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사례-말레이시아-이포

mokpo
Lyndsey (토론 | 기여)님의 2021년 6월 18일 (금) 15:31 판 (논문)
이동: 둘러보기, 검색

지역 소개

  • 지명 : Ipoh(페락주의 주도)
  • 인구 : 657,892(말레시아의 4번째 큰 도시)
  • 면적 : 643km2
  • 인구 밀도 : 1,023/km2
  • 인구 통계 : 중국인 - 44% , 부미푸트라인(말레시아 원주민) - 39%, 인도인 - 14%, 기타 - 3%

원래 작은 마을이었던 이포는 1880년대에 주변 킨타천(Kinta River) 분지에서 거대한 양의 주석 퇴적물이 발견되면서 빠르게 성장하기 시작했다. 1892년에 대화재로 마을의 절반 이상이 소실되면서 이포를 보다 체계적으로 도시 재개발할 기회가 되었다. 이 지역에서 크게 성공한 하카 출신 광부 Yau Tet Shin은 1905년과 1914년 사이에 킨타천 건너편으로 마을을 확장했다. 1908년까지 그는 이포의 신도시에 216채의 집을 지었다. 이포는 이후 1920년대와 1930년대에 제2의 양철광업 붐의 결과로 빠르게 성장하였다. 당시 말레시아가 영국 식민지여서 많은 서양식 건물들이 건립되었으며 중국인을 비록한 많은 사람들이 이포로 들어오면서 다문화도시가 되었다. 1941년 12월 15일에 일제가 쳐들어와서 일본의 식민지가 되었다. 일제시대 때 페락주의 주도가 되었고 1942년 3월부터 1912년에 건립된 남성 기독교 학교인 '성 미카엘 학당(St. Michael's Institution)이 페락주에 있는 일본 행정부의 본부가 되었다. 해방 이후 이포가 페락의 주도로 남았다. 그러나 1970년대 주석 퇴적물 고갈과 주석 가격 폭락으로 수십 년 동안 쇠퇴와 방치를 겪었다. 최근 10년 동안, 영국 식민지 시대의 건축물을 보존하기 위한 노력으로 관광지로서의 이포의 인기는 크게 높아졌다. 이 도시는 또한 음식으로 잘 알려져 있고 석회암 언덕과 불교 사찰이 세워진 동굴과 같은 자연 명소로도 잘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이포는 말레이시아에서 가장 깨끗한 도시 중 하나로 유명하다.

사례

건축물 예시

이포의 근대건축물은 이포역 앞에 있는 Old Town 지역(약 2km2)에 주로 위치하고 있다. 이 동네에서 아래에 있는 주요 건축물 외에도 20세기 초반 소규모 2층 건물들이 많이 남아 있는 것으로 보아 식당, 가계, 카페 등의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목포처럼 은행, 학교, 회관, 상업시설, 종교시설 등이 많습니다.

  • Ipoh Railway Station(1917년) - 건축가 A.B. Hubback
  • Birch Memorial Clock Tower(1909년) - 페락주의 첫 주민 J.W.W. Birch의 기념 시계탑
  • Ipoh Town Hall(1916년) - 건축가 A.B. Hubback; 신고전주의의적 디자인; 전 우체국 건물
  • HSBC Bank Building(1931년) - 독립까지 제일 높았던 건물
  • Chung Thye Phin Building(Arlene House) (1909년) - 건축가 Chung Thye Phin (페락주의 마지막 중국인 카피탄)
  • St. Michael's Institution(1912년) - 서양 기독교 학교; 일제시대 때 일제 행정부 건물로 사용되었다.
  • Han Chin Pet Soo Building(1929년) - 광부회로 설립되었다가 현재 말레시아의 첫 하카 주석 광산 박물관으로 활용되고 있다.
  • F.M.S. Bar & Restaurant(1923년) - 1906년에 하이난 이민자가 설립한 식당이며 말레시아의 제일 오래된 식당으로 알려져 있다.
  • S.P.H De Sila Building(1900년 경) - 이포의 제일 오래된 상업적 건물 중에 하나이며 트로피, 방패,메달 등을 만들어 팔았다.
  • Straits Trading Building(OCBC)(1907년) - 이탈리아 레네상스 양식; 광부들한데 주석을 구입하였으며 환금기 때 페락주의 주석 판매 2분의1을 담당한 회사.
  • The Chartered Bank(1924년) - 이포 지점은 1902년에 설립하였다. Straits Trading Company와 Eastern Smelting Company에게 신용을 제공해주었다.
  • Mercantile Bank(1931년) - 아트데코 양식; 인도의 은행건물로 사용되었다.
  • Perak Hydro Building(1930년대) - 1926년에 킨타분지의 광업소와 준설사업을 위한 정력을 제공하는 기관
  • Jan Sahib's Office(1930년대) - 여러 상업 건물 중 하나; Town Padang Mosque를 설립한 사람의 아들의 사무실. 빵집 사업을 했다.
  • Mikasa Photo Shop(1911년 이전) - 이 사진관에서 일했던 일본 간첩이 말레시아에 대한 정보를 일제에게 보냈다.
  • Concubine Lane(1900년 경) - 이 거리에 있는 건물들은 아편과 도박, 창가로 유명했다. 나중에 중국인 부자들의 첩들이 많이 살았다고 했던 주택지로 바꿨다.

지도를 불러오는 중...

활용 사례

Northern Corridor Implementation Authority

말레시아의 북쪽 주들의 경제발을 추진하기 위해 설립된 '북지역 실행 기관(NCIA)'의 이포를 위한 전략적 관광 개발 계획 (시기는 미정확함) [1]

  • Sound and lighting along 24 heritage buildings and at Ipoh Padang
  • Upgrading of Ipoh Townhall and the Old Post office and a Performing Art Centre and Digital Art Gallery
  • Upgrading of Kinta Riverfront and Ipoh-Fukuoka Japanese Garden

홍보 사례

참고 자료

홍보물

기사

논문

  • ["The Perak Development Experience: The Way Forward," Azham Md. Ali,
International Journal of Academic Research in Business and Social Sciences, December 2013, Vol. 3, No. 12

기타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