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CD200643"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ongy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네트워크 그래프)
 
21번째 줄: 21번째 줄:
  
 
<html>
 
<html>
<iframe width="65%" height="500px" src="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s_songyi&project=meta&key=GCD200643"></iframe>
+
<iframe width="65%" height="500px" src="https://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s_songyi&project=meta&key=GCD200643"></iframe>
 
<br/>
 
<br/>
<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s_songyi&project=meta&key=GCD200643'">  
+
<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s://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s_songyi&project=meta&key=GCD200643'">  
 
</html>
 
</html>
 +
 
=='''주석'''==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2024년 4월 19일 (금) 11:11 기준 최신판

탄벌동출토_백자음각_丙午(1606)右명_접시
이상기선생 기증도편 자료집
대표명칭 탄벌동출토_백자음각_丙午(1606)右명_접시
제작시기 조선



상세설명

탄벌리는 원래 숯가마골이라고 하는데 옛날 이곳에서 숯을 구웠기 때문에 생긴 지명이다. 가마터는 탄벌리 마을 최상단부에 있는 '사기막골'에 모두 5-6개소가 있다. 탄벌동의 명문은 丙午(1606), 丁未(1607), ?戌, ?申(1608), 己酉(1609), 辛亥(1611), 壬子(1612)가 발견된 바 있어 탄벌동의 운영년대가 1606-1612년경으로 비정되어 왔다.[1]


네트워크 그래프


주석

  1. 한국도자재단 경기도자박물관, <경기도자박물관 학술총서 ; 제 13책 김영훈선생 기증도편 자료집>, 광주 : 한국도자재단 경기도자박물관,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