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익선동 한옥마을의 화려한 변화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현재 익선동 한옥마을의 화려한 변화

익선동 한옥마을의 변화

익선동 한옥마을은 2004년부터 주상 복합 단지 재개발 구역으로 지정되었지만 주민 70퍼센트의 동의를 얻지 못해서 미루어지다가 해제되었다. 2016년말 기준으로 익선동 내 가옥은 153 채, 그 중에 119 채가 1930년전 지어진 보급형 한옥이라고 한다. 과거 도시환경정비사업구역으로 지정된 후 새로운 건축이 금지되면서 최소한의 보수만을 해왔기 때문에 옛 모습을 그대로 간직했다. 그러나 서울의 곳곳에 재개발이 활발하게 촉친하는 배경에서 이 동네의 변화도 피할 수 없다.


익선동 한옥마을의 본격적인 변화는 2015년부터였으며 크게 4가지로 볼 수 있다.

주택유형 분포의 변화_익선동 한옥마을이 단순한 주거지역에서 상업-거주지로 변화

예전에 골목에 숨어져있는 익선동 한옥마을의 존재를 아는 사람이 많지 않았다. 최근에 통신매체, SNS를 통해 “고즈넉한 옛날 한옥마을”로 알려지면서 젊은 사람들이 익선동을 찾기 시작했다. 2014년부터 익선동 골목에 카페-식당, 공방, 게스트하우스 등 상점들이 들어서면서 이곳의 주택유형 분포의 변화가 시작하였다. 2014년 – 2016년 2년내에 상가 수가 42건에서 101건까지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알려진다. [1]

옛 익선동 166번지로 불리는 익선동 한옥거리를 대상으로 주택유형분포를 조사통계에 따르면 주민집 비율이 36%밖에 차지하지 않으면서 상가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업권들 중에 대부분은 카페-식당이며 전체 경관을 보면 한옥 카페동네라는 느낌이 든 정도로 곳곳에 카페상점들이 밀집해 있다.

구글지도링크: 익선동 한옥마을_ 주택유형분포 [2]

익선동 한옥마을이 전통과 현대가 혼재한 공간으로 변화

원주민의 가옥주택들 한가운데 새로 생긴 상점들이 밀집해있는 현재의 익선동 경관이다. 카페-식당들은 한옥의 구조를 크게 바꾸지 않고 내부 인테리어만 개조하면서 전통.현대 조화를 이뤄진 공간으로 리모델링한 것이다. 전통한옥의 멋을 엿볼 수 있는 의도로 낡은 흙벽, 기둥, 서까래 등 옛구조를 그대로 남겨놓고 젊은 사람이 선호하는 현대적 카페형식으로 좁은 공간을 최대한 재활용하였다. 오히려 어떤 식당이 규모가 크고 분위기가 모던하면 주변 경관과 어울리지 않아 보이게 된다. 익선동에서 카페를 운영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젊은 사람이며 이 동네의 분위기를 좋아해서 이곳으로 들어와 사업을 시작하였다. “마치 흙을 밟으며 살고 있는 것과 같은 기분”이 좋아서 주저 없이 익선동을 택했다”한 카페의 주인 이터뷰 [3] 옛멋이 있는 익선동 한옥마을은 이제 젊은 사람들의 장소가 되었으며 이는 전통과 현대가 서로 조합된 독특한 공간으로 변신하고 있다. “개발이 아니 개조이다”는 익선동 한옥마을의 변화에 적합한 표현이 아닐까 싶다.

핫플레이스 (hot place)로 뜨는 익선동 한옥마을의 등장

핫플레이스란 최근 20~30대 젊은이들이 자주 찾는 코스로 큰 인기를 누리고 있는 곳을 의미한다. 최근에 대중통신방송과 SNS에서 익선동 한옥마을이 많이 알려져 있다. KB국민카드와 빅데이터 분석업체 다음소프트 분석 결과에 따라 서울의 성수동(성동구)과 여의도(영등포구), 망원동(마포구), 익선동(종로구)이 핫플레이스로 급부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익선동 한옥마을 원주민 이주 증가

익선동 한옥마을 재개발 계획이 해체된 후 지역 경제의 침체 우려가 나오기도 했지만 오히려 활발하게 성장하고 있다. 위에 언급한 변화가 이어져 지역 부동산 가격이 급속히 올라갔다. “재개발 지역으로 지정됐던 10년 전에는 땅값이 3.3㎡당 3000만원까지 거래가 됐다가 그 후 7~8년간 거래가 뚝 끊겼고, 3.3㎡당 1900만원 정도에 팔려는 사람도 있었다”며 “상권이 생기면서 가격이 회복돼 최근에는 3.3㎡당 4000만원 정도 호가한다”. 익선동 성도부동산 대표 [4] 방문객으로 인해 주민들 일상 생활 침해, 부동산 변동 등의 문제로 많은 원주민들이 나가기 시작했다. 이곳을 떠난 사람들은 매년 평균 100명을 훌쩍 넘어섰다.

익선동 한옥마을의 미래

아직도 끝나지 않은 전통적 가치 보존과 경제적 이익(개발) 갈등과 논쟁 가운데서 익선동 한옥마을의 미래에 대해 우려된다. 문화유산 보존은 전세계적 추세라고 하더라도 재개발 과정에서 사라지고 있는 문화유산들도 적지 않다. 보존과 개발을 함께 이룰 수 없는가, 또는 개발은 무조건 경제적 이익인건가 의문이 든다. 익선동 한옥마을은 조선시대 피맛길, 대중문화의 중심지, 한때 서울 사람의 사회적인 유흥명소인 요정 오진암 등 여러 역사적 스토리를 담고 있는 이 곳이 사라지지 않기 위해 보존할 필요가 있다. 거주구역과 상권을 따로 구분해서 낙후된 지역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주민의 삶을 잇기 위해 적합한 대책이 없을까. 서울시와 종로구청의 계획들 중에 400년의 역사를 간직한 창덕궁 앞 율곡로~삼일대로~종로~서순라길 일대를 재생하는 “창덕궁 앞 역사인문재생계획”이 있는데 익선동 한옥마을의 미래는 보존지역으로 남아있을 거라고 장담할 수가 없는 것이다. 그렇다면 10년 후에 서울 도심에 익선동 한옥마을을 볼 수 있을까…


이미지

참고 문헌

  • 김경민 박재민, 『리씽킹 서울』, 2013
  • 김경민, 『건축왕, 경성을 만들다』, 2017
  • 윤아라미,『익선동 한옥주거지의 형성과정과 건축특성 연구_익선동 166번지 사례를 중심으로 The Foundation Process and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n Hanok Residential Areas』, 2017
  •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기획_신현준.이기웅『서울, 젠트리피케이션을 말하다』, 2016
  • 『중앙일보』, 2016.9.13일자_ 전통, 현대 익선동 문화 향기 한남동 명소 변신 장충동 [5]
  • 『매일경제』, 2016.05.02일자_ 성수동·연남동·익선동…서울의 새로운 문화동네 [6],
  • 『조선일보』, 2017.4.21 일자_ 90년된 익선동 한옥마을의 이유있는 변신…"카페 품은 한옥, 월세는 종로 '반값' [7]
  • 『조선일보』, 2016.09.26 일자_ 400년 역사 창덕궁 앞, 역사·인문 공간으로 재생 [8]


주석

  1. 『오마이뉴스, 2017년3월13일 원주민 떠난 자리에 카페 주인이 앉았다
  2. 익선동 한옥마을 주택유형분포_ 구글지도링크
  3.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기획/신현준.이기웅,『서울, 젠트리피케이션을 말하다』, 2016
  4. 『조선일보』, 2017년4월21일 [1] 90년된 익선동 한옥마을의 이유있는 변신…카페 품은 한옥, 월세는 종로 '반값'
  5. 『중앙일보』, 2016.9.13일자 전통, 현대 익선동 문화 향기 한남동 명소 변신 장충동, 2017년6월22일
  6. 『매일경제』, 2016.05.02일자 새로운 문화동네, 2017년6월22일
  7. 『조선일보』, 2017.4.21 일자 90년된 익선동 한옥마을의 이유있는 변신…"카페 품은 한옥, 월세는 종로 '반값', 2017년6월22일
  8. 『조선일보』, 2016년09월26 일자 400년 역사 창덕궁 앞, 역사·인문 공간으로 재생, 2017년6월2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