져나온 인간들로서 직업적인 성공 없이도 좋은 친구들을 가질 수 있다는 점을 상기시킨다. [2]

1990년대 당시 미국에서는 새로운 세대들을 지칭할 마땅한 용어를 찾지 못했었다. 그러던 중 소설『X세대 Generation X』를 발견했고, 각종 매체에서 그 당시의 신세대를 X세대로 부르기 시작하였다.

특징

더글러스에 의하면 ‘X’는 ‘정의할 수 없음’을 의미하고, X세대는 이전 세대의 가치관과 문화를 거부하는 이질적 집단이다. X세대의 특징은 흔히 PANTS로 요약되는데, 이는 Personal(개별화, 개인화, 개성화), Amusement(인생의 가치관을 즐거움에 두고 심각함을 기피함), Natural(자연에 대한 강한 욕구), Trans-border(나이나 성에 대한 구분을 거부함), Service(서비스에 있어서 하이테크와 하이터치를 추구함)를 지향한다는 뜻이다. [3]

<응답하라 1994> 속 X세대

tvN에서 방영된 드라마 <응답하라 1994>는 연세대학교 94학번인 등장인물을 통해서 그 당시 X세대를 잘 표현하고 있다. 무선호출기로 사랑을 확인하고, 공중전화로 이별을 통보하며, PC통신으로 우정을 나누던 시대! 바로 1990년대에 대한 이야기를 내포하고 있다. 아날로그부터 디지털까지 모든 것을 새롭게 받아들였던 이 시대에 맞춰, 신인류를 X세대라고 불렀다. 또한 대중음악의 성황기로 불리기도 했으며, 농구로 인한 새로운 콘텐츠와 패션 역시 나타났고, 이를 이 드라마에서는 반영하여 다양한 소품으로 보여주고 있다. 한국의 1990년대 X세대에 대해 더 궁금하다면, 아래를 참고하는 것을 추천한다.

1990년대 한국의 X세대

우리나라에서는 1994년 경 태평양트윈엑스 화장품 광고에 X세대라는 말이 사용되면서 쿠플랜드의 X세대가 가진 개념과 다르게 신세대라는 말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부모들이 이해하기 힘든 사고방식과 행동양식을 가지고 있는 이들은 기성세대와는 확연히 구분되는 탈권위주의적이고 자유로운 개성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광고회사 제일기획이 작성한 트렌드 리포트는 X세대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X세대는 “주위의 눈치를 보지 않는 개성파였으며 경제적 풍요 속에 성장했던 세대로 경제적으로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 얻을 수 있었던 세대”였다. 1990년대 워크맨의 보급과 무선호출기의 유행은 X세대를 개성 있는 감각의 문화 소비자로 부상시켰다. 1990년대의 젊은 세대를 대변했던 X세대는 1994년에 처음 실시된 수능을 경험한 수능세대이자 《슬램덩크》로 대표되는 일본 만화와 주윤발이 등장하는 홍콩 영화를 즐긴 다문화의 수혜자였으며 신인이었던 심은하를 단번에 스타덤에 올려놓은 트렌디 드라마 〈마지막승부〉에 열광하는 한편 김일성 사망을 통해 한국 사회를 짓누르던 반공 이데올로기로부터 정신적으로 해방된 신세대였다.

X세대를 집약적으로 보여주는 존재는 파격적인 음악과 춤으로 대중음악계를 평정한 서태지와 아이들이다. 서태지와 아이들은 1992년에 발표한 1집이 엄청난 대중적 성공을 거두며 신세대를 의미하는 X세대의 아이콘으로 떠올랐다. 국내에서 X세대라는 말은 1990년대 초반에 대학을 다녔거나 졸업한 사람 곧 90년대에 등장한 새로운 문화적 경험과 감수성을 지닌 20대를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4]

또한, 농구복, 농구화 등 개성있고 다양한 패션을 시도하였으며, 다양한 잡지, 카세트테이프, 비디오테이프, PC통신 등의 새로운 기술적 측면의 수혜를 받았다. 그들의 주 일대는 농구대잔치로 인해 큰 인기를 얻은 연세대학교 독수리팀의 학교인 연세대학교가 있는 신촌이었다.


* 대한민국의 1990년대 X세대의 이미지를 보여주어 최근 화제가 된 '기분이 조크든여' 영상

다이어그램

관련문서

이 문서 관계 관련 문서
《X세대》 는 ~에 의해 유래되었다. 소설 『Generation X
《X세대》 는 ~와 관련이 있다. 서태지와 아이들
《X세대》 는 ~와 관련이 있다. 슬램덩크
《X세대》 는 ~와 관련이 있다. 마지막승부
《X세대》 는 ~와 관련이 있다. 응답하라 1994
《X세대》 는 ~를 착용하였다. 농구복
《X세대》 는 ~를 착용하였다. 농구화
《X세대》 는 ~을 사용하였다. PC통신
《X세대》 는 ~을 사용하였다. 공중전화
《X세대》 는 ~을 사용하였다. 무선호출기
《X세대》 는 ~을 사용하였다. 시티폰
《X세대》 는 ~을 사용하였다. 카세트테이프
《X세대》 는 ~을 사용하였다. 비디오테이프
《X세대》 는 ~을 구독하였다. 잡지
《X세대》 는 ~를 겪었다. IMF 외환위기
《X세대》 는 ~를 겪었다. 농구대잔치
《X세대》 는 ~를 겪었다. 미팅
《X세대》 는 ~에서 활동하였다. 신촌

각주

  1. <출처> 정성호, 『20대의 정체성 : 살림지식총서 235』, ㈜살림출판사, 2006. 5. 31.
  2. <출처> 두산백과-X세대(Generation X, ─世代)
  3. <출처> 김기란, 최기호, 『대중문화 사전 : 300개의 키워드로 읽는 한국 대중문화 20년』, 현실문화연구, 2009.08.31.
  4. <출처> 김기란, 최기호, 『대중문화 사전 : 300개의 키워드로 읽는 한국 대중문화 20년』, 현실문화연구, 2009.08.31.

기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