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UnderstandingOfDigitalHumanities"의 두 판 사이의 차이

red

(Reference Book)
(개인 기말과제)
 
(사용자 8명의 중간 판 19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3번째 줄: 3번째 줄:
 
*<span style="color: blue">강좌명</span> : 디지털 인문학의 이해(Understanding of Digital Humanities)
 
*<span style="color: blue">강좌명</span> : 디지털 인문학의 이해(Understanding of Digital Humanities)
 
*<span style="color: blue">학수번호-분반</span> : KL3222-00
 
*<span style="color: blue">학수번호-분반</span> : KL3222-00
*<span style="color: blue">이수구분</span> : xxxx
+
*<span style="color: blue">이수구분</span> : 전공선택
*<span style="color: blue">개설학과(학점)</span> : 국어국문학 전공(3)
+
*<span style="color: blue">개설학과(학점)</span> : 국어국문학과(3)
*<span style="color: blue">강의시간</span> : 수요일 xx:xx-xx:xx
+
*<span style="color: blue">강의시간</span> : 수요일 15:00-17:45
*<span style="color: blue">강의실</span> : xxx
+
*<span style="color: blue">강의실</span> : 문과대 301
 
*<span style="color: blue">강사</span> : [http://redint.info 류인태]
 
*<span style="color: blue">강사</span> : [http://redint.info 류인태]
  
 
==='''Overview'''===
 
==='''Overview'''===
===='''Summary'''====
+
====Summary====
<div style="text-align:justify">본 강의는 </div>
+
<div style="text-align:justify">현재까지도 디지털 인문학 연구에 대한 명확한 정의는 없는 상황입니다. 디지털 베이스의 컴퓨터 기술과 웹 환경을 인문학 연구에 효과적으로 활용한 여러 방면의 사례를 통칭하는 표현일 뿐, 단일 학문으로서의 일반적 규약이나 보편적으로 검증 가능한 형식의 방법론이 있다고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그로 인해 '학문'으로서 디지털 인문학을 바라보기에는 여전히 그 한계가 뚜렷하다는 이야기가 많습니다. 그러나 컴퓨터 기술과 웹 환경이 끊임없이 발달함에 따라 인간 사이의 커뮤니케이션 체계에서 디지털 미디어의 영향력이 점차 커지고 있고, 그에 따라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지층으로서 디지털 데이터 환경에 대한 이해의 필요성이 점차 증대하고 있는 것 또한 사실입니다. 이미 우리 일상에 디지털, 컴퓨터, 데이터, 웹, 인공지능 등의 키워드가  깊숙이 침투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본 강의는 이와 같은 커뮤니케이션 미디어의 급격한 변화 가운데서, 컴퓨터 기술과 웹 환경을 적극적으로 수용한 여러 인문학 연구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디지털 미디어를 비판적으로 바라봄과 동시에 그것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맥락이 무엇인지 고민해보고자 합니다. 더 나아가 컴퓨터 기술과 웹 환경을 이용해 데이터를 편찬하고 큐레이션하는 과정을 실습함으로써, 디지털 인문학 연구의 실제가 무엇인지에 조금 더 가까이 다가가고자 합니다.</div>
  
===='''Objectives'''====
+
====Objectives====
<div style="text-align:justify">이 강의의 목표는 </div>
+
<div style="text-align:justify">이 강의의 목표는 '디지털 인문학'이라 불리는 새로운 인문학 연구가 무엇인지를 이해하는 데 있습니다. 그것을 위해 그동안 이루어진 디지털 인문학 방면의 여러 연구를 살펴볼 것이며, 그 과정에서 해당 연구들에 적용되는 보편적 문제의식 또는 방법론이 무엇인지에 대해 꾸준히 토론할 것입니다. 그리고 실제 웹 환경에서 컴퓨터 기술을 이용한 데이터 편찬 및 큐레이션 과정을 실습함으로써 디지털 인문학 연구 방법론에 대한 실질적 이해를 도모하고자 합니다. '미디어위키(MediaWiki) 전자문서 작성', '프로테제(Protege)를 이용한 온톨로지(Ontology) 설계', '네트워크 그래프(Network Graph) 편찬' 등 그 과정에서 이루어질 세부 내용들은 인문학 연구와 디지털 미디어가 만나는 접점으로서 적용될 것입니다. 더 나아가 개개의 수강생이 흥미를 품고 있던 인문학 방면의 관심사를 디지털 데이터로 편찬해봄으로써, 전통적 인문학이 지니고 있던 가치를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미디어를 통해 되돌아보는 경험 또한 해보게 될 것입니다.</div>
  
===='''Teaching Method'''====
+
====Teaching Method====
*이론 강의 : 1주차, 2주차, 9주차, 10주차
+
*이론 강의 : 2주차, 8주차, 9주차
*실습 : 3주차, 11주차, 12주차, 13주차.
+
*실습 : 3주차, 10주차, 11주차, 12주차.
*발표와 토론 : 4주차, 5주차, 6주차, 14주차, 15주차, 16주차,
+
*발표와 토론 : 4주차, 5주차, 6주차, 13주차, 14주차.
  
===='''Reference Book'''====
+
====Reference Materials====
 
*단행본
 
*단행본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0674300 김현, 임영상, 김바로, 『디지털 인문학 입문』, HUEBooks, 2016.]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0674300 김현, 임영상, 김바로, 『디지털 인문학 입문』, HUEBooks, 2016.]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0016886 박치완, 김기홍, 유제상, 세바스티안 뮐러 외, 『디지털 인문학이란 무엇인가』, 꿈꿀권리, 2015.]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0016886 박치완, 김기홍, 유제상, 세바스티안 뮐러 외, 『디지털 인문학이란 무엇인가』, 꿈꿀권리, 2015.]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5518083 이재연, 송인재, 문수현, 권윤경, 박은재, 이주영, 『세계 디지털 인문학의 현황과 전망』, 커뮤니케이션북스, 2019.]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5518083 이재연, 송인재, 문수현, 권윤경, 박은재, 이주영, 『세계 디지털 인문학의 현황과 전망』, 커뮤니케이션북스, 2019.]
 +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4450616 김택우, 『데이터 인문학』, 한빛미디어, 2019.]
 
*논문
 
*논문
 
**[http://www.riss.kr/link?id=T15384743 류인태, 「데이터로 읽는 17세기 재지사족의 일상 : 『지암일기(1692~1699)』 데이터베이스 편찬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http://www.riss.kr/link?id=T15384743 류인태, 「데이터로 읽는 17세기 재지사족의 일상 : 『지암일기(1692~1699)』 데이터베이스 편찬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
**[http://www.riss.kr/link?id=A105224890 류인태, 「디지털 인문학과 한문학 연구 -고문헌 자료 대상 국내 디지털 인문학 연구 사례를 중심으로-」, 『漢文學論集』49, 근역한문학회, 2018.]
 +
**[http://www.riss.kr/link?id=A101896187 류인태, 「디지털 환경에서의 인문 지식 연구에 관한 小考 ― 修信使 자료 DB 편찬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열상고전연구』50, 열상고전연구회, 2016.]
 +
**[http://www.riss.kr/link?id=A105229099 김현, 안승준, 류인태, 「데이터 기반 인문학 연구 방법의 모색: 문중 고문서 아카이브와 디지털 인문학의 만남」, 『횡단인문학』1, 숙명인문학연구소, 2018.]
 +
**[http://www.riss.kr/link?id=T15021005 한미경, 「내한 개신교 선교사 편지(1884-1942)의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기반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http://www.riss.kr/link?id=T14450321 박순, 「고전문학 자료의 디지털 아카이브 편찬 연구 : 누정기(樓亭記) 자료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http://www.riss.kr/link?id=T14450321 박순, 「고전문학 자료의 디지털 아카이브 편찬 연구 : 누정기(樓亭記) 자료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http://www.riss.kr/link?id=T15127421 김지선, 「19세기 여항전기집 수록 인물 관계망 구현 및 분석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http://www.riss.kr/link?id=T15127421 김지선, 「19세기 여항전기집 수록 인물 관계망 구현 및 분석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
**[http://www.riss.kr/link?id=A105580163 김현종, 「 『大東地志』 「程里考」에 기반한 조선후기의 1리(里)」, 『대한지리학회지』53, 대한지리학회, 2018.]
  
===='''Evaluation Standard'''====
+
====Evaluation Standard====
 
*총점 : '''100'''%
 
*총점 : '''100'''%
 
*출석 : '''10'''% (특별한 이유없이 결석하지 않을 경우 감점 없음)
 
*출석 : '''10'''% (특별한 이유없이 결석하지 않을 경우 감점 없음)
*발표 : '''30'''% (중간 발표와 기말 발표로 나누어 평가)
+
*발표 : '''30'''% (중간 발표와 기말 발표로 나누어 평가, 발표는 '''팀 기준'''으로 이루어짐)
**중간발표 : '''15'''% (A : 15, B : 13, C : 11)
+
**중간발표 : '''15'''% (A : 15, B : 13, C : 11, D : 9)
**기말발표 : '''15'''% (A : 15, B : 13, C : 11)
+
**기말발표 : '''15'''% (A : 15, B : 13, C : 11, D : 9)
*과제 : '''60'''% (중간 과제와 기말 과제로 나누어 평가)
+
*과제 : '''60'''% (중간 과제와 기말 과제로 나누어 평가, 과제는 '''개인 기준'''으로 이루어짐)
**중간과제 : '''30'''% (A : 30, B : 25, C : 20)
+
**중간과제 : '''30'''% (A : 30, B : 26, C : 22, D :18)
**기말과제 : '''30'''% (A : 30, B : 25, C : 20)
+
**기말과제 : '''30'''% (A : 30, B : 26, C : 22, D :18)
  
===='''Assignment'''====
+
====Assignment====
 
*중간고사 이전 1회, 중간고사 이후 1회의 발표를 한다.
 
*중간고사 이전 1회, 중간고사 이후 1회의 발표를 한다.
 
**중간고사 이전에는 디지털 인문학 연구 사례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고 그에 대한 리뷰 내용을 발표한다.
 
**중간고사 이전에는 디지털 인문학 연구 사례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고 그에 대한 리뷰 내용을 발표한다.
47번째 줄: 53번째 줄:
 
*중간 과제 평가는 상황에 따라 시험 or 과제를 유동적으로 실시한다.
 
*중간 과제 평가는 상황에 따라 시험 or 과제를 유동적으로 실시한다.
 
*기말 과제 평가는 기말발표 내용에 대한 리뷰에 근거해 그에 대한 내용을 보완한 결과물 평가로 대신한다.
 
*기말 과제 평가는 기말발표 내용에 대한 리뷰에 근거해 그에 대한 내용을 보완한 결과물 평가로 대신한다.
 +
 +
====Other Things====
 +
*본 강의는 웹 환경에서의 컴퓨터 기술이 기본적으로 활용되기에 수강생 개개인의 노트북 지참을 필수적으로 요구한다.
  
 
==='''Students'''===
 
==='''Students'''===
{{버튼클릭|[[Student 01]]}} {{버튼클릭|[[Student 02]]}} {{버튼클릭|[[Student 03]]}} {{버튼클릭|[[Student 04]]}} {{버튼클릭|[[Student 05]]}}<br/><br/>
+
====A Team====
{{버튼클릭|[[Student 06]]}} {{버튼클릭|[[Student 07]]}} {{버튼클릭|[[Student 08]]}} {{버튼클릭|[[Student 09]]}} {{버튼클릭|[[Student 10]]}}
+
{{버튼클릭|[[화병천]]}} {{버튼클릭|[[소정이|소정이]]}}
 +
 
 +
====B Team====
 +
{{버튼클릭|[[신연주]]}} {{버튼클릭|[[유흥빈|유홍빈]]}} {{버튼클릭|[[Alica|알리카]]}}
 +
 
 +
====C Team====
 +
{{버튼클릭|[[고유민]]}} {{버튼클릭|[[조성빈]]}} {{버튼클릭|[[마동준]]}} {{버튼클릭|[[장준규]]}}
 +
====D Team====
 +
{{버튼클릭|[[박성하]]}} {{버튼클릭|[[안정아]]}} {{버튼클릭|[[전동은]]}} {{버튼클릭|[[장시연]]}}
 +
====E Team====
 +
{{버튼클릭|[[도지현]]}} {{버튼클릭|[[박도현]]}} {{버튼클릭|[[최수빈]]}} {{버튼클릭|[[윤희권]]}}
 +
====F Team====
 +
{{버튼클릭|[[조가영]]}} {{버튼클릭|[[이하진]]}} {{버튼클릭|[[김수리]]}} {{버튼클릭|[[임수현]]}}
 +
 
 +
{{NetworkGraph | title=디지털인문학의이해_수강생.lst}}
  
 
==='''Plan'''===
 
==='''Plan'''===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8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90%; background:white;"
!style="width:10%; text-align: center"|'''주차'''|| style="width:10%; text-align: center"|'''날짜'''|| style="width:60%; text-align: center"|'''강의 내용'''|| style="width:20%; text-align: center"|'''강의 형식'''  
+
!style="width:10%; text-align: center"|'''본래주차'''|| style="width:10%; text-align: center"|'''변경주차'''|| style="width:5%; text-align: center"|'''날짜'''|| style="width:55%; text-align: center"|'''강의 내용'''|| style="width:20%; text-align: center"|'''강의 형식'''  
 
|-
 
|-
|01주차 || 03/04 || 강의 소개 || 이론 강의
+
|01주차 || - || 03/04 || <span style="color: red">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개강연기</span>  || -
 
|-
 
|-
|02주차 || 03/11 || “디지털 인문학(Digital Humanities)이란 무엇인가” ('''PPT''') || 이론 강의
+
|02주차 || - || 03/11 || <span style="color: red">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개강연기</span>  || -
 
|-
 
|-
|03주차 || 03/18 || '''미디어위키(Mediawiki)''' 전자문서 작성 실습 || 실습
+
|03주차 || 01주차 || 03/18 || 오리엔테이션<ref>'''03.16'''부터 '''03.20'''까지 수강정정기간</ref> || 강의 소개(영상)
 
|-
 
|-
|04주차 || 03/25 || 디지털 인문학 연구 Review 1 : '''Archive''' & '''Database''' || 발표와 토론
+
|04주차 || 02주차 || 03/25 || “디지털 인문학(Digital Humanities)이란 무엇인가” ('''PPT''') || 이론 강의(영상)
 
|-
 
|-
|05주차 || 04/01 || 디지털 인문학 연구 Review 2 : '''Mapping''' & '''Network''' || 발표와 토론
+
|05주차 || 03주차 || 04/01 || '''미디어위키(Mediawiki)''' 전자문서 작성 실습 || 실습
 
|-
 
|-
|06주차 || 04/08 || 디지털 인문학 연구 Review 1 : '''Miscellaneous Visualization''' || 발표와 토론
+
|06주차 || 04주차 || 04/08 || 디지털 인문학 연구 Review 1 : '''Archive''' & '''Database''' || 발표와 토론
 
|-
 
|-
|07주차 || 04/15 || <span style="color: red">제21대 국회의원 선거</span> || 공휴일
+
|07주차 || 05주차 || 04/15 || 디지털 인문학 연구 Review 2 : '''Mapping''' & '''Network'''<ref>'''04.15'''은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일(공휴일)이며, 이로 인해 보강계획 필요</ref> || 발표와 토론
 
|-
 
|-
|08주차 || 04/22 || <span style="color: blue">'''중간고사'''</span> || 평가
+
|08주차 || 06주차 || 04/22 || 디지털 인문학 연구 Review 3 : '''Miscellaneous Visualization''' || 발표와 토론
 
|-
 
|-
|09주차 || 04/29 || “데이터 모델링 : 온톨로지(Ontology)” ('''PPT''') || 이론 강의
+
|09주차 || 07주차 || 04/29 || <span style="color: blue">'''중간고사'''</span>  || 평가
 
|-
 
|-
|10주차 || 05/06 || “온톨로지 설계와 프로테제(Protege) 활용” ('''PPT''') || 이론 강의
+
|10주차 || 08주차 || 05/06 || “데이터 모델링과 온톨로지(Ontology)('''PPT''') || 이론 강의  
 
|-
 
|-
|11주차 || 05/13 || 예제를 통한 데이터 편찬 실습 : '''워커힐 호텔과 박정희''' || 실습
+
|11주차 || 09주차 || 05/13 || 예제를 통한 데이터 편찬 실습 : '''워커힐 호텔과 박정희''' || 실습
 
|-
 
|-
|12주차 || 05/20 || 온톨로지 설계 및 데이터 편찬 실습1 : 개별 주제 선택 || 실습  
+
|12주차 || 10주차 || 05/20 || 데이터 설계: 프로테제(Protege) 활용  || 이론과 실습
 
|-
 
|-
|13주차 || 05/27 || 온톨로지 설계 및 데이터 편찬 실습2 : 개별 주제 선택 || 실습  
+
|13주차 || 11주차 || 05/27 || 데이터 수집: 웹 크룰링과 웹 스크래핑  || 이론과 실습
 
|-
 
|-
|14주차 || 06/03 || 온톨로지 설계 및 데이터 편찬 실습 사례 발표 1 || 발표와 토론
+
|14주차 || 12주차 || 06/03 || 온톨로지 설계 및 데이터 편찬 실습1 : 개별 주제 선택 || 실습
 
|-
 
|-
|15주차 || 06/10 || 온톨로지 설계 및 데이터 편찬 실습 사례 발표 2 || 발표와 토론
+
|15주차 || 13주차 || 06/10 || 온톨로지 설계 및 데이터 편찬 실습2 : 개별 주제 선택 || 실습
 
|-
 
|-
|16주차 || 06/17 || 온톨로지 설계 및 데이터 편찬 실습 사례 발표 3 || 발표와 토론
+
|16주차 || 14주차 || 06/17 || 온톨로지 설계 및 데이터 편찬 실습 사례 발표 1 || 발표와 토론  
 
|-
 
|-
|17주차 || 06/24 || <span style="color: blue">'''기말고사'''</span> || 평가
+
|17주차 || 15주차 || 06/24 || 온톨로지 설계 및 데이터 편찬 실습 사례 발표 2 || 발표와 토론
 
|-
 
|-
 
|}
 
|}
97번째 줄: 120번째 줄:
  
 
==='''Research Topics'''===
 
==='''Research Topics'''===
*
+
====전반기====
*
+
*'''04월 08일''' 발표
 +
**1차 15:00-15:30 : [[Chinese Text Project]], '''A'''조 발표자 : [[화병천]]
 +
**2차 15:40-16:10 : [[The Joyce Project]], '''E'''조 발표자 : [[박도현]]
 +
**3차 16:30-17:00 : [[Witches]], '''F'''조 발표자 : [[김수리]]
 +
**4차 17:10-17:40 : [[What Jane Saw]], '''D'''조 발표자 : [[안정아]]
 +
 
 +
*'''04월 15일''' 발표
 +
**1차 15:00-15:30 : [[Grim London]] '''C'''조 발표자 : [[조성빈]]
 +
**2차 15:40-16:10 : [[Formosa]] '''B'''조 발표자 : [[유흥빈|유홍빈]]
 +
**3차 16:30-17:00 : [[Linked Jazz]] '''D'''조 발표자 : [[전동은]]
 +
 
 +
*'''04월 22일''' 발표
 +
**1차 15:00-15:30 : [[The Museum of the World]] '''C'''조 발표자 : [[장준규]]
 +
**2차 15:40-16:10 : [[Lit Long]] '''E'''조 발표자 : [[최수빈]]
 +
**3차 16:30-17:00 : [[Chinese Iconography Thesaurus]] '''AB'''조 발표자 : [[Alica|알리카]]
 +
**4차 17:10-17:40 : [[Kindred Britain]] '''F'''조 발표자 : [[조가영]]
 +
====후반기====
 +
*[[WalkerhillAndParkchunghee|워커힐과 박정희]]
 +
 
 +
*황순원의 문학세계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rddYPwQm2nuxJKx_cVJy41oNz6wRS990GX35p9QMI_w/edit?usp=sharing 전체 데이터 테이블])
 +
**[[HwangsunwonAndPeople|황순원과 주변인물]] : 인물 데이터 '''F'''조
 +
***기말발표페이지: [[황순원의생애와주변인물]]
 +
**[[HwangsunwonAndPlace|황순원과 삶의공간]] : 경희대학교 공간 데이터, 황순원의 흔적이 남겨진 공간들 '''E'''조
 +
***기말발표페이지: [[황순원의공간과문학세계]]
 +
**[[HwangsunwonAndWorks|황순원과 주요작품]] : 작품 데이터 '''D'''조
 +
***기말발표페이지: [[황순원의작품과문예주기]]
 +
**[[HwangsunwonLiteratureAward|황순원 문학상]] : 황순원 문학상 관련 데이터 '''C'''조
 +
***기말발표페이지: [[황순원문학상의역사와논란]]
 +
 
 +
*평화의전당
 +
**[[GrandPeacePalace|평화의전당]] : 평화의 전당 공연 데이터 '''AB'''조
 +
***기말발표페이지: [[2008-2020년평화의전당공연]]
 +
 
 +
====개인 기말과제====
 +
*AB조
 +
{{버튼클릭|[[데미안 라이스]]}} {{버튼클릭|[[카를라 브루니]]}} {{버튼클릭|[[신운뉴욕예술단]]}} {{버튼클릭|[[브루노 펠티에]]}} {{버튼클릭|[[안전지대]]}} {{버튼클릭|[[유키 구라모토]]}} {{버튼클릭|[[더글라스 케네디]]}} {{버튼클릭|[[로버트 루트번스타인]]}}
 +
 
 +
{{버튼클릭|[[정여울]]}} {{버튼클릭|[[한결]]}} {{버튼클릭|[[정준일]]}} {{버튼클릭|[[변진섭]]}} {{버튼클릭|[[이승환]]}} {{버튼클릭|[[임태경]]}} {{버튼클릭|[[김동률]]}} {{버튼클릭|[[케냐 지라니 어린이합창단 내한공연]]}}
 +
 
 +
{{버튼클릭|[[레이프 가렛 내한공연 Lief Garrett]]}} {{버튼클릭|[[허비 행콕 내한 공연 Herbie Hancock]]}} {{버튼클릭|[[짐 브릭만 내한공연 Jim Brickman]]}}
 +
 
 +
{{버튼클릭|[[테너 호세 카레라스 내한공연 서울 2009]]}}
 +
 
 +
*C조
 +
{{버튼클릭|[[제1회 황순원 문학상 심사평]]}} {{버튼클릭|[[제2회 황순원 문학상 심사평]]}} {{버튼클릭|[[제3회 황순원 문학상 심사평]]}} {{버튼클릭|[[제4회 황순원 문학상 심사평]]}}
 +
 
 +
{{버튼클릭|[[『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하게 하는 한국 소설의 얼굴』]]}} {{버튼클릭|[[제6회 황순원 문학상 심사평]]}} {{버튼클릭|[[제7회 황순원 문학상 심사평]]}} {{버튼클릭|[[수상작없음]]}}
 +
 
 +
{{버튼클릭|[[제9회 황순원 문학상 심사평]]}} {{버튼클릭|[[강철소리 나는 '생각'의 문체]]}} {{버튼클릭|[['깐깐함' 그리고 그 너머]]}} {{버튼클릭|[[일상성에 대한 새로운 서사적 탐문]]}} {{버튼클릭|[[이승우의 한 칼]]}}
 +
 +
{{버튼클릭|[[반복과 차이, 혹은 차이와 반복]]}} {{버튼클릭|[[변모하는, 아직 건재하는 단편]]}} {{버튼클릭|[[꽃집 여자의 손수건에서 나는 생선 비린내]]}} {{버튼클릭|[[자기다운 모습이라는 미덕]]}}
 +
 
 +
{{버튼클릭|[[전도된 기억을 통한 실상의 복원]]}} {{버튼클릭|[[이야기의 힘, 이야기의 승리]]}} {{버튼클릭|[[비지배의 자유를 위하여]]}} {{버튼클릭|[[삶의 비의를 포착하는 문장들]]}} {{버튼클릭|[[읽기 끔찍했던 소설들]]}}
 +
 
 +
{{버튼클릭|[[완전하고도 풍성한 고독]]}} {{버튼클릭|[[반복해 읽기의 즐거움]]}} {{버튼클릭|[[제13회 황순원 문학상 심사평]]}} {{버튼클릭|[[제14회 황순원 문학상 심사평]]}} {{버튼클릭|[[제15회 황순원 문학상 심사평]]}}
 +
 
 +
{{버튼클릭|[[제16회 황순원 문학상 심사평]]}} {{버튼클릭|[[제17회 황순원 문학상 심사평]]}} {{버튼클릭|[[미당문학상]]}} {{버튼클릭|[[구효서]]}} {{버튼클릭|[[하성란]]}} {{버튼클릭|[[황순원 문학상 폐지]]}} {{버튼클릭|[[김훈『언니의 폐경』 논란]]}} {{버튼클릭|[[김연수]]}} {{버튼클릭|[[김영하]]}} {{버튼클릭|[[수상자에서 심사위원으로]]}} {{버튼클릭|[[황순원 문학상과 문학 흐름]]}} {{버튼클릭|[[황순원문학상의역사와논란]]}} {{버튼클릭|[[백지연]]}} {{버튼클릭|[[이승우]]}} {{버튼클릭|[[황순원문학상 운영위원회]]}} {{버튼클릭|[[문학상 심사 공정성 논란]]}} {{버튼클릭|[[김윤식]]}} {{버튼클릭|[[중앙일보]]}}
 +
 
 +
*D조
 +
{{버튼클릭|[[거리의 부사]]}} {{버튼클릭|[[산골아이]]}} {{버튼클릭|[[기러기]]}} {{버튼클릭|[[아버지]]}} {{버튼클릭|[[곡예사]]}} {{버튼클릭|[[단시삼편]]}} {{버튼클릭|[[봄싹]]}} {{버튼클릭|[[단오명절]]}} {{버튼클릭|[[추억]]}} {{버튼클릭|[[졸업일]]}} {{버튼클릭|[[움직이는 성]]}}
 +
 
 +
{{버튼클릭|[[별과 같이 살다]]}} {{버튼클릭|[[일월]]}} {{버튼클릭|[[방가]]}} {{버튼클릭|[[매일신보]]}} {{버튼클릭|[[나의 꿈]]}} {{버튼클릭|[[겨울풍경]]}} {{버튼클릭|[[잃어버린 사람들]]}} {{버튼클릭|[[직공생활]]}} {{버튼클릭|[[1977년]]}}
 +
 
 +
*E조
 +
{{버튼클릭|[[삼일공원]]}} {{버튼클릭|[[서울 사당동 대림아파트]]}} {{버튼클릭|[[국보위]]}} {{버튼클릭|[[서울고등학교]]}} {{버튼클릭|[[홍대 대학로 아트센터 소극장]]}} {{버튼클릭|[[평안남도 대동군 재경리면 천서리]]}}
 +
 
 +
{{버튼클릭|[[청량리 신현대아파트]]}} {{버튼클릭|[[국제시장]]}} {{버튼클릭|[[서울대병원 장례식장]]}} {{버튼클릭|[[마주앙]]}} {{버튼클릭|[[부산 임시 학교]]}} {{버튼클릭|[[와세다대 문학부 영문과]]}} {{버튼클릭|[[평양경찰서]]}}
 +
 
 +
{{버튼클릭|[[본평양역]]}} {{버튼클릭|[[와세다 제2고등원]]}}
 +
 
 +
*F조
 +
{{버튼클릭|[[양주동]]}} {{버튼클릭|[[김기림]]}} {{버튼클릭|[[황동규]]}} {{버튼클릭|[[서정주]]}} {{버튼클릭|[[류시화]]}} {{버튼클릭|[[김용성]]}} {{버튼클릭|[[조해일]]}} {{버튼클릭|[[이유범]]}} {{버튼클릭|[[박덕규]]}} {{버튼클릭|[[김형경]]}} {{버튼클릭|[[황찬영]]}} {{버튼클릭|[[박종화]]}}
 +
 
 +
{{버튼클릭|[[양정길]]}} {{버튼클릭|[[김동리]]}} {{버튼클릭|[[백철]]}} {{버튼클릭|[[박동근]]}} {{버튼클릭|[[주영섭]]}} {{버튼클릭|[[김동원]]}} {{버튼클릭|[[김광섭]]}} {{버튼클릭|[[원응서]]}}
  
 
==='''Data Network Practice'''===
 
==='''Data Network Practice'''===
105번째 줄: 201번째 줄:
  
 
==='''Useful Information'''===
 
==='''Useful Information'''===
===='''How to use Mediawiki'''====
+
====How to use Mediawiki====
 
*[http://dh.aks.ac.kr/Edu/wiki/index.php/%EC%9C%84%ED%82%A4_%EC%BD%98%ED%85%90%EC%B8%A0%EC%9D%98_%EC%B2%B4%EA%B3%84_%EA%B5%AC%EC%83%81 위키 콘텐츠의 체계 구상]
 
*[http://dh.aks.ac.kr/Edu/wiki/index.php/%EC%9C%84%ED%82%A4_%EC%BD%98%ED%85%90%EC%B8%A0%EC%9D%98_%EC%B2%B4%EA%B3%84_%EA%B5%AC%EC%83%81 위키 콘텐츠의 체계 구상]
 
*[http://dh.aks.ac.kr/Edu/wiki/index.php/%EC%9C%84%ED%82%A4_%EB%AC%B8%EC%84%9C_%EC%A0%9C%EC%9E%91_%EB%B0%A9%EB%B2%95 위키 문서 제작 방법]
 
*[http://dh.aks.ac.kr/Edu/wiki/index.php/%EC%9C%84%ED%82%A4_%EB%AC%B8%EC%84%9C_%EC%A0%9C%EC%9E%91_%EB%B0%A9%EB%B2%95 위키 문서 제작 방법]
 
*[https://ko.wikipedia.org/wiki/%EC%9C%84%ED%82%A4%EB%B0%B1%EA%B3%BC:%EC%9C%84%ED%82%A4_%EB%AC%B8%EB%B2%95 위키백과 - 위키문법]
 
*[https://ko.wikipedia.org/wiki/%EC%9C%84%ED%82%A4%EB%B0%B1%EA%B3%BC:%EC%9C%84%ED%82%A4_%EB%AC%B8%EB%B2%95 위키백과 - 위키문법]
 
*[https://ko.wikipedia.org/wiki/위키백과:위키문법_요약 위키백과 - 위키문법 요약]
 
*[https://ko.wikipedia.org/wiki/위키백과:위키문법_요약 위키백과 - 위키문법 요약]
 +
*[http://dh.aks.ac.kr/workshop/index.php/%EC%9C%84%ED%82%A4%EB%AC%B8%EB%B2%95 2019 DH워크숍 제공 위키문법 자료]
 
*[https://www.youtube.com/embed/tzRWa2YL7Aw 2016 디지털 인문학 교육 워크샵 - 03 wiki 콘텐츠 편찬 방법(동영상 강의)]
 
*[https://www.youtube.com/embed/tzRWa2YL7Aw 2016 디지털 인문학 교육 워크샵 - 03 wiki 콘텐츠 편찬 방법(동영상 강의)]
  
===='''How to create a Data Network'''====
+
====How to create a Data Network====
 
*[http://dh.aks.ac.kr/Edu/wiki/index.php/%EB%8D%B0%EC%9D%B4%ED%84%B0%EC%9D%98_%EC%8B%9C%EA%B0%81%ED%99%94:_%EB%84%A4%ED%8A%B8%EC%9B%8C%ED%81%AC_%EA%B7%B8%EB%9E%98%ED%94%84 데이터의 시각화: 네트워크 그래프]
 
*[http://dh.aks.ac.kr/Edu/wiki/index.php/%EB%8D%B0%EC%9D%B4%ED%84%B0%EC%9D%98_%EC%8B%9C%EA%B0%81%ED%99%94:_%EB%84%A4%ED%8A%B8%EC%9B%8C%ED%81%AC_%EA%B7%B8%EB%9E%98%ED%94%84 데이터의 시각화: 네트워크 그래프]
 
*[http://dh.aks.ac.kr/Edu/wiki/index.php/%EB%82%98%EC%9D%98_%EB%84%A4%ED%8A%B8%EC%9B%8C%ED%81%AC_%EA%B7%B8%EB%9E%98%ED%94%84_%EC%A0%9C%EC%9E%91_%EB%B0%A9%EB%B2%95 나의 네트워크 그래프 제작 방법]
 
*[http://dh.aks.ac.kr/Edu/wiki/index.php/%EB%82%98%EC%9D%98_%EB%84%A4%ED%8A%B8%EC%9B%8C%ED%81%AC_%EA%B7%B8%EB%9E%98%ED%94%84_%EC%A0%9C%EC%9E%91_%EB%B0%A9%EB%B2%95 나의 네트워크 그래프 제작 방법]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Network_Graph_in_Wiki 위키에서 네트워크 그래프 그리기(DH위키)]
  
===='''External Website'''====
+
====External Website====
 
*[https://www.wordclouds.com/ 워드클라우드 생성기]
 
*[https://www.wordclouds.com/ 워드클라우드 생성기]
 
*[http://wordcloud.kr/ 워드클라우드 생성기(한국)]
 
*[http://wordcloud.kr/ 워드클라우드 생성기(한국)]
 +
 +
==='''Footnote'''===
 +
<references/>

2020년 6월 24일 (수) 14:36 기준 최신판

Information

  • 개설기관 : 경희대학교 문과대학
  • 강좌명 : 디지털 인문학의 이해(Understanding of Digital Humanities)
  • 학수번호-분반 : KL3222-00
  • 이수구분 : 전공선택
  • 개설학과(학점) : 국어국문학과(3)
  • 강의시간 : 수요일 15:00-17:45
  • 강의실 : 문과대 301
  • 강사 : 류인태

Overview

Summary

현재까지도 디지털 인문학 연구에 대한 명확한 정의는 없는 상황입니다. 디지털 베이스의 컴퓨터 기술과 웹 환경을 인문학 연구에 효과적으로 활용한 여러 방면의 사례를 통칭하는 표현일 뿐, 단일 학문으로서의 일반적 규약이나 보편적으로 검증 가능한 형식의 방법론이 있다고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그로 인해 '학문'으로서 디지털 인문학을 바라보기에는 여전히 그 한계가 뚜렷하다는 이야기가 많습니다. 그러나 컴퓨터 기술과 웹 환경이 끊임없이 발달함에 따라 인간 사이의 커뮤니케이션 체계에서 디지털 미디어의 영향력이 점차 커지고 있고, 그에 따라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지층으로서 디지털 데이터 환경에 대한 이해의 필요성이 점차 증대하고 있는 것 또한 사실입니다. 이미 우리 일상에 디지털, 컴퓨터, 데이터, 웹, 인공지능 등의 키워드가 깊숙이 침투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본 강의는 이와 같은 커뮤니케이션 미디어의 급격한 변화 가운데서, 컴퓨터 기술과 웹 환경을 적극적으로 수용한 여러 인문학 연구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디지털 미디어를 비판적으로 바라봄과 동시에 그것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맥락이 무엇인지 고민해보고자 합니다. 더 나아가 컴퓨터 기술과 웹 환경을 이용해 데이터를 편찬하고 큐레이션하는 과정을 실습함으로써, 디지털 인문학 연구의 실제가 무엇인지에 조금 더 가까이 다가가고자 합니다.

Objectives

이 강의의 목표는 '디지털 인문학'이라 불리는 새로운 인문학 연구가 무엇인지를 이해하는 데 있습니다. 그것을 위해 그동안 이루어진 디지털 인문학 방면의 여러 연구를 살펴볼 것이며, 그 과정에서 해당 연구들에 적용되는 보편적 문제의식 또는 방법론이 무엇인지에 대해 꾸준히 토론할 것입니다. 그리고 실제 웹 환경에서 컴퓨터 기술을 이용한 데이터 편찬 및 큐레이션 과정을 실습함으로써 디지털 인문학 연구 방법론에 대한 실질적 이해를 도모하고자 합니다. '미디어위키(MediaWiki) 전자문서 작성', '프로테제(Protege)를 이용한 온톨로지(Ontology) 설계', '네트워크 그래프(Network Graph) 편찬' 등 그 과정에서 이루어질 세부 내용들은 인문학 연구와 디지털 미디어가 만나는 접점으로서 적용될 것입니다. 더 나아가 개개의 수강생이 흥미를 품고 있던 인문학 방면의 관심사를 디지털 데이터로 편찬해봄으로써, 전통적 인문학이 지니고 있던 가치를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미디어를 통해 되돌아보는 경험 또한 해보게 될 것입니다.

Teaching Method

  • 이론 강의 : 2주차, 8주차, 9주차
  • 실습 : 3주차, 10주차, 11주차, 12주차.
  • 발표와 토론 : 4주차, 5주차, 6주차, 13주차, 14주차.

Reference Materials

Evaluation Standard

  • 총점 : 100%
  • 출석 : 10% (특별한 이유없이 결석하지 않을 경우 감점 없음)
  • 발표 : 30% (중간 발표와 기말 발표로 나누어 평가, 발표는 팀 기준으로 이루어짐)
    • 중간발표 : 15% (A : 15, B : 13, C : 11, D : 9)
    • 기말발표 : 15% (A : 15, B : 13, C : 11, D : 9)
  • 과제 : 60% (중간 과제와 기말 과제로 나누어 평가, 과제는 개인 기준으로 이루어짐)
    • 중간과제 : 30% (A : 30, B : 26, C : 22, D :18)
    • 기말과제 : 30% (A : 30, B : 26, C : 22, D :18)

Assignment

  • 중간고사 이전 1회, 중간고사 이후 1회의 발표를 한다.
    • 중간고사 이전에는 디지털 인문학 연구 사례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고 그에 대한 리뷰 내용을 발표한다.
    • 중간고사 이후에는 단일 연구 주제를 선택해 온톨로지를 설계하고 데이터를 편찬한 내용을 발표한다.
  • 중간 과제 평가는 상황에 따라 시험 or 과제를 유동적으로 실시한다.
  • 기말 과제 평가는 기말발표 내용에 대한 리뷰에 근거해 그에 대한 내용을 보완한 결과물 평가로 대신한다.

Other Things

  • 본 강의는 웹 환경에서의 컴퓨터 기술이 기본적으로 활용되기에 수강생 개개인의 노트북 지참을 필수적으로 요구한다.

Students

A Team

화병천 소정이

B Team

신연주 유홍빈 알리카

C Team

고유민 조성빈 마동준 장준규

D Team

박성하 안정아 전동은 장시연

E Team

도지현 박도현 최수빈 윤희권

F Team

조가영 이하진 김수리 임수현



Plan

본래주차 변경주차 날짜 강의 내용 강의 형식
01주차 - 03/04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개강연기 -
02주차 - 03/11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개강연기 -
03주차 01주차 03/18 오리엔테이션[1] 강의 소개(영상)
04주차 02주차 03/25 “디지털 인문학(Digital Humanities)이란 무엇인가” (PPT) 이론 강의(영상)
05주차 03주차 04/01 미디어위키(Mediawiki) 전자문서 작성 실습 실습
06주차 04주차 04/08 디지털 인문학 연구 Review 1 : Archive & Database 발표와 토론
07주차 05주차 04/15 디지털 인문학 연구 Review 2 : Mapping & Network[2] 발표와 토론
08주차 06주차 04/22 디지털 인문학 연구 Review 3 : Miscellaneous Visualization 발표와 토론
09주차 07주차 04/29 중간고사 평가
10주차 08주차 05/06 “데이터 모델링과 온톨로지(Ontology)” (PPT) 이론 강의
11주차 09주차 05/13 예제를 통한 데이터 편찬 실습 : 워커힐 호텔과 박정희 실습
12주차 10주차 05/20 데이터 설계: 프로테제(Protege) 활용 이론과 실습
13주차 11주차 05/27 데이터 수집: 웹 크룰링과 웹 스크래핑 이론과 실습
14주차 12주차 06/03 온톨로지 설계 및 데이터 편찬 실습1 : 개별 주제 선택 실습
15주차 13주차 06/10 온톨로지 설계 및 데이터 편찬 실습2 : 개별 주제 선택 실습
16주차 14주차 06/17 온톨로지 설계 및 데이터 편찬 실습 사례 발표 1 발표와 토론
17주차 15주차 06/24 온톨로지 설계 및 데이터 편찬 실습 사례 발표 2 발표와 토론

Report

Research Topics

전반기

후반기

개인 기말과제

  • AB조

데미안 라이스 카를라 브루니 신운뉴욕예술단 브루노 펠티에 안전지대 유키 구라모토 더글라스 케네디 로버트 루트번스타인

정여울 한결 정준일 변진섭 이승환 임태경 김동률 케냐 지라니 어린이합창단 내한공연

레이프 가렛 내한공연 Lief Garrett 허비 행콕 내한 공연 Herbie Hancock 짐 브릭만 내한공연 Jim Brickman

테너 호세 카레라스 내한공연 서울 2009

  • C조

제1회 황순원 문학상 심사평 제2회 황순원 문학상 심사평 제3회 황순원 문학상 심사평 제4회 황순원 문학상 심사평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하게 하는 한국 소설의 얼굴』 제6회 황순원 문학상 심사평 제7회 황순원 문학상 심사평 수상작없음

제9회 황순원 문학상 심사평 강철소리 나는 '생각'의 문체 '깐깐함' 그리고 그 너머 일상성에 대한 새로운 서사적 탐문 이승우의 한 칼

반복과 차이, 혹은 차이와 반복 변모하는, 아직 건재하는 단편 꽃집 여자의 손수건에서 나는 생선 비린내 자기다운 모습이라는 미덕

전도된 기억을 통한 실상의 복원 이야기의 힘, 이야기의 승리 비지배의 자유를 위하여 삶의 비의를 포착하는 문장들 읽기 끔찍했던 소설들

완전하고도 풍성한 고독 반복해 읽기의 즐거움 제13회 황순원 문학상 심사평 제14회 황순원 문학상 심사평 제15회 황순원 문학상 심사평

제16회 황순원 문학상 심사평 제17회 황순원 문학상 심사평 미당문학상 구효서 하성란 황순원 문학상 폐지 김훈『언니의 폐경』 논란 김연수 김영하 수상자에서 심사위원으로 황순원 문학상과 문학 흐름 황순원문학상의역사와논란 백지연 이승우 황순원문학상 운영위원회 문학상 심사 공정성 논란 김윤식 중앙일보

  • D조

거리의 부사 산골아이 기러기 아버지 곡예사 단시삼편 봄싹 단오명절 추억 졸업일 움직이는 성

별과 같이 살다 일월 방가 매일신보 나의 꿈 겨울풍경 잃어버린 사람들 직공생활 1977년

  • E조

삼일공원 서울 사당동 대림아파트 국보위 서울고등학교 홍대 대학로 아트센터 소극장 평안남도 대동군 재경리면 천서리

청량리 신현대아파트 국제시장 서울대병원 장례식장 마주앙 부산 임시 학교 와세다대 문학부 영문과 평양경찰서

본평양역 와세다 제2고등원

  • F조

양주동 김기림 황동규 서정주 류시화 김용성 조해일 이유범 박덕규 김형경 황찬영 박종화

양정길 김동리 백철 박동근 주영섭 김동원 김광섭 원응서

Data Network Practice

Useful Information

How to use Mediawiki

How to create a Data Network

External Website

Footnote

  1. 03.16부터 03.20까지 수강정정기간
  2. 04.15은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일(공휴일)이며, 이로 인해 보강계획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