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4. 이현동 덕수이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154. 이현동 덕수이씨(德水李氏*) 柿林來訪李兄居감나무 숲 이씨 형이 사는 곳을 찾아가니, 三疊淸琴一架書삼첩의 거문고와 서가 가득 책...)
 
 
1번째 줄: 1번째 줄:
  
 
154. 이현동 덕수이씨(德水李氏*)
 
154. 이현동 덕수이씨(德水李氏*)
柿林來訪李兄居감나무 숲 이씨 형이 사는 곳을 찾아가니,
+
<big>柿林來訪李兄'''居''' (<small>시림래방리형'''거'''</small>)    감나무 숲 이씨 형이 사는 곳을 찾아가니, <br />三疊淸琴一架'''書''' (<small>삼첩청금일가'''서'''</small>)    삼첩의 거문고와 서가 가득 책이 있네. <br />簪紱曾投司憲府 (<small>잠불증투사헌부</small>)    일찍이 사헌부에서 벼슬을 하였는데, <br />時從野老自怡'''如''' (<small>시종야로자이'''여'''</small>)    지금은 촌로 따라 유유자적 살고 있네. <br />
三疊淸琴一架書삼첩의 거문고와 서가 가득 책이 있네.
+
簪紱曾投司憲府일찍이 사헌부에서 벼슬을 하였는데,
+
時從野老自怡如지금은 촌로 따라 유유자적 살고 있네.
+
○ 덕수 이씨인 이기영(李基永)은 자가 여방(汝邦)으로 택당(澤堂) 이식(李植)358)의 후손이다. 강화부의 분교관(分敎官) 이규신(李奎信)의 종손(從孫)이다. 일찍이 사헌부 감찰을 제수 받았으나 나아가지 않았고, 때때로 이웃의 벗들을 따라서 시와 술로써 스스로를 즐겼다.
+
  
358) 이식(1584∼1647)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여고(汝固), 호는 택당(澤堂)·남궁외사(南宮外史)·택구거사(澤癯居士).
+
</big>
 +
 
 +
○ 덕수 이씨인 이기영(李基永)은 자가 여방(汝邦)으로 택당(澤堂) 이식(李植)의 후손이다. 강화부의 분교관(分敎官) 이규신(李奎信)의 종손(從孫)이다. 일찍이 사헌부 감찰을 제수 받았으나 나아가지 않았고, 때때로 이웃의 벗들을 따라서 시와 술로써 스스로를 즐겼다.
 +
 
 +
==인물==
 +
* 이식(1584∼1647)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여고(汝固), 호는 택당(澤堂)·남궁외사(南宮外史)·택구거사(澤癯居士).

2019년 5월 29일 (수) 00:04 기준 최신판

154. 이현동 덕수이씨(德水李氏*)

柿林來訪李兄 (시림래방리형)     감나무 숲 이씨 형이 사는 곳을 찾아가니, 
三疊淸琴一架 (삼첩청금일가) 삼첩의 거문고와 서가 가득 책이 있네.
簪紱曾投司憲府 (잠불증투사헌부) 일찍이 사헌부에서 벼슬을 하였는데,
時從野老自怡 (시종야로자이) 지금은 촌로 따라 유유자적 살고 있네.

○ 덕수 이씨인 이기영(李基永)은 자가 여방(汝邦)으로 택당(澤堂) 이식(李植)의 후손이다. 강화부의 분교관(分敎官) 이규신(李奎信)의 종손(從孫)이다. 일찍이 사헌부 감찰을 제수 받았으나 나아가지 않았고, 때때로 이웃의 벗들을 따라서 시와 술로써 스스로를 즐겼다.

인물

  • 이식(1584∼1647)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여고(汝固), 호는 택당(澤堂)·남궁외사(南宮外史)·택구거사(澤癯居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