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CE001745"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ongyi
이동: 둘러보기, 검색
2번째 줄: 2번째 줄:
 
|사진=GCE001745.png
 
|사진=GCE001745.png
 
|사진출처=가마터 발굴, 그 10년의 여정
 
|사진출처=가마터 발굴, 그 10년의 여정
|대표명칭=선동리출토_백자_벼루
+
|클래스=Object
|고유번호=GCE001745
+
|아이디=GCE001745
|소장처=경기도자박물관
+
|웹사이트=
|지정번호=
+
|대표명칭=백자 벼루
|지정일=
+
|한글명칭=백자 벼루
|분류=도자기/백자
+
|한자=
|시대=조선
+
|소장품등록번호=발굴-1745
 +
|높이=
 +
|=9.6
 +
|너비=두께3.5
 +
|명문=
 
|제작시기=조선
 
|제작시기=조선
|수량/면적=1점/폭 9.6, 두께 3.5(cm)
 
|웹사이트=
 
 
}}
 
}}
 
==상세설명==
 
==상세설명==
19번째 줄: 21번째 줄:
 
==네트워크 그래프==
 
==네트워크 그래프==
 
<html>
 
<html>
<iframe width="65%" height="500px" src="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s_songyi&project=meta&key=GCE001745"></iframe>
+
<iframe width="65%" height="500px" src="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s_songyi&project=jsp&key=GCE001745"></iframe>
 
<br/>
 
<br/>
<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s_songyi&project=meta&key=GCE001745'">  
+
<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s_songyi&project=jsp&key=GCE001745'">  
 
</html>
 
</html>
 
=='''주석'''==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2022년 1월 2일 (일) 18:59 판

백자 벼루
가마터 발굴, 그 10년의 여정
클래스 Object
아이디 GCE001745
대표명칭 백자 벼루
한글명칭 백자 벼루
소장품등록번호 발굴-1745
9.6
너비 두께3.5
제작시기 조선



상세설명

선동리 요지는 지금까지 5개소가 보고되었다. 1640-1648년까지의 간지가 출토되었으며 유물은 백자반상기, 문방구, 제기뿐만 아니라 철화백자와 나비문이 시문된 청화백자 편이 출토되어 주목된다.[1] 선동리가마는 1640년 분원이 설치된 이후 10년이 지난 1649년 초봄, 광주 동면 송치松峙(지금의 송정동)로 이설하였다는 운영기록이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에 전해진다. 확인된 4기의 가마 가운데 상태가 양호한 2-1호와 2-4호는 길이 22m이상, 너비 180∼300cm로 아궁이와 4개의 번조실, 굴뚝부로 갈수록 약간 넓어지는 반지하식 등요이며 번조실 앞쪽 우측에 출입구가 나있다. 특이할 만한 점은 번조실 중심에 불기둥을 둔 조선전기 가마와 달리 불턱으로 경계를 구분하고 번조실 내부에 2~3개의 방형 불기둥을 두었는데, 불을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해 발달된 구조로 여겨진다. 가마 외에도 인근에서 추가로 2기의 가마폐기물퇴적과 공방지가 발견되어 여러 가마가 함께 운영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굽 안바닥에 새겨진 辛巳(1641년)~戊子(1648년)에 해당하는<左/右+간지> 명문과 기존에 발견된 庚辰(1640년) 간지를 통해 기록에서처럼 1640~48년까지 운영된 지역임이 증명되었다. 유물은 백자반상기를 중심으로 대발, 합, 병, 호, 문방구, 돈, 명기, 장군, 향로, 제기 등이 만들어졌다. 병,편병 등 특수기종을 중심으로 철화문이 장식되었으며 17세기 가마터에서는 처음으로 나비문이 시문된 청화백자편이 출토되어 주목된다.[2]

네트워크 그래프


주석

  1. 한국도자재단 경기도자박물관, <경기도자박물관 학술총서 ; 제 13책 김영훈선생 기증도편 자료집>, 광주 : 한국도자재단 경기도자박물관, 2016
  2. 한국도자재단 경기도자박물관, <가마터 발굴, 그 10년의 여정 : 2014 경기도자박물관 발굴유물특별전 >, 광주: 한국도자재단 경기도자박물관,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