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치마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속치마


한복용으로 오늘날과 같은 속치마를 입기 시작한 것은 개화기 이후다.

그 전에는 속곳 ·바지 ·단속곳 등 두 가랑이로 된 속옷을 치마 밑에 입어 속치마를 대신하였다.

그러나 위생적인 목적보다 장식적인 목적을 주로 한 것에 고려시대의 귀족층 여인이 입던 선군(旋裙)이란 속치마가 있다.

길이가 각각 다른 여러 개의 치마를 한 말기에 달아 입어 겉치마 폭이 퍼지도록 한 것이다.

조선시대에는 선군과 비슷한 것으로 무지기치마라는 것이 있었다.

이것도 역시 길이가 다른 여러 층의 치마를 한 말기에 달아서 받쳐 입는데, 치맛단마다 갖가지 물감을 들여 만들므로 입었을 때는 마치 무지개가 돋은 것처럼 화려하였다고 한다.

오늘날 입는 속치마는 주로 긴 치마에 받쳐 입어 길이가 길고 품이 넓으며 어깨끈이 달린 것이 특징이다.

모양은 겉치마와 같이 주름을 잡아 말기에 다는데, 품이 약간 좁고 통 모양으로 된 것이 다를 뿐이다.

한복의 짧은 통치마에는 양장용 슬립을 속치마로 입는 경우가 많으나 겉치마가 비치는 것일 때는 따로 한복용의 품 넓은 속치마를 입어야 한다.

출처: 속치마-[두산백과]







writer : 편나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