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학과 빅데이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pattern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 소프트웨어)
(빅데이터와 역사)
 
175번째 줄: 175번째 줄:
  
 
====빅데이터와 역사====
 
====빅데이터와 역사====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25726 역사 데이터 내러티브]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14925 AI 시대 역사학, 컴퓨터 역사학]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14925 AI 시대 역사학, 컴퓨터 역사학]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958527 빅데이터 기반 토픽모델링을 통한 무형문화재 승전무 연구의 지식구조 분석]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958527 빅데이터 기반 토픽모델링을 통한 무형문화재 승전무 연구의 지식구조 분석]
 +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905410 빅데이터 시대의 역사 역사학자를 위한 주요 자료로서 온라인 소셜 미디어]
 +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257096 뉴스 빅데이터를 통한 덕수궁 돌담길의 장소 담론 해석]

2023년 5월 25일 (목) 09:11 기준 최신판

강의목표

① 개인 및 팀별 프로젝트 주제를 스스로 선정한다.

② 텍스트 자료를 데이터화하여 입력, 분석한다.

③ 데이터를 시각화한다.

④ 텍스트 자료를 데이터화하고 시각화하는 방법을 터득함으로써 디지털 방법론이 역사학과 어떻게 접목되는가를 논의한다.

■ 강의 방식: 강의+실습 ① 동아시아의 역사학(강의)

② 한국의 지식체계 성립 과정(강의)

③ 한국의 근대 의식 형성 과정(강의)

④ 데이터 구조화(실습)

■ 주제 발표 및 토론 ① 한국의 근대 의식 형성 과정 추적

② 한국의 근대 의식 형성 과정 데이터화

③ 발표 주제 - 지식체계의 분류 방법 - 역사학의 데이터 구조화 방법 - 한국의 근대 의식 형성

참고문헌

① Alexander von LunenㆍCharles Travis, History and GIS, Springer, 2013.

② 진짜 쓰는 실무 엑셀, 제이펍, 2022.

③ 근대지식과 역사의 발견, 소명출판, 2017.

④ 한국의 근대 형상과 한국학,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20.

⑤ 근대화론과 냉전 지식 체계, 혜안, 2018.

⑥ 사물의 체계, 지식을만드는지식, 2011.

⑦ 근대 담론의 형성과 지식장의 전환, 이화인문과학원, 2017.

⑧ 장성규, 근대적 지식 개념의 형성과 담화 구성 전략 - 근대 지식 개념의 형성-경합-분화, 2019.

⑨ 유석환, 근대 지식문화의 형성에 대한 예비적 고찰-『서우』를 중심으로, 2021.

⑩ 한기형, 동아시아 근대지식의 형성에서 문학과 매체의 역할과 성격, 2014.

⑪ 서광덕, 동북아해역 근대 지식의 형성과정에 대한 연구사 검토 - 서학(西學)의 수용과 한국 근대지(近代知)의 형성을 중심으로, 2019.

사용 소프트웨어

Flourish

한국 지역별 데이터 보여주기

  • Projection map

한국 지명과 좌표(위도, 경도)

대한민국 지도 json

대한민국 행정구역 json

조선 지역별 과거 급제자

  • Scatter graph

한국역대인물데이터

과거 급제한 조상님 검색해 보세요…역대인물들 정보 구축

조선 최다 과거급제 가문은 ‘전주 이씨’

조선후기 文科에 나타난 京鄕 간의 불균형 문제 검토

일제 강점기 일본군 주둔 현황

  • Hierarchy graph

일제강점 말기 ‘조선 주둔 일본군’ 상주사단의 韓人 병력동원 양상과 특징

중일전쟁 이후 조선군의 ‘평양사단’ 증설과 그 의미

조선 유배지

  • Bar chart race
  • Gantt graph
  • Network graph

조선시대 유배인의 현황과 문화자원의 활용-전남지역을 중심으로-

호남유배인의 문헌자료와 문화콘텐츠

조선 왕의 질병

  • Heatmap
  • Survey

음식이 조선왕들의 질병과 사망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조선중기: 조선 제10대 연산군~조선 제18대 현종)

조선시대의 왕실 언간에 나타난 질병 고찰

조선 수군의 질병

  • Line, bar and pie charts

임진왜란기 조선 수군 진영 전염병의 발생 실태와 영향

“어차피 죽는다” 전염병 무서워 탈영…총 맞을 걱정보다 감염 공포

조선 출산율

  • Beeswarm graph
  • Hasn Rosling charter

행장류 자료(資料)를 통해(痛駭) 본 조선시대 양반의 출산과 인구변동

1 김두얼, "행장류 자료를 통해 본 조선시대 양반의 출산과 인구변동" 경제사학회 52 : 3-27, 2012

2 김재진, "한국의 호구와 경제발전" 박영사 1967

3 손병규, "족보의 인구기재 범위 - 1926년경에 작성된 합천이씨의 세 파보를 중심으로 -" 한국고문서학회 28 : 265-298, 2006

4 차명수, "조선후기의 출산력, 사망력 및 인구증가: 네 족보에 나타난 1700~1899년간 생몰 기록을 이용한 연구" 한국인구학회 32 (32): 113-137, 2009

5 김건태, "조선후기의 인구파악 실상과 그 성격" 39 : 2001

6 권내현, "조선후기 입양의 시점과 범위에 대한 분석" 대동문화연구원 (62) : 45-73, 2008

7 우대형, "조선후기 인구압력과 상품작물 및 농촌직물업의 발달" 경제사학회 34 : 3-30, 2003

8 권태환, "조선왕조 인구추정에 관한 일시론" 14 : 1979

9 Tony Michell, "조선시대의 인구변동과 경제사" 18 : 1990

10 이호철, "조선시대의 인구규모추계 2" 3 : 1989

당상관에 해당하는 관직은 정1품인 의정부의 삼의정, 종1품인 좌·우찬성, 정2품인 좌참찬·우참찬·육조의 판서·한성부 판윤·오위도총부(五衛都摠府) 도총관(都摠管), 종2품인 참판·한성부좌윤·우윤·사헌부 대사헌·8도 관찰사·부윤(府尹·중추부(中樞府) 동지사(同知事) 이상, 오위도총부 부총관(副摠管)·오위장(五衛將), 정3품 당상인 참의·사간원 대사간·홍문관 부제학 등 삼사(三司) 장관·승정원 6승지 등이었다. 당상관의 인사는 일반 관료들의 규례와 달리 국왕의 특명으로만 시행되었으며, 여러 가지 특혜가 부여되었다. 
당하관(堂下官)은 조선왕조의 정3품 하계(下階) 이하의 품계를 보유한 관원을 가리킨다. 조정에서 정사를 논의할 때 당(堂) 위에 올라 앉을 수 없는 관직이라는 뜻
당상관·당하관의 경계선이 있는 것과 같이 하급 관료들에게는 참상관(參上官)·참하관(參下官) 또는 참외관(參外官)의 경계선이 있었다. 참상관은 6품 이상의 관원을, 참하관은 7품 이하의 관원을 지칭한다. 참상관이 되어야 수령으로 임명될 수 있었고 중요 정무에 참여할 수 있었다.

조선 무역

  • Chord diagram
  • bubble chart

조선후기 조선・일본의 동남아시아 산물 교역

외교 무대 뒤의 은밀한 물품 거래 -1811년 조선, 일본, 쓰시마-

수우각

조선 붕당

호남 사림

조선 독립군 단체

봉오동 전투

빅데이터와 역사

역사 데이터 내러티브

AI 시대 역사학, 컴퓨터 역사학

빅데이터 기반 토픽모델링을 통한 무형문화재 승전무 연구의 지식구조 분석

빅데이터 시대의 역사 역사학자를 위한 주요 자료로서 온라인 소셜 미디어

뉴스 빅데이터를 통한 덕수궁 돌담길의 장소 담론 해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