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복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Yabok-song-b.jpg Yabok-song-f.jpg Yabok-song-s.jpg Yabok-song.jpg

송시열의 편복도: 상의 전면, 상의 후면, 하상, 대대(순서대로)


  • 편복에 대한 사전적 의미는 ‘평상시에 입는 옷[常服]’이다.
  • 조선시대 남자들의 기본 복식은 바지․저고리이며, 그 위에 (袍)를 입는다.
  • 조선시대는 유교의 숭상으로 의(義)와 예(禮)가 존중되던 시대였기 때문에 사대부에서 평민에 이르기까지 집에서도 포를 착용하는 것을 예의로 여겼다.
  • 그러나 조선시대 학자들이 말하는 ‘편복’은 말 그대로 ‘편한 옷’이다.
  • 그리고 그것은 주자야복(野服)을 가리키는 것으로, 주자는 만년에 야복을 입고 손님을 맞이하였다.
  • 야복은 상의(上衣)·하상(下裳)·[[대대[[(大帶)·모난 신[方履]으로 구성되어 있어 그다지 간편한 것은 아니었지만, 띠[帶]를 묶으면 예를 차릴 수 있고 띠[帶]를 풀면 편하게 거처할 수 있다는 편리함 때문에 주자가 야복을 착용하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관련 지식

분류 관련내용1 관련내용2 관련내용3
저자 서유구 송시열 성해응
제목 임원경제지 송자대전 연경재전집
특징 중치막과 비슷하게 뒤를 터서 말을 탈 때 편리하게 하고자 함. 초야에 있을 때 직접 야복(편복)을 착용. 벼슬에서 물러난 관리가 사람들을 접대할 때 예복으로 삼던 것으로 서울의 풍속을 따를 수 있는 옷.

연관 복식

중치막, 대대, 예복


Writer: 차서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