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5. 세심재(洗心齋)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春風三月客登 (춘풍삼월객등)     봄바람 삼월에 나그네로 와서 보니, 
山有寒泉可洗 (산유한천가세) 산에는 샘물 있어 내 마음을 씻을 만 해.
物累都將隨爾去 (물루도장수이거) 쌓인 허물 모두 다 너를 따라 보내노니,
淸閑世界廣披 (청한세계광피) 맑고 한가한 경계로 마음이 넓어지네.

○ 세심재(洗心齋)는 행궁에 있는데 이곳에는 샘물이 맑고 깨끗하다.


○ 서하(西河) 이민서(李敏叙)의 시는 다음과 같다.

閒步到池 (한보도지)     산보하며 못의 정자에 이르니 
雨餘山色 (우여산색) 비 온 뒤에 뫼 빛이 푸르구나.
幽花開戶賞 (유화개호상) 지게문 열어서 그윽한 꽃 감상하니
怪鳥隔簾 (괴조격렴) 괴이한 새소리는 발을 격해 즐겁구나.
正好披書卷 (정호피서권) 책을 펴서 읽는 것이 무척이나 좋으니
端宜養性 (단의양성) 마음을 기르는 일 단정하게 어울리네.
蕭然坐終日 (소연좌종일) 쓸쓸하게 앉아서 하루를 보내자니
松影轉空 (송영전공) 소나무 그림자가 빈 뜰에 비춰지네.

○ 회헌(悔軒) 조관빈(趙觀彬)의 시는 다음과 같다.

河翁所營 (하옹소영)     물가의 늙은이 살고 있는 정자에  
閱劫宛丹 (열겁완단) 오래도록 완연한 단청이라네.
廉節淸泉見 (렴절청천견) 청렴과 절개는 맑은 샘이 보고 있고
仁聲老樹 (인성로수) 인자한 소문은 늙은 나무가 듣는구나.
無能今海帥 (무능금해수) 지금의 바다에는 장수가 없으니
有愧此山 (유괴차산) 이 산의 신령에게 부끄러움 있다네.
只喜詩添料 (지희시첨료) 시를 지어 이 내 마음 즐겁고 기쁜데
花泉雨過 (화천우과) 샘물에 꽃이 지니 뜰에 비 지나네.


○ 서하(西河) 이민서의 시는 다음과 같다.

築室兩崖間 (축실량애간)     두 언덕 사이에 살 집을 지으니
前有淸泉 (전유청천) 맑고 맑은 샘물이 앞으로 흐르네.
水石媚閒娟 (수석미한연) 물과 돌은 어여쁘고 고우니
松竹亦翛 (송죽역소) 솔과 대는 날개치듯 흔들리네.
雖非隱遯居 (수비은둔거) 은둔해서 사는 것이 아무리 아니더라도
宛似山林 (완사산림) 산림의 그윽한 건 분명한 사실이네.
居留職事簡 (거류직사간) 벼슬할 때에는 간소하게 일처리하고
公退時獨 (공퇴시독) 공직에서 물러서는 때때로 홀로 노니네.
和風入簾帷 (화풍입렴유) 발 휘장으로 온화한 바람이 들어오고
明月烱林 (명월경림) 숲에서는 밝은 달이 더욱 더 빛나네.
蕭然愜淸賞 (소연협청상) 쓸쓸히 맑은 것을 기뻐하여 감상하니
却忘羈旅 (각망기려) 나그네 근심조차 모든 것 잊게하네.
遇地便自得 (우지편자득) 이곳에 살면서 스스로 만족하니
攸攸何所 (유유하소) 한가로이 지내면서 무엇을 구하리요.


○ 또 그의 시는 다음과 같다.

秋蟬送客兩三 (추선송객량삼)    가을 매미 울음소리에 손님을 배웅하고
雨後寒川決決 (우후한천결결) 차갑게 흐르는 건 비온 뒤의냇물이라네.
着處宜鴻留指瓜 (착처의홍류지과) 손짓에 맞추어서 기러기는 머물고
小塘明月獨閒 (소당명월독한) 못에 밝은 달만이 한가롭고 맑구나.



○ 농암(農巖) 김창협(金昌協)의 시는 다음과 같다.

莫以官留閙 (막이관류뇨)     관직에 있으면서 싸우려하지 말아라 
洗心良在 (세심량재) 마음을 씻는 것은 진실로 이곳이라네.
春陰滋露井 (춘음자로정) 봄의 그늘은 노정에 드리웠고
夜雨滴苔 (야우적태) 밤에 내린 비는 이끼 낀 못을 적시네.
隱几寥天近 (은궤요천근) 안석에 기대니 하늘이 가깝고
扶藜遠壑 (부려원학) 지팡이를 짚으니 먼 곳으로 가고 싶네.
逢君成伴宿 (봉군성반숙) 그대 만나 짝이 되어 잠을 자니
詩興滿床 (시흥만상) 시의 감흥은 침상 휘장에 가득하네.


○ 회헌(悔軒) 조관빈의 시는 다음과 같다.

世路危如彼 (세로위여피)     세상사 위험하긴 이것과 같지만 
官齋靜若 (관재정약) 관사라고 하는 것은 고요하기 이와 같네.
雜花園接砌 (잡화원접체) 동산의 섬돌에는 가지가지 꽃피우고
活水井通 (활수정통) 우물은 못과 통해 물길을 내었구나.
滯跡窮溟想 (체적궁명상) 발자취를 머물고서 생각을 깊이 하니
逃身絶峽 (도신절협) 끊어진 협곡으로 이 몸을 숨긴 듯.
洗心無物累 (세심무물루) 마음을 씻고서는 외물에 관심 없고
閒僻欲書 (한벽욕서) 한가로운 깊은 곳에서 책 읽으며 살려하네.



○ 삼연(三淵) 김창흡(金昌翕)의 시는 다음과 같다.

海國茫茫雨 (해국망망우)    바다 나라에 아스라이 비 내리다 
晴來湛一 (청래담일) 맑게 개니 온 못이 넘치네.
閒齋有白日 (한재유백일) 한가로운 세심재엔 해가 빛나고
好鳥自高 (호조자고) 높은 나뭇가지에 새소리가 좋구나.
事外遙山綠 (사외요산록) 세사 밖에는 먼산이 녹색이고
眠中細草 (면중세초) 잠을 자는 도중에는 가는 풀이 자라네.
蕭然賓主意 (소연빈주의) 손과 주인의 쓸쓸한 뜻은
漫興五言 (만흥오언) 오언시를 지어서 흥을 돋우네.


○ 회헌(悔軒) 조관빈의 시는 다음과 같다.

營內猶深壑 (영내유심학)    진영 안에는 오히려 골이 깊고 
齋前有小 (재전유소) 세심재 앞에는 작은 연못이 있다네.
托襟林鳥語 (탁금림조어) 숲 속의 새 소리에 소매를 떨치고
留蹟杜鵑 (류적두견) 가지에 있는 두견새에 발길을 머무네.
老去因緣重 (노거인연중) 늙어가니 인연이 소중하고
春來意味 (춘래의미) 봄이 오니 그 뜻이 재미있구나.
農淵吾所仰 (농연오소앙) 농사짓는 일이란 내가 바라는 바이고
追揭卷中 (추게권중) 책에서 본 시 글귀을 떠올린다네.


기행지도

인물

  • 이민서(1633∼1688)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이중(彛仲), 호는 서하(西河).
  • 조관빈(1691∼1757) 본관은 양주(楊州). 자는 국보(國甫), 호는 회헌(晦軒).
  • 김창협(1651∼1708) 조선 후기의 유학자. 본관은 안동. 자는 중화(仲和), 호는 농암(農巖).
  • 김창흡(1653∼1722) 조선 후기의 유학자. 본관은 안동. 자는 자익(子益), 호는 삼연(三淵)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