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습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전습록(傳習錄))
(전습록(傳習錄))
 
(같은 사용자에 의한 50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1번째 줄: 1번째 줄:
 
=전습록(傳習錄)=
 
=전습록(傳習錄)=
 
이 페이지는 고려대 철학과 대학원 동양철학전공 원전 강독 세미나([[의적단]])의 일환으로 작성되었다. <br/>
 
이 페이지는 고려대 철학과 대학원 동양철학전공 원전 강독 세미나([[의적단]])의 일환으로 작성되었다. <br/>
전습록은 명대 유학자인 [[왕양명]]의 어록과 서간을 모은 책이다. 원전 인용은 다음의 사이트를 이용할 것: [https://zh.wikisource.org/wiki/%E5%82%B3%E7%BF%92%E9%8C%84]
+
전습록은 명대 유학자인 [[왕양명]]의 어록과 서간을 모은 책이다. 원전 인용은 다음의 사이트를 이용할 것: [https://zh.wikisource.org/wiki/%E5%82%B3%E7%BF%92%E9%8C%84], [https://ctext.org/wiki.pl?if=gb&res=873181]
 +
전습록의 양이 많아 크게 상/중/하 세 파트로 나눈다.
  
==전습록 상편==
+
==[[전습록 상편]]==
===傳習錄序===
+
:門人有私錄陽明先生之言者。先生聞之,謂之曰:「聖賢教人,如醫用藥,皆因病立方,酌其虛、實、溫、涼、陰、陽、內、外而時時加減之。要在去病,初無定說。若拘執一方,鮮不殺人矣。今某與諸君不過各就偏蔽,箴切砥礪,但能改化,即吾言已為贅疣。若遂守為成訓,他日誤己誤人,某之罪過可復追贖乎?」 愛既備錄先生之教,同門之友有以是相規者。愛因謂之曰:「如子之言,即又『拘執一方』,復失先生之意矣。孔子謂子貢嘗曰:『予欲無言。』他日則曰:『吾與回言終日。』又何言之不一邪?蓋子貢專求聖人於言語之間,故孔子以無言警之,使之實體諸心以求自得;顏子於孔子之言,默識心通,無不在己,故與之言終日,若決江河而之海也。故孔子於子貢之無言不為少,於顏子之終日言不為多,各當其可而已。今備錄先生之語,固非先生之所欲。使吾儕常在先生之門,亦何事於此。惟或有時而去側,同門之友又皆離群索居,當是之時,儀刑既遠而規切無聞。如愛之駑劣,非得先生之言時時對越警發之,其不摧墮靡廢者幾希矣。吾儕於先生之言,苟徒入耳出口,不體諸身,則愛之錄此,實先生之罪人矣;使能得之言意之表,而誠諸踐履之實,則斯錄也,固先生終日言之之心也,可少乎哉?」錄成,因復識此於首篇以告同志。門人徐愛序。
+
===徐愛引言===
+
:先生於《大學》「格物」諸說,悉以舊本為正,蓋先儒所謂「誤本」者也。愛始聞而駭,既而疑,已而殫精竭思,參互錯綜以質於先生。然後知先生之說若水之寒,若火之熱,斷斷乎「百世以俟聖人而不惑」者也。先生明睿天授,然和樂坦易,不事邊幅。人見其少時豪邁不羈,又嘗泛濫於詞章,出入二氏之學,驟聞是說,皆目以為立異好奇,漫不省究。不知先生居夷三載,處困養靜,精一之功,固已超入聖域,粹然大中至正之歸矣,愛朝夕炙門下,但見先生之道,即之若易而仰之愈高,見之若粗而探之愈精,就之若近而造之愈益無窮,十餘年來,竟未能窺其藩籬。世之君子,或與先生僅交一面,或猶未聞其謦欬,或先懷忽易憤激之心,而遽欲於立談之間,傳聞之說,臆斷懸度,如之何其可得也!從遊之士,聞先生之教,往往得一而遺二,見其牝牡驪黃而棄其所謂千里者。故愛備錄平日之所聞,私以示夫同志,相與考而正之,庶無負先生之教云。門人徐愛書。
+
:양명 선생께서는 《대학》「격물」에 대한 여러 설 가운데 전적으로 구본을 정본으로 여기셨으니, 대개 선유(주자)가 말했던 誤本이었다. 내가 이를 처음 들었을 때 깜짝 놀랐다가 잠시 후 의심하고는, 이윽고 사려를 다해 이리저리 머리를 굴려 선생에게 질정하였는데, 그런 연후에야 선생의 설이 마치 물이 찬 것처럼 혹은 불이 뜨거운 것처럼 틀림없이 '백 세 이후의 성인을 기다리더라도 의심할 수 없는 것'임을 알게 되었다. 선생의 총명은 타고 나셨으나 (...)
+
  
==전습록 중편==
+
==[[전습록 중편]]==
  
==전습록 하편==
+
==[[전습록 하편]]==
 
+
==주석==
+
<references/>
+

2019년 4월 25일 (목) 00:37 기준 최신판

전습록(傳習錄)

이 페이지는 고려대 철학과 대학원 동양철학전공 원전 강독 세미나(의적단)의 일환으로 작성되었다.
전습록은 명대 유학자인 왕양명의 어록과 서간을 모은 책이다. 원전 인용은 다음의 사이트를 이용할 것: [1], [2] 전습록의 양이 많아 크게 상/중/하 세 파트로 나눈다.

전습록 상편

전습록 중편

전습록 하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