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2 박현정 기말 계획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참고자료)
(참고자료)
26번째 줄: 26번째 줄:
  
 
==참고자료==
 
==참고자료==
[[File:백재왕도지도.jpg|600px]]
+
[[파일:백재왕도지도.jpg|350px|왼쪽]]
*[http://digerati.aks.ac.kr/DhLab/2020/101/student/박현정/백제문화/백제왕도핵심유적부여지역발굴조사마스터플랜수립보고서.pdf 백제 왕도 핵심 유적 부여 지역 발굴 조사 마스터 플랜 수립 보고서]
+
*[http://digerati.aks.ac.kr/DhLab/2020/101/student/박현정/백제문화/백제왕도3대핵심유적종합학술연구마스터플랜수립나루컨설팅.pdf 백제 왕도 3대 핵심 유적 종합 학술 연구 마스터 플랜 수립(나루컨설팅)]
+
*[http://digerati.aks.ac.kr/DhLab/2020/101/student/박현정/백제문화/2015사회과교육과정.pdf 2015 개정교육과정 사회과]
+
*[http://www.baekje-heritage.or.kr/html/kr/ 백제세계유산센터]
+
*[http://archive.baekje-heritage.or.kr/site/kr/ 백제역사유적지구 디지털아카이브]
+
*[http://dh.aks.ac.kr/~phj/wiki/index.php/부여지역_백제왕도_핵심유적 부여지역 백제왕도 핵심유적관련 자료모음]
+
*[https://www.ytn.co.kr/_ln/0106_202005230247253188 실감 기술로 박물관이 살아나다 YTN뉴스]
+
*
+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
55번째 줄: 47번째 줄:
 
| 도성 주변의 '''"국가적 제의 공간"''' || 구드래 일원의 부산 지점
 
| 도성 주변의 '''"국가적 제의 공간"''' || 구드래 일원의 부산 지점
 
|}
 
|}
 +
 +
 +
 +
 +
 +
 +
 +
 +
 +
 +
*[http://digerati.aks.ac.kr/DhLab/2020/101/student/박현정/백제문화/백제왕도핵심유적부여지역발굴조사마스터플랜수립보고서.pdf 백제 왕도 핵심 유적 부여 지역 발굴 조사 마스터 플랜 수립 보고서]
 +
*[http://digerati.aks.ac.kr/DhLab/2020/101/student/박현정/백제문화/백제왕도3대핵심유적종합학술연구마스터플랜수립나루컨설팅.pdf 백제 왕도 3대 핵심 유적 종합 학술 연구 마스터 플랜 수립(나루컨설팅)]
 +
*[http://digerati.aks.ac.kr/DhLab/2020/101/student/박현정/백제문화/2015사회과교육과정.pdf 2015 개정교육과정 사회과]
 +
*[http://www.baekje-heritage.or.kr/html/kr/ 백제세계유산센터]
 +
*[http://archive.baekje-heritage.or.kr/site/kr/ 백제역사유적지구 디지털아카이브]
 +
*[http://dh.aks.ac.kr/~phj/wiki/index.php/부여지역_백제왕도_핵심유적 부여지역 백제왕도 핵심유적관련 자료모음]
 +
*[https://www.ytn.co.kr/_ln/0106_202005230247253188 실감 기술로 박물관이 살아나다 YTN뉴스]

2020년 12월 9일 (수) 22:12 판

연구사업 개요

  • 연구사업명: 부여지역 백제왕도 핵심유적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활용방안 연구

  • 연구 기간: 백제왕도 핵심유적 발굴조사 마스터플랜 사업 기간 동안(2020년~2038년)

연구목적

  • 이 연구는 백제역사유적지구의 마스터플랜사업과 함께 부여지역 백제왕도 핵심유적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최첨단 기술을 이용한 백제문화유산의 디지털 콘텐츠를 개발하여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홍보 및 교육적 활용을 목적으로 합니다.

부분별 수행목표

  • 백제문화유산과 부여지역 백제왕도 핵심유적 발굴조사 마스터플랜 사업에서의 현재적인 연구를 토대로 데이터베이스로 설계하여 백제왕도 핵심유적 시스템 개발 및 활용
1)백제문화유산과 부여지역의 백제왕도 핵심유적 발굴조사를 통한 학술적 연구 결과를 정밀한 데이터베이스로 제시하여 자료를 종합하고 체계적으로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함
2)백제왕도 핵심유적의 비대면 전시 서비스를 위한 디지털 큐레이션 데이터 모델 설계


  • 백제왕도 핵심유적의 지리적 환경을 디지털화하여 최첨단의 3D모델로 제공하고 역사적•문화적 배경을 더한 백재문화유산의 디지털 스토리텔링 자원 콘텐츠 개발
1)부여지역의 12개의 백제왕도 핵심유적의 물리적 형상 및 지리적 환경과 역사적•문화적 배경을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하는 지식 정보 데이터와 이곳에서의 백제의 이야기를 전하는 스토리텔링 자원을 VR, AR 디지털 콘텐츠로 제작하고 최첨단의 3D 가상현실 기술환경에서 서비스함 
2)연구된 공공기준점 측량 사업을 통한 정확한 지리적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국민과 소통가능한 최첨단의 3D모델을 제공
3)백제 사비도성의 이미지를 가시화시킬 수 있도록 공간과 유물의 의미에 따라 시멘틱웹데이터로 엮어 흥미로운 콘텐츠로 제공
부여지역와도의공간배치에따른유적성격구분안.jpg


  • 백제왕도 12개의 핵심유적의 유기적 연계를 통한 융합적 연구•교육•활용 방안 제시하고 국민적 관심을 증대
1)즉각적이며 지속적인 디지털 콘텐츠로 제공되므로 백제 유산에 대해 국민들과 소통이 가능하며 관심을 증대시킬 수 있음
2)백제문화유산을 연구로서의 가치를 널리알리며 새로운 형태의 인문 지식 전달 방법이 될 것임
3)초중등 학교교육과정에서 교육자료로의 운영 방안을 제시하며 한국문화를 배우고자 하는 이에게 한국문화 체험교육을 제공

참고자료

백재왕도지도.jpg
유적 성격 해당유적
왕도의 공간구분 "사비도성의 외곽성" 나성
국가 최고 핵심지배층(왕실)의 거소 "궁실""원지" 화지산유적, 부소산성,(관북리유적: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발굴)
국가 핵심지배층의 사후 세계 "무덤" 능산리고분군, 능안골고분군
고대 국가의 정신적 토대 제공 "사원" 정림사진, 군수리사지, 왕흥사지
국가적 "생산" 시설 정암리와요지
도성 주변의 "거점 방어와 지방 지배 시설" 가림성
도성 물류의 주요 "관문"지역 구드래 일원의 구교리 지점
도성 주변의 "국가적 제의 공간" 구드래 일원의 부산 지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