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笙)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련자료

문헌

  • 이미지자료
종묘의궤 도설 악학궤범 도설
Jonsang.jpg Aksang1.JPG


  • 문헌내용
종묘의궤(宗廟儀軌)[3]의 원문내용
*원문[4]

주:時用.

文獻通考云,拍板長闊如手重大者 九板小者六板以韋編之胡部以爲 樂節蓋以代抃也唐人或用之爲樂 句宋朝敎坊所用六板長寸上銳薄 而下圓厚以檀若桑木爲之豈亦柷 敔之變體歟

*번역[5]

주:지금은 사용하지 않는다. 《예서》 생은 죽관〔管〕을 박통〔匏〕 안에 열 지어 세우고 죽관 끝에 황(簧)을 설치한다. 큰 것은 황이 19개이고 작은 것은 황이 13개이다. 우(竽)는 황이 36개이다. 생의 길이는 4자이고, 우의 길이는 4자 2치이다. 황은 쇳조각〔金鐷〕으로 만든다. 대개 많은 죽관이 박통 안에 들어 있어 ‘새 둥지〔巢〕’와 같은 형상이 있기 때문에 대생(大笙)을 소(巢)라고 하며, 큰 것이 선창(先唱)하면 작은 것이 화답하기 때문에 소생(小笙)을 화(和)라고 한다.

문헌통고(文獻通考)[6] 송나라 왕조의 대성악에서 전해지는 생은 모두 황이 17개이다. 옛날에는 17개의 죽관 외에 2개의 죽관을 설치하여 일정하게 두지 않았으니, 이것을 의관(義管)이라고 한다.

대성악보(大晟樂譜)[7]에 생은 대나무를 모아 만든다고 하였는데, 17개의 죽관을 사용하되, 앞에 8개의 황, 뒤에 9개의 황이다. 높고 낮은 것은 차서가 있는 것이다. 죽관이 긴 것은 9치 5푼이고 밑바닥의 높이는 2치 5푼이니, 전체의 높이는 1자 5치이다.


참고


  1. 한겨레음악대사전, 2012.11.2, 도서출판 보고사
  2. 한국민족문화대백과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4. 왕실도서관 장서각 디지털 아카이브
  5. 한국고전종합db
  6. 한국고전용어사전
  7. 한계레음악대사전

링크

writer : 조연수

2014-2 한국학자료특강III:예술자료 AKS

Digerati Wik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