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 타임머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pattern
이동: 둘러보기, 검색
(블렌더 단축키)
(블렌더 단축키)
35번째 줄: 35번째 줄:
 
6. ctrl+alt+Q = 네 개의 창(TOP. FRONT, LEFT. USER)을 한꺼번에 보기 (원상 복구도 같은 조합으로 누르기) <br>
 
6. ctrl+alt+Q = 네 개의 창(TOP. FRONT, LEFT. USER)을 한꺼번에 보기 (원상 복구도 같은 조합으로 누르기) <br>
 
6. ~ 물결 표시(tilde key): 뷰포트 방향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가 동그랗게 나타남<br>
 
6. ~ 물결 표시(tilde key): 뷰포트 방향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가 동그랗게 나타남<br>
7. 숫자 패트에서 7과 ctrl: 아래서 위를 바라보는 관점<br>
+
7. 숫자 패드에서 7과 ctrl: 아래서 위를 바라보는 관점<br>
8. 숫자 패트에서 1과 ctrl: 뒷쪽에서 바라보는 관점<br>
+
8. 숫자 패드에서 1과 ctrl: 뒷쪽에서 바라보는 관점<br>
9. 숫자 패트에서 3과 ctrl: 왼쪽에서 바라보는 관점<br>
+
9. 숫자 패드에서 3과 ctrl: 왼쪽에서 바라보는 관점<br>
10. 두 개의 오브젝트가 정확히 겹쳐있을 때 하나만 고르는 방법: alt + 클릭
+
10. 숫자 패드에서 9: 현재 방향의 정반대 방향 관점<br>
 +
11. 숫자 패드에서 8, 4, 6, 2: 위, 아래, 왼, 오른쪽 15도씩 회전함<br>
 +
12. 숫자 패드에서 .(마침표): 오브젝트를 화면에 딱 맞게 정렬함<br>
 +
13. 숫자 패드에서 +, -: 뷰포트의 오브젝트를 줌인, 줌아웃<br>
 +
14. G: 이동<br>
 +
15. G+XYZ+숫자: XYZ로 숫자(m)만큼 이동함<br>
 +
16. R: 회전<br>
 +
17. S:확대<br>
 +
18. shift+D: 복사<br>
 +
19. shift+A: 복사 (단, 복사된 오브젝트도 함께 수정됨)<br>
 +
20. A: 전체 선택<br>
 +
21. alt+A: 전체 해제<br>
 +
22. shift+A: 오브젝트 생성<br>
 +
23. esc: 현재 작업 취소 (일부 기능 예외)<br>
 +
24. ctrl+z 이전 단계로 되돌리기<br>
 +
25. ctrl+S: 저장<br>
 +
26. N: 오브젝트의 속성창<br>
 +
27. tab누르고 편집 모드에서 키보드 쪽 1, 2, 3: 점, 선, 면 모드<br>
 +
28. tab누르고 편집 모드에서 E: extrude (돌출 시키기)<br>
 +
29. tab누르고 편집 모드에서 I: Inset(삽입)<br>
 +
30. shift+마우스 이동: 전체 화면 이동<br>
 +
31. 두 개의 오브젝트가 정확히 겹쳐있을 때 하나만 고르는 방법: alt + 클릭<br>
  
 
==[https://www.lafent.com/mbweb/news/view.html?news_id=108411 조경]==
 
==[https://www.lafent.com/mbweb/news/view.html?news_id=108411 조경]==

2022년 3월 24일 (목) 17:32 판

목차

과거의 사료를 보고 과거의 삶의 흔적을 현대의 기술로 구현해보는 수업입니다

  • 강의 장소: 사회과학/경영관 L432 (L) 공용컴퓨터실
  • 강의 시간: 금 2.0-4.5

사례 연구

유럽연합 프로젝트

FAU

드레스덴 대학교

유럽의 사례

성경 연구

역사 복원

문화재 복원, 사라지는 역사를 과학기술이 복원한다

성공한 조선 사대부 일생…회화 '평생도' 디지털 복원

과학으로 역사복원 문화재보존과학센터 유기물팀

역사/문화 복원|청계천

역사 재현

SK텔레콤, 5G로 600년 전 조선시대를 재현하다

역사 상상

역사 데이터 내러티브

AI 메타버스 타임머신 타고 역사 속 인물 만난다

3D 모델링 블렌더

블렌더

블렌더가 건축 시각화를 위해 필수적인가요?

건축평면도 3D로 구현하기

블렌더 단축키

1. Tab: 편집모드 전환하기
2. /(slash): 오브젝트 여러 개 중에서 하나만 선택하기 (원상복구도 같은 조합으로 누르기)
3. 숫자 패드에서 1, 3, 7은 각각 x, y, z 관점에서 보이는 뷰
4. 숫자 패드에서 0: 카메라 뷰
5. 숫자 패트에서 5: 원근 관점 뷰
6. ctrl+alt+Q = 네 개의 창(TOP. FRONT, LEFT. USER)을 한꺼번에 보기 (원상 복구도 같은 조합으로 누르기)
6. ~ 물결 표시(tilde key): 뷰포트 방향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가 동그랗게 나타남
7. 숫자 패드에서 7과 ctrl: 아래서 위를 바라보는 관점
8. 숫자 패드에서 1과 ctrl: 뒷쪽에서 바라보는 관점
9. 숫자 패드에서 3과 ctrl: 왼쪽에서 바라보는 관점
10. 숫자 패드에서 9: 현재 방향의 정반대 방향 관점
11. 숫자 패드에서 8, 4, 6, 2: 위, 아래, 왼, 오른쪽 15도씩 회전함
12. 숫자 패드에서 .(마침표): 오브젝트를 화면에 딱 맞게 정렬함
13. 숫자 패드에서 +, -: 뷰포트의 오브젝트를 줌인, 줌아웃
14. G: 이동
15. G+XYZ+숫자: XYZ로 숫자(m)만큼 이동함
16. R: 회전
17. S:확대
18. shift+D: 복사
19. shift+A: 복사 (단, 복사된 오브젝트도 함께 수정됨)
20. A: 전체 선택
21. alt+A: 전체 해제
22. shift+A: 오브젝트 생성
23. esc: 현재 작업 취소 (일부 기능 예외)
24. ctrl+z 이전 단계로 되돌리기
25. ctrl+S: 저장
26. N: 오브젝트의 속성창
27. tab누르고 편집 모드에서 키보드 쪽 1, 2, 3: 점, 선, 면 모드
28. tab누르고 편집 모드에서 E: extrude (돌출 시키기)
29. tab누르고 편집 모드에서 I: Inset(삽입)
30. shift+마우스 이동: 전체 화면 이동
31. 두 개의 오브젝트가 정확히 겹쳐있을 때 하나만 고르는 방법: alt + 클릭

조경

한국 전통 정원, 바로 알고 즐기자

소쇄원

소쇄원 바깥

초간정

초간정

조선 민간 도서관

宛委閣의 전적수집과 문화적 의미에 대한 고찰

완위각, 어떤 책이 얼마나 장서돼 있었을까

완위각(만권루)

담헌 이하곤 선생의 고택, 조선시대 4대 장서각

대장간

그러나 전반적인 형태는 초가 형태의 개방된 건물 + 외부의 용광로? 가 함께 있는 모습으로 구상하고 있습니다. 건물이 개방되어 있을 것이라 벽은 3면이고 문은 따로 없을 것 같습니다. 1번벽은 집게 등을 걸어놓는 공간, 2번벽은 화로, 3번벽은 단조를 위한 모루 등이 있는 공간으로 구상하고 있습니다. 글고 가운데에는 철 덩이의 모양을 잡는 받침을 놓고 싶습니다! 산청 단성 대장간, 홍성 대교 대장간, 창녕 남지 대장간의 모습을 참고

박혁거세와 알, 우물

울산 1000년 모항

아관파천의 현장 공개, 러시아 공사관

춘향이 방, 월매집, 부용당

스케치업과 웹툰

스케치업과 무료배경

브이월드

브이월드, 3D모델 활용한 경관분석 등 신사업 창출

브이월드 3D 모델링 공모전

브이월드를 활용한 Photogrammetry 3차원 공간모델 재구성과 도시 3D 콘텐츠로의 이용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