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남 이성산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관)
(하남 이성산성과 아차산성)
 
(같은 사용자에 의한 8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14번째 줄: 14번째 줄:
 
}}
 
}}
 
==개관==
 
==개관==
[[이성산성]]은 [[남한산성]]이 있는 [[청량산]]에서 북쪽방향으로 내려오는 줄기와 만나 길게 맥을 형성하는 [[금암산]]의 줄기에 접해 있으며, 남쪽은 평야를 둘러싸고 있는 높은 산들이 있으나 북쪽은 작은 구릉만 있어 [[한강]] 주변지역을 한 눈에 조망할 수 있다. 따라서 [[이성산성]]은 배후의 평야지역을 방어하고 강북의 적으로부터 한강유역을 방어하기에 매우 유리한 입지조건을 갖춘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
[[하남 이성산성]]은 [[남한산성]]이 있는 [[청량산]]에서 북쪽방향으로 내려오는 줄기와 만나 길게 맥을 형성하는 [[금암산]]의 줄기에 접해 있으며, 남쪽은 평야를 둘러싸고 있는 높은 산들이 있으나 북쪽은 작은 구릉만 있어 [[한강]] 주변지역을 한 눈에 조망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남 이성산성]]은 배후의 평야지역을 방어하고 강북의 적으로부터 한강유역을 방어하기에 매우 유리한 입지조건을 갖춘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이성산성]]에서는 삼국시대 건물지(8각, 9각, 장방형 등)와 부대시설(문지, 배수구 등), 목간, 철제마 등 총 3,352점의 유물이 출토되었고, 특히 발굴조사 결과 출토된 목간 전면의 명문기록「무진년정월십이일 붕남한성도사< 戊辰年正月十二日 朋南漢城道使...>」 중 "무진년"은 608년으로 추정되고 있다. 출토된 토기들은 [[황룡사]], [[안압지]] 출토 토기들과 유사하여 통일신라토기로 판명되며, [[신라]]가 5세기 중엽 한강유역을 점령한 후 축조된 것으로 역사상·학술상으로 매우 귀중한 유적으로 평가된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3,04220000,31 문화재청 문화재검색 하남 이성산성</ref>
+
[[하남 이성산성]]에서는 삼국시대 건물지(8각, 9각, 장방형 등)와 부대시설(문지, 배수구 등), 목간, 철제마 등 총 3,352점의 유물이 출토되었고, 특히 발굴조사 결과 출토된 목간 전면의 명문기록「무진년정월십이일 붕남한성도사< 戊辰年正月十二日 朋南漢城道使...>」 중 "무진년"은 608년으로 추정되고 있다. 출토된 토기들은 [[황룡사]], [[안압지]] 출토 토기들과 유사하여 통일신라토기로 판명되며, [[신라]]가 5세기 중엽 한강유역을 점령한 후 축조된 것으로 역사상·학술상으로 매우 귀중한 유적으로 평가된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3,04220000,31 문화재청 문화재검색 하남 이성산성]</ref>
  
 
=='''하남 이성산성'''과 [[아차산성]]==
 
=='''하남 이성산성'''과 [[아차산성]]==
[[이성산성]]의 3차 발굴 결과 A지구 1차 저수지에서 출토된 목간에는 다음과 같은 명문이 적혀있다.
+
[[하남 이성산성]]의 3차 발굴 결과 A지구 1차 저수지에서 출토된 목간에는 다음과 같은 명문이 적혀있다.
  
戊辰年正月十二日朋南漢城道使…결락 /(측면)須城道使村主前南漢城□□…결락 /(후면)□□蒲□□□□□□…결락.
+
<div style="font-size:10pt;color:grey;margin: 20px 20px 20px 20px;">戊辰年正月十二日朋南漢城道使…결락 /(측면)須城道使村主前南漢城□□…결락 /(후면)□□蒲□□□□□□…결락.</div>
  
목간에는 전면과 측면 2차례에 걸쳐 나오는' 南漢城'을 통해 [[이성산성]]이 남한성임을 짐작할 수 있다.
+
목간에는 전면과 측면 2차례에 걸쳐 나오는' 南漢城'을 통해 [[하남 이성산성]]이 남한성임을 짐작할 수 있다.
또한, [[이성산성]]에서 출토된 다량의 목간과 벼루는 곧 이곳에서 정치・외교・군사에 관한 중요한 사실을 문서로 작성해 중앙에 보고하는 상황이 자주 발생하였음을 시사한다. [[이성산성]]은 [[신라]]가 [[한강]] 유역을 차지한 후 군사・행정의 중심 거점이었을 것이다.
+
또한, [[하남 이성산성]]에서 출토된 다량의 목간과 벼루는 곧 이곳에서 정치・외교・군사에 관한 중요한 사실을 문서로 작성해 중앙에 보고하는 상황이 자주 발생하였음을 시사한다. [[하남 이성산성]]은 [[신라]]가 [[한강]] 유역을 차지한 후 군사・행정의 중심 거점이었을 것이다.
  
결국 7세기에 들어서서 [[아차산성]]과 [[이성산성]]은 한강을 사이에 두고 북한(산)성과 남한성으로서 각각 한강이북과 이남의 거점성 역할을 했을 법하다. 그 과정에서 [[아차산성]]은 북한산주의 중심치소로서 [[신라]]가 북방으로 본격적으로 진출하는 데 있어 거점 지역으로 부상했을 것이다.
+
결국 7세기에 들어서서 [[아차산성]]과 [[하남 이성산성]]은 한강을 사이에 두고 북한(산)성과 남한성으로서 각각 한강이북과 이남의 거점성 역할을 했을 법하다. 그 과정에서 [[아차산성]]은 북한산주의 중심치소로서 [[신라]]가 북방으로 본격적으로 진출하는 데 있어 거점 지역으로 부상했을 것이다.<ref>장창은, 「아차산성을 둘러싼 삼국의 영역 변천」, 『사총』, 제 81집, 2014, 131쪽.</ref>
  
 
==지도==
 
==지도==
40번째 줄: 40번째 줄:
 
!style="width:250px"|이 문서||style="width:200px"|관계||style="width:250px"|관련 문서
 
!style="width:250px"|이 문서||style="width:200px"|관계||style="width:250px"|관련 문서
 
|-
 
|-
|[[아차산성 장대지]]|| A는 B에 있다||[[아차산]]
+
|[[하남 이성산성]]|| A는 B로 추정된다||[[남한성]]
 
|-
 
|-
|[[아차산성 장대지]]|| A는 B에 속한다||[[아차산성]]
+
|[[하남 이성산성]]|| A는 B와 관련된다||[[아차산성]]
 
|-
 
|-
|[[아차산성 장대지]]|| A는 B에서 조사되었다||[[서울대학교 박물관]]
+
|[[하남 이성산성]]|| A는 B를 포함한다||[[하남 이성산성 건물지]]
 
|-
 
|-
|[[아차산성 장대지]]|| A는 B에서 조사되었다||[[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하남 이성산성]]|| A는 B의 발견지이다||[[하남 이성산성 목간]]
|-
+
|[[아차산성 장대지]]|| A는 B에서 조사되었다||[[명지대학교 부설 한국건축문화연구소]]
+
|-
+
|[[아차산성 장대지]]|| A에서 B가 행해지다||[[아차산성 시발굴조사]]
+
 
|}
 
|}
  
 
=='''갤러리'''==
 
=='''갤러리'''==
 
<gallery>
 
<gallery>
파일:이성산성건물지.jpg|하남 이성산성 건물지<ref>그림출처: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search_photo_list.jsp?VdkVgwKey=13%2C04220000%2C31&queryText=&mc=NS_04_03_01&VdkVgwKey=13%2C04220000%2C31 하남 이성산성, 문화재청]</ref>
+
파일:이성산성건물지.jpg|하남 이성산성 건물지<ref>사진출처: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search_photo_list.jsp?VdkVgwKey=13%2C04220000%2C31&queryText=&mc=NS_04_03_01&VdkVgwKey=13%2C04220000%2C31 하남 이성산성, 문화재청]</ref>
파일:목간.jpg|하남 이성산성 목간<ref>그림출처: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content_id=cp042400430001  하남 이성산성, 문화콘텐츠닷컴]</ref>
+
파일:목간.jpg|하남 이성산성 목간<ref>사진출처: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content_id=cp042400430001  하남 이성산성, 문화콘텐츠닷컴]</ref>
 
</gallery>
 
</gallery>
  

2016년 6월 14일 (화) 23:13 기준 최신판

개관

하남 이성산성남한산성이 있는 청량산에서 북쪽방향으로 내려오는 줄기와 만나 길게 맥을 형성하는 금암산의 줄기에 접해 있으며, 남쪽은 평야를 둘러싸고 있는 높은 산들이 있으나 북쪽은 작은 구릉만 있어 한강 주변지역을 한 눈에 조망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남 이성산성은 배후의 평야지역을 방어하고 강북의 적으로부터 한강유역을 방어하기에 매우 유리한 입지조건을 갖춘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하남 이성산성에서는 삼국시대 건물지(8각, 9각, 장방형 등)와 부대시설(문지, 배수구 등), 목간, 철제마 등 총 3,352점의 유물이 출토되었고, 특히 발굴조사 결과 출토된 목간 전면의 명문기록「무진년정월십이일 붕남한성도사< 戊辰年正月十二日 朋南漢城道使...>」 중 "무진년"은 608년으로 추정되고 있다. 출토된 토기들은 황룡사, 안압지 출토 토기들과 유사하여 통일신라토기로 판명되며, 신라가 5세기 중엽 한강유역을 점령한 후 축조된 것으로 역사상·학술상으로 매우 귀중한 유적으로 평가된다.[2]

하남 이성산성아차산성

하남 이성산성의 3차 발굴 결과 A지구 1차 저수지에서 출토된 목간에는 다음과 같은 명문이 적혀있다.

戊辰年正月十二日朋南漢城道使…결락 /(측면)須城道使村主前南漢城□□…결락 /(후면)□□蒲□□□□□□…결락.

목간에는 전면과 측면 2차례에 걸쳐 나오는' 南漢城'을 통해 하남 이성산성이 남한성임을 짐작할 수 있다. 또한, 하남 이성산성에서 출토된 다량의 목간과 벼루는 곧 이곳에서 정치・외교・군사에 관한 중요한 사실을 문서로 작성해 중앙에 보고하는 상황이 자주 발생하였음을 시사한다. 하남 이성산성신라한강 유역을 차지한 후 군사・행정의 중심 거점이었을 것이다.

결국 7세기에 들어서서 아차산성하남 이성산성은 한강을 사이에 두고 북한(산)성과 남한성으로서 각각 한강이북과 이남의 거점성 역할을 했을 법하다. 그 과정에서 아차산성은 북한산주의 중심치소로서 신라가 북방으로 본격적으로 진출하는 데 있어 거점 지역으로 부상했을 것이다.[3]

지도

클래스

  • 유적

관련 문서

이 문서 관계 관련 문서
하남 이성산성 A는 B로 추정된다 남한성
하남 이성산성 A는 B와 관련된다 아차산성
하남 이성산성 A는 B를 포함한다 하남 이성산성 건물지
하남 이성산성 A는 B의 발견지이다 하남 이성산성 목간

갤러리

주석

  1. 아래 사진출처: 문화재청 문화재검색 하남 이성산성
  2. 문화재청 문화재검색 하남 이성산성
  3. 장창은, 「아차산성을 둘러싼 삼국의 영역 변천」, 『사총』, 제 81집, 2014, 131쪽.
  4. 사진출처: 하남 이성산성, 문화재청
  5. 사진출처: 하남 이성산성, 문화콘텐츠닷컴

기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