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문화자산 활용 사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mokpo
이동: 둘러보기, 검색
(미시간주 디트로이트시)
(사례 사진)
316번째 줄: 316번째 줄:
 
! 이름 || 건립 연도 || 설명 || 사진
 
! 이름 || 건립 연도 || 설명 || 사진
 
|-
 
|-
| Fitzgerald Revitalization Project || || || <html><img src="" alt="" width="250" /></html></br><ref>0</ref>
+
| Fitzgerald Revitalization Project || 2018~2021년 || 주소 : 16625 Prairie St. </br>엘라피츠제럴드공원 주변에 있는 동네의 폐가, 빈터를 100채를 시에서 구입한 후 개발업체에게 판매하여, 개발 업체가 정비한 후 저렴하게 파는 사업. 결국엔 100채 중 12채만 정비해서 주민들이 실망했으나 부동산가치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고 동네에 대한 투자 관심을 끌었다. || <html><img src="" alt="" width="250" /></html></br><ref>0</ref>
 
|-
 
|-
 
| Ransom Gillis House || 1876년~1878년 || 주소 : 205 Alfred Street</br>1960년대부터 방치되었다가 2015년에 복원되었다. Quicken Loans 회사가 지원했다. 건물을 재정비하여 다세대가 거주 가능한 빌라(duplex)로 정비하였다. 복원 관정이 유명한 티비프로그램의 특집을 통해 널리 알리게 되었다. || <html><img src="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f/fe/Ransomgillishouse1876.jpg" alt="" width="250" /></html></br>1879년(건립 당시)</br><html><img src="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a/aa/Ransomgillishouse2005.jpg/500px-Ransomgillishouse2005.jpg" alt="" width="250" /></html></br>2005년(복원전)</br><html><img src="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e/e6/Ransom_Gillis_House_Front.jpg/500px-Ransom_Gillis_House_Front.jpg" alt="" width="250" /></html></br>2015년(복원후)</br><ref>https://en.wikipedia.org/wiki/Ransom_Gillis_House</ref>
 
| Ransom Gillis House || 1876년~1878년 || 주소 : 205 Alfred Street</br>1960년대부터 방치되었다가 2015년에 복원되었다. Quicken Loans 회사가 지원했다. 건물을 재정비하여 다세대가 거주 가능한 빌라(duplex)로 정비하였다. 복원 관정이 유명한 티비프로그램의 특집을 통해 널리 알리게 되었다. || <html><img src="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f/fe/Ransomgillishouse1876.jpg" alt="" width="250" /></html></br>1879년(건립 당시)</br><html><img src="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a/aa/Ransomgillishouse2005.jpg/500px-Ransomgillishouse2005.jpg" alt="" width="250" /></html></br>2005년(복원전)</br><html><img src="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e/e6/Ransom_Gillis_House_Front.jpg/500px-Ransom_Gillis_House_Front.jpg" alt="" width="250" /></html></br>2015년(복원후)</br><ref>https://en.wikipedia.org/wiki/Ransom_Gillis_House</ref>

2021년 8월 25일 (수) 14:38 판

목포 근대문화자산 활용 방안 제시를 위한 조사 연구

본 연구(「목포 근대역사문화공간 근대문화자산 아카이브 구축 연구」)를 통해 조사한 목포시의 근대문화자산이 어떤 성격의 문화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전략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해외의 유사 활용 사례를 조사하고 이로부터 얻은 시사점을 전략 제안에 반영한다.

  • 대상 지역 소개
  • 건축물 예시
  • 활용 사례

사전 연구

해외 사례

일본

나가사키

개요 2–22 Sakura-machi, Nagasaki-shi, Nagasaki-ken, 850-8685, Japan
요약 인구 406,313명
면적: 405.86k㎡
인구밀도:1,001k㎡
인구 통계: 일본인-99.2%, 중국인-0.2 %, 한국인-0.08%, 필리핀-0.08%(令和2年 기준 외국인 총 인구 3,163명 중 991명이 중국인, 330명이 한국인, 329명이 필리핀)
배경
  • 쇄국 체제였던 에도 시대, 막부가 공인한 일본 내 유일한 국제 무역항인 데지마가 존재했던 곳, 이국적인 정서가 넘치는 항구 도시로 네덜란드, 영국 등 서양문물 유입과 그 습합이 빠르게 진행됨.
  • 역사적 경위로 인해 천주교도의 수가 상대적으로 많아 종교시설과 관련하여 상당한 근대 건축문화유산이 잔존.
  • 원폭 투하로 인해 히로시마와 함께 방사능으로 피폭된 도시였음.
  • 미쓰비시 중공업 나가사키 조선소, 미쓰비시 전기 등의 공장이 집중해 미쓰비시의 기업 도시로 불림.
문제
  • 건물 철거보다 근대 건축물 지정을 통한 건물 유지를 지향하지만 주로 전시실 용도로 활용되거나, 문화재 지정 후 방치함.
목포와의 유사점
  • 항구도시, 근대 건축물이 잔존해있음
  • 방치되고 노후된 건물이 다수 있음
  • 보행자 도로 재정비 및 마을 구획 정리가 필요
정책 및 사업 요약
  • 유니버설 디자인 추진, 관광 홈페이지 제작 및 숙박 사업자들 간의 연수회 실시
  • 환경미화 추진, 꽃이 있는 마을 조성
  • 교통 접근성 향상을 위한 정비·내실화, 규슈 신칸센, 니시큐슈 루트 건설 촉진
  • 「메이지 일본의 산업 혁명 유산」「나가사키의 교회 군과 기독교 관련 유산」: 나가사키 랜턴 페스티벌, 크리스마에 맞춰 성당, 글로버가든, 물가와 숲에서 일루미네이션 프로그램 진행
  • 나가사키 장애인 추진 협의회와의 연계: 관광 시설 숙박 시설 대응
  • 종합 관광 안내소의 무선 LAN 환경의 정비, 안내판 다국어 표기
  • “아시아 국제 관광 전략” 확립, 외국인 총 숙박자수를 60만명까지 증가시키는 것을 목표로 함.
  • 한국형 스마트폰 어플 도입, 관광 정보 발신의 충실
  • 무슬림을 위한 숙박시설과 음식 운영
  • 상가의 면세 매장 확충 및 음식점에서 다국어 메뉴 도입을 촉진
  • MICE 유치, 기업·각종 대회 관계자 및 여행사 등 프로그램 담당자 초빙
  • 관광 고객 계층 확대를 위한 럭셔리 호텔, 상류층을 대상으로 한 고급호텔 확보 추진
  • 관광 동향조사를 정기적으로 실시, 사업 투자 결과 검증 추진
  • 관광 컨벤션 유치 체제 강화를 위한 나가사키 국제 관광 컨벤션 협회 기획 및 민간기업 영입
  • 관광 안내 체제에 충실한 4개국어 안내판 정비
  • 데지마(나가사키의 인공섬. 네덜란드 무역항)건물의 복원 및 민간시설으로 활용할 기회 제공
  • 나가사키 역사지구 관광코스 설정
  • 지역 역사학교 창설을 위한 기획
  • 항구를 활용한 크루즈 축제 개최
  • 합병한 지구의 관광자원을 끌어와서 활용
  • 역사지구를 걸으며 야경을 관광하는 캠페인 추진 및 일루미네이션 시설 정비
효과 긍정적
  • 나가사키시 2012년 관광 소비액은 1,154억, 해당 시의 총 생산액(GDP) 1.5조엔의 약 7.7 %에 해당하며 2015 년에는 1,973 만 7천명의 방일 외국인을 갱신함.
  • 근대시기 국제적인 항구도시로 기능한 나가사키는 440년 이상의 서양문물 유입 역사를 지닌 근대 건축 문화유산이 근대 거리 지구에 잔존해 있고, 그곳이 내·외국민의 소비를 촉진하는 관광사업공간으로 활용됨.
  • 일루미네이션 사업 진행은 나가사키 특유의 지형을 고려해 경사지고 비탈길이 많은 자연환경을 활용, 시가지의 입체적인 야경을 조성함.
  • 개인이 홀로 여행하기 적합한 컴팩트 사이즈의 관광 지구 조성


부정적
  • 도시 브랜드 미확립으로 인해 해외에서 관광 도시로서의 인지도가 낮음
  • 시민의 아웃바운드가 적은 탓에 나가사키 공항의 국제선 편수가 적고, 그 대체로 후쿠오카 공항을 활용하는 데에 한계가 있음.
  • 중국 크루즈 관광 증가로 인해 나가사키 유입 관광객이 늘었으나, 면세점과 호텔이 부족함.
  • 국제 관계의 악화에 따라 몇몇 크루즈 여객선 기항이 감소, 기획 축제가 오히려 적자가 남
  • 세계 유산의 보전 유지 비용의 재정 부담 증가
  • 성수기의 숙박 시설과 전세 버스 부족으로 인해 주변 지역으로부터 관광객 유입이 어려움.
  • 시민 자원봉사 가이드의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한편, 젊은 계층의 현지 정착률이 낮고 성비가 매우 불균등하여 실험적인 사업 진행에 제약이 있음.
  • 저출산 고령화의 진행에 따른 농업 어업의 담당자 부족으로 인한 관광사업의 유실
  • 전염병(코로나)에 대응한 1인 여행 프로그램 미비
  • 국내 인구 감소에 따른 국내 여행 수요와 소비의 감소

지도를 불러오는 중...


사례 사진

식민지 시대의 대형 건물

이름 문화재 지정일 설명 사진
오우라 천주당(大浦天主堂) 昭和28年3月31日 에도막부 말기 개국에 따라 조성된 나가사키 거류지 중 재류 외국인을 위해 건설된 국내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교회당이다.(長崎市南山手町5番3号)

오우라 천주당[1]

시쯔쿄 교회당(出津教会堂) 平成23年11月29日 메이지 15년(1882)에 드로 신부와 공사 감리가 설계하여 건축되었다.이후 메이지 24년(1891)에 안쪽으로 예배부를 확장하고, 메이지 42년(1909)에는 현관과 그 위의 종탑, 첨탑을 증축하여 현재의 교회 형태를 갖추었다.(長崎市西出津町2602番地)

시쯔쿄 교회당[2]

오오노 교회당(大野教会堂) 平成20年6月9日 메이지 12년(1879) 주임 사제로 부임한 드로 신부는 현지 포교와 복지에 큰 공헌을 했는데,오오노 교회당은 이 신부가 메이지 26년(1893)에 건설한 소규모의 교회이다. (長崎市下大野町2619番地)

오오노 교회당[3]

중국

푸젠(福建)성 샤먼(廈門)시 구랑위(鼓浪嶼)

구랑위교통
개요
  • 구랑위(鼓浪嶼)는 푸젠(福建)성 샤먼(廈門)시를 마주하고 있는 주룽(九龍) 강 하안의 작은 섬
  • 19세기 유럽풍의 건물들이 남아 있어 “만국건축박물관”, "지붕없는 박물관"으로 불리며 국가 5A급 풍구임
  • 샤먼은 아편전쟁을 계기로 강제 개항되었으며 영국, 프랑스 등 서구 열강들이 대거 진출했던 아픈 역사를 품고 있음.
  • 구랑위의 고유의 자연경관과 외국풍의 영사관저의 터로, 1900년대 초부터 외국인들이 많이 살았음.
요약
  • 인구 : 15373
  • 면적 : 209km²
  • 인구 밀도 : 약 9836인/km²(2020.2)
  • 인구 통계
  • 교통 : 터미널- 페리이동 (120cm 이하는 무료 성인 5위완 정도) /시간 15분 정도/ 피아노부두는 하문 시민들만 가능. /차량통제,지정전기차 외 전부 금지 자전거도 불가
배경
  • 1843년 샤먼이 개항되었고 1903년에 구랑위가 국제 조계로 정해짐
  • 중국과 외국 간의 중요한 교역 창구로 됨
  • ‘구랑위 공공조계(鼓浪嶼 公共租界)’는 이러한 국제적 교류가 낳은 문화적 융합을 보여주는 매우 특별한 사례이며 지금도 잘 보존되고 있음
  • 전통적인 중국 남부의 푸젠(福建) 양식 건축, 서구 신고전주의 양식(classical revival style)의 건축, 베란다 콜로니얼 건축 양식(Veranda Colonial Style, 서구의 건축 양식을 따르되 고온다습한 아시아의 현지 기후에 적응하여 변형 및 추가한 ‘베란다’가 있는 건축양식) 등을 포함하여 여러 가지 건축 양식이 혼재되어 있음
  • 931곳의 제각기 다른 본토 및 국제 스타일의 역사 건물, 원림, 자연경관을 보유한 구랑위는 현대인의 거주 이념과 현지 전통문화와의 융합을 보여줌
문제
  • 본적을 가진 젊은층들은 구랑위를 떠나는 추세임
  • 노령화가 심하며 상주인구 60세 이상 인구가 19.79%를 차지함
  • 여행객이 너무 많이 몰림 (2017 년 6월 30일 실행- 방문객 5만명 이하로 제한)
목포와의 유사점
  • 식민지 역사
  • 근대시대 신도시
  • 급속한 경제적 발전
  • 개항시기 대형 건물(은행, 교회 등)이 남아있음
  • 근대 상가 건물이 남아있음
  • 젊은 시민들의 공부 및 취직을 위한 도시 이탈
정책 및 사업 요약
  • 2003년 구역 조정과 함께 특별경제구역을 취소함과 동시에 관리위원회(万石山风景名胜区管委会) 발족
  • 2005년, 10개의 가도로 분할관리
  • 2008년에 구랑위 세계 문화 유산 선언 작업 시작
  • 2012년에 중국의 세계 문화 유산 준비 목록에 등재되어
  • 2014년 5월에 구 구랑위 신청사를 하문시 지구에 배치
  • 2016년에 1월 유네스코에 정식적으로 신청
  • 2017년 7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


    구랑위관리위원회는 2003년 10월 18일에 설립되었으며 하문시 정부 기관으로서, 주로 구랑위 - 완시산 경관 지역 계획, 보호, 건설 및 관리를 담당하였으며 CMC에는 사무실, 마케팅 사무소, 기획 사무실, 관리 사무실, 재무 부서, 무노하 유산 보호 사무국 등 6개 기능 부서가 있음


    - 사무실 : 당위원회와 CMC의 일상적인 업무 및 관리를 책임지고 당의 건물, 조직, 인사, 기밀 유지, 영적 문명, 기타 관리
    - 마케팅 사무소 명승지의 경제발전, 관광 기획의 수립, 관광 시장 운영 및 명승 문화 산업의 발전, 문화 브랜드 홍보 등
    - 기획실: 구랑위 경관 보호구의 보호 관리, 마스터 플랜 등 명승지 상세 계획 수립 , 관련 주 규정 및 일반 계획 요구 사항에 따라 건설 승인, 입찰, 품질 감독 등
    관리 사무소: 구랑위 스트레이트 공공 주택 및 개인 주택 관리 감독, 명승지 건설 감독 및 명승지의 생산 안전 감독 관리, 법령에 따른 법률 및 규정, 정책 및 업무 담당
    금융 서비스: 국가 세수입 법, 규정 및 지침, 정책 수행, 재정 자원 사용에 대한 규제 및 감독, 각 부서의 재무 감사, 예산 조정, 승인 및 사후 평가 작업
    웬 바오 바오: 세계 문화 유산 보호에 관련 법률 및 규정의 선전 및 시행, 문화 유산 보호 계획, 문화 유산에 관한 계획 검토 의견의 발행, 문화 유산 조사 및 연구, 데이터베이스 구축, 문화유산 보호 및 이용 관련 조항 연구 등

  • 효과 긍정적
    • 정보공개로 QR코드 쉽게 접근
    • 2014년부터 여행객 방문 경제지표 업로드
      경제지표QR코드

    부정적
    • 가도(사구)관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따로 조직위원회가 구성된 것에 대한 시민들의 의구심
    • 조직위원회의 부정부패의 사건


    지도를 불러오는 중...



    사례 사진
    이름 건립연도 설명 사진
    美国领事馆旧址 1930년 주소:三明路26号 호텔로 사용 美国领事馆旧址.jpg
    일본영사관터(日本领事馆旧址) 1928년 주소:鹿礁路26号
    • 구 일본영사관 터는 루쟈오(鹿礁)로24, 26, 28호에 위치하며, 구터는 영사관과 경찰청을 포함한 3개의 건물로 이루어져 있음
    • 1874년, 일본 정부는 "대만총독"건설을 준비하기 위해 육군소좌(陆军少佐)를 파견하였으며 사무실은 잠시 일본이 구랑위에 개설한 야마토클럽(大和俱乐部)에 설치함
    • 1896년 3월, 일본 영사관은 공식적으로 루쟈오로에 건물을 짓기로 하고 1898년에 준공됨
    • 1915년, 일본영사관은 관내에 경찰서를 설립함
    • 1928년, 일본 영사관은 건물 오른쪽에 고문실과 감옥이 있는 경찰 본부 역할을 하기 위해 두 개의 추가 건물을지었으며 1928년부터 1945년까지 수많은 애국지사와 무고한 사람들이 경찰서 지하 감옥에 수감됨


    • 건축특징
      지상2층, 지하1층으로 면적은 2930m².벽돌 나무 구조에 현관식으로 되었으며 영국 빅토리아 시대 별장 건축을 모방한 현관 스타일을 하고 있는 아치형 넓은 복도식. 벽면은 화강암 돌담이고, 붉은 벽돌구조임.
      보호범위
      북측 루쟈오로를 경계로 동,서방향으로 12m, 인접한 건축물들은 보호범위에 포함, 남측은 천주당보호범위로 포함됨
      보호요점
      -엄격하게 건축의 본 모습 및 부속시설을 보존해야 함. 문물유지보수시, 엄격하게 본 모습을 파괴하지 않는 원칙을 지킴. 일정한 요건에 도달하면 추가 공사를 진행한 가건물들을 철거함


    -건물주변의 신축건물에 대한 제도를 마련하고 건축물들의 전체적인 경관유지와 주변녹화에 주목

    日本领事馆旧址.jpg
    汇丰银行旧址ll 1910년-1920 주소:鼓新路57号 汇丰银行旧址.jpg
    天主堂 1917년 주소:鹿礁路34号 天主堂.jpg
    三一堂 1934-45년 주소:笔山洞口 三一堂.jpg
    安献楼 1934년 주소:鸡山路18号 安献楼.jpg
    八卦楼 1907년 주소:鼓新路43号 샤먼시박물관, 피아노박물관으로 사용 八卦楼.jpg
    瞰青别墅(含西林别墅) 1918년 경 주소:永春路72号、73号 정성공기념관으로 활용 瞰青别墅.jpg
    亦足山庄 1919년 주소:笔山路9号 亦足山庄.jpg
    菽庄花园 1913년 주소:西南部海滨 菽庄花园.jpg

    동남아시아

    말레시아 페락주 이포시

    개요 Ipoh, Perak, Malaysia
    영국, 일본 식민지 역사를 가진, 양철 붐으로 19세기말, 20세기초에 발달된 말레세아 페락주의 주도
    요약 인구 : 657,892(말레이시아의 4번째 큰 도시)
    면적 : 643㎢
    인구 밀도 : 1,023/㎢
    인구 통계 : 중국인 - 44% , 부미푸트라인(말레이시아 원주민) - 39%, 인도인 - 14%, 기타 - 3%
    교통 : 쿠알라룸푸르에서 약 200km / 2~3시간 기차(6천~1만원) / Sultan Azlan Shah 공항(국내외 항공편이 있음)
    배경
    • 1867년에 말레이시아가 영국의 식민지가 됨
    • 1880년대에 주변 킨타천(Kinta River) 분지에서 거대한 양의 주석 퇴적물이 발견
    • 1892년 대화재로 마을의 절반 이상 소실, 이후 보다 체계적인 도시 재개발
    • 이후로 멜레시아의 두번째로 제일 큰 도시, 페락주의 제일 큰 도시가 되었다
    • 하카 출신 광부 Yau Tet Shin이 1905년~1914년 킨타천 건너편으로 마을을 확장
    • 1908년까지 이포의 신도시에 216채의 집을 건설
    • 1920~30년대의 이포에 제2의 양철 광업 붐
    • 중국인을 비롯한 외국인들이 이포로 들어오면서 다문화도시화
    • 1941년 일제의 식민지배 --> 1945년 영국의 식민지배 --> 1963년 독립
    • 1970년대 주석 퇴적물 고갈과 주석 가격 폭락으로 수십년동안 쇠퇴 및 방치됨
    문제
    • 노후되고 방치된 근대시대 건물이 많음
    • 건물 주인의 건물 복원 지식 부족으로 인한 건물 철거
    • 'Brain Drain' - 재능이 있는 젊은 시민들의 공부 및 취직을 위한 도시 이탈
    • 안내표지판, 영어에 능숙한 투어가이드 등이 부족, 대중 교통이 불편함
    • 지저분한 도로
    목포와의 유사점
    • 식민지 역사
    • 근대시대 신도시
    • 급속한 경제적 발전
    • 다문화 도시
    • 식민시대 대형 건물(은행, 학교 등)이 남아있음
    • 근대 상가 건물이 남아있음
    • 방치된 건물이 많음
    • 젊은 시민들의 공부 및 취직을 위한 도시 이탈
    • 노후된 건물 및 지저분한 도로등으로 인한 불편하고 개끗하지 못한 이미지
    근대문화유산 및 도시재생 담당 기관
    • Ipoh City Council(이포시의회)
    • City Planning Department(이포시의회 도시계획부)
    • Tourism Perak(페락주 관광공사)
    • Northern Corridor Implementation Authority(말레시아 4개의 북부 주의 경제 발달 공사)
    • People of Remarkable Talent(이포 예술 행사 등 지원하는 단체)
    정책 및 사업 요약
    • 이포지역계획(Ipoh Local Plan)을 통해 이포주석유산도시(Ipoh Tin Heritage City)를 선정하여 중심지대, 완충지대로 나눠 관리함.
    • 노후된 건물을 철거하거나 정비하라는 행정 명령
    • 개인투자들에 의한 자율적인 건물 리모델링(호텔, 카페, 빵집, 음식점 등) - 젊은이, 건축가, 예술가 등이 주도, '퓨전', '철충적' 분의기 강조
    • 특산물, 맛집 등을 홍보함
    • 외국인 벽화 예술가를 초대하여 일부에 오래된 건물에 벽화를 그림 --> 다른 건물주들도 원해서 현지인들이 벽화를 많이 그리게 됨
    • 녹색 도시 계획을 발표함
    • 차 없는 거리 확장하기, cctv와 전등, 와이파이 설치, 강변 정비 등
    • 이포시청, 구우체국 건물들은 예술문화회관, 디지털예술관으로 정비
    • 비자 발급 완화를 통해 일본인을 비록한 외국인 은퇴자에게 투자 어필
    효과 긍정적
    • 이포 출신의 20대후반, 30대초반 시민들이 귀향하여 카페, 숙박시설, 예술시설등의 사업 시작.
    • 호텔 등의 건물을 정비함으로써 부동산 가격이 상승.
    • 건축물을 보거나 음식을 맛보려는 관광객들의 수가 증가.
    • 외국인 및 현지인의 공공예술물(벽화)을 설치한 후 도시의 이미지가 개선되어 관광객이 증가함.
    • 비위생적인 시설들을 개선.
    • 정부의 개입이 없는 개인 투자도 증가.
    • 예술적 문화 발달되기 시작했다.

    부정적
    • 2014년도에 정부의 개발 계획 발표 이후 시민들이 비판하고 우려했던 문제들이 있었다.
    • 주상복합건물들이 주거가 없는 상업공간으로 바뀌게됨.
    • 건물 정비에만 많은 예산이 지원됨.
    • 부동산 가격 상승으로 인해 본 거주민들이 더 이상 못 살게 되고 경계계층 및 다양성 문제를 악화시킴.
    • 관광과 경제에 집중함으로서 시민의 건강, 안전, 생활의질 등은 고려되지 못하는 점
    • 경제 원리를 바탕으로 한 복원 사업이 역사적 가치, 지역 전통, 자연보호를 무시하는 점.
    • 고령자들에 대한 여론 수렴 및 홍보 부족.
    • 다른 큰 도시를 모방한다는 비판.
    • 관광객이 문화유산보다 여전히 음식(맛집)에만 관심을 보여줌
    • 문화예술을 발달하고 싶지만 이를 위한 종합 계획은 없음

    지도를 불러오는 중...

    사례 사진

    식민지 시대의 대형 건물

    이름 건립 연도 설명 사진
    Ipoh Railway Station 1917년 건축가 A.B. Hubback
    [4]
    Birch Memorial Clock Tower 1909년 페락주의 첫 주민 J.W.W. Birch의 기념 시계탑
    [5]
    Ipoh Town Hall 1916년 건축가 A.B. Hubback, 신고전주의 디자인, 전 우체국 건물
    [6]
    HSBC Bank Building 1931년 1957년 독립까지 제일 높았던 건물
    [7]
    Chung Thye Phin Building (Arlene House) 1909년 건축가 Chung Thye Phin (페락주의 마지막 중국인 카피탄)
    [8]
    St. Michael's Institution 1912년 서양 기독교 학교, 일제시대 때 행정부 건물로 사용되었다.
    [9]
    F.M.S. Bar & Restaurant 1923년 1906년에 하이난 이민자가 설립한 식당이며 말레이시아의 제일 오래된 식당으로 알려져 있다.
    [10]
    S.P.H De Sila Building 1900년 경 이포의 제일 오래된 상업 건물 중에 하나이며 트로피, 방패, 메달 등을 만들어 팔았다.
    [11]
    Straits Trading Building(OCBC) 1907년 이탈리아 르네상스 양식, 광부들로부터 주석을 구입하였으며, 황금기 페락주의 주석 판매 2분의 1을 담당한 회사이다.
    [12]
    The Chartered Bank 1924년 이포 지점은 1902년에 설립되었다. Straits Trading Company와 Eastern Smelting Company에게 신용을 제공해주었다.
    [13]
    Mercantile Bank 1931년 아트데코 양식, 인도의 은행 건물로 사용되었다.
    [14]
    Perak Hydro Building 1930년대 1926년에 킨타분지의 광업소와 준설 사업을 위한 전력을 제공하는 기관
    [15]

    근대시대 Shophouse(상점가옥)

    동남아시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근대식 주상복합건물이다. 1층에 가게 운영 공간과 2층에 가게 주인의 거주 공간이 있는 건물을 의미한다. 여러 건물이 붙어 서로 이어져 있어 상가의 형태가 된다.

    이포에는 상점가옥은 1,022채가 있다.[16] 과도기적(1880~1900년대, 280개-27.7%), 절충식(1890~1930년대, 365개-35.7%), 신고전식(1880-1920년대, 45개-4.4%), 아르데코식(1925~1950년대, 44개-4.3%), 초기 근대식(1940-1970년대, 220개-21.5%), 근대식(1970년대, 68개-6.7%) 등 6개 양식으로 나뉠 수 있다. 기존 건물주가 원래의 가게나 식당 기능을 유지하거나, 투자자나 귀향한 청춘이 구입하여 새로운 카페, 식당, 호텔, 미술갤러리 등으로 정비한다.

    이름 건립 연도 설명 사진
    Han Chin Pet Soo Building 1929년 광부회로 설립되었다가 현재 말레이시아의 첫 하카 주석 광산 박물관으로 활용되고 있다.
    [17]
    Jan Sahib's Office 1930년대 여러 상업 건물 중 하나. Town Padang Mosque 설립자 아들의 사무실. 빵집 사업을 했다.
    [18]
    Mikasa Photo Shop 1911년 이전 이 사진관에서 일했던 일본 간첩이 말레이시아에 대한 정보를 일제에 보냈다.
    [19]
    Concubine (Panglima) Lane 1900년 경 이 거리에 있는 건물들은 아편, 도박, 사창가로 유명했다. 나중에는 중국인 부자들의 첩들이 살았다고 하는 주택지로 바뀌었다.
    [20]
    Residence and Law Office of the Seenivasagam Brothers 1942년 이전 Ipoh Padang 운동장 앞에 위치한 이 거리에는 시니바사감 형제를 비롯한 많은 법무법인들이 위치하였다. 이 형제는 1953년에 진보당이라는 정당을 설립하였다.
    [21]
    Ipoh Kong Heng Coffeeshop 1920년대 원래 중국 오페라 배우들의 호스텔이었으며, 카페 및 식당으로 활용되다가 2012년 건물의 윗층과 뒷면이 독특한 호텔로 정비되었다.
    [22]
    Perak Ku Kong Chow Association 1928년 광동인의 회관으로 건립되었다.
    [23]
    Kin Kwon Daily News 미상 중국어 신문 건물, 신문의 반공주의적 입장으로 인해 1949년 공산주의 테러리스트들의 첫 수류탄 공격의 표적이 되었다.
    [24]

    미국

    미시간주 디트로이트시

    개요 Detroit, Michigan, USA
    자동차 산업으로 20세기 초반에 발달되다가 자동차 산업의 국제화와 교외화, 인종차별 등으로 몰락을 겪은 도시;
    미국의 도시재생 모범 사례로 널리 인정 받는 도시
    요약 인구 : 639,111명
    면적 : 370.08 ㎢
    인구 밀도 : 1,778.92/㎢
    인구 통계 : 백인 14.7%, 흑인 78.3%, 히스패닉 7.7%, 동양인 1.7%
    교통 : Detroit Metropolitan Airport
    배경
    • 미국-캐나다 국경에 위치함
    • 1701년에 프랑스인에 의해 건립
    • 하항(河港)을 가졌으며 오대호의 수운과 철도의 요충지
    • 1903년에 포드자동차회사 설립으로 인해 미국의 자동차 산업이 발달했던 곳
    • 원래 백인만 살던 도시였으나 1910년부터 남부지역의 흑인 대이동으로 인해 흑인 인구가 배로 많아졌다
    • 1920년대부터 1940년대까지 미국의 4번째큰 도시였다
    • 흑인 인종 차별이 심해 1943년에 시민운동 일어난다
    • 1956년에 흑인이 살던 지역 한 가운데에 고속도로가 건설되어 흑인들이 큰 경제적 피해를 입음
    • 1959년에 설립된 모타운 음반 회사를 비롯한 대중음악의 메카가 됨
    • 1950년대부터 백인들이 교외 대이동함
    • 교외화, 국제화된 자동차업, 인종차별적 부동산 법 등으로 수십 년에 걸쳐 엄청난 경제적 쇠퇴와 인구 감소로 인해 몰락되고 범죄, 황폐화가 늘어남
    • 2013년 디트로이트 시정부는 미국 역사상 최대규모의 지자체 파산을 선언했다.
    문제
    • 경제적 쇠퇴 및 인구 감소로 인해 방치된 건물이 많음
    • 20세기의 인종차별적 부동산 정책으로 인해 생긴 낮은 부동산 가치
    • 경제력이 부족하여 치안이 나빠져 도시의 이미지가 나빠졌고 인구가 감소
    목포와의 유사점
    • 20세기 초반에 빠른 경제 발전 및 인구 상승
    • 20세기 중반의 대중음악 중심지
    • 인종차별로 인해 생긴 경제적 피해와 지리적 분리
    • 교외화
    • 경제적 쇠퇴 및 인구 감소
    • 방치된 근대시대 건물이 많음
    근대문화유산 및 도시재생 담당 기관
    • City of Detroit-Housing and Revitalization Department(디트로이트시청 주택활성부)
    • City of Detroit-Department of Innovation and Technology(디트로이트시청 혁신기술부)
    • Preservation Detroit(디트로이트의 역사 유적 보존 단체)
    • Preservation Partnership(저렴한 주택을 보장하고 확장하기 위한 정부-민간 연합)
    • Quicken Loans(부동산 융자 회사) 등과 같은 대형 투자회사, 대기업
    • 그 외 수십여 개의 창업.정비 펀드, 부동산개발 민간 협력 기관
    정책 및 사업 요약
    • 2010년대 후기부터 공공 및 민간 투자가 증가하기 시작함
    • 대기업(마이크로소프트 등)의 지점이 새로 설립되거나 교외에서 도심으로 이전
    • 모타운역사관 확장
    • 대중교통에 투자
    • 동네 단위로 방치된 집 정비 사업
    • 아파트 건설
    • 주상복합 부동산 정비 추진 - 1+5형태(1층에 상가, 2~6층에 주거) 기존 사무용 건물에 소형 아파트가 증가함
    • 2018년에 5년 이내로 10,000채의 저렴한 주택을 보존하고 2,000채의 새로운 주택을 확장하기 위한 '다가족경제적주택계획(Multifamily Affording Housing Strategy)를 추진
    • 소득별로 입주할 수 있는 인구의 제한을 두어 모든 계증의 사람들이 한 동네에서 어느정도 동등한 주거기회를 누릴 수 있게하는 정책
    • 투자자가 개발 가능한 부동산 찾기 위해 부동산 지도 홈페이지(Detroit Development Opportunities) 운영
    • 빈터에 공원, 유기농 농장 개설
    • 국제 다리 건설로 인해 피해 당한 주민들은 다른 동네에 있는 정비된 폐가를 무료로 구입할 수 있게 하는 지원 사업
    • 혁신센터 설립
    • 고등학생, 대학생 등이 참여할 수 있는 사업 인큐베이터 프로그램 설립
    • 역사적 건물에 코워킹공간을 설립
    • 유명 은행, 재단 등이 사업가를 위한 저렴한 대출과 상담 등을 제공한다
    • 자전거 문화 활성화
    • 강변 정비
    • 보존가치가 있는 근대건물들을 홍보
    • 시민 예술가들이 방치된 건물을 활용하여 예술 작품을 제작
    • 시민들이 다양한 축제, 행사 등을 스스로 개발하고 운영
    효과 긍정적
    • 17,000채의 방치된 집을 정비하거나 철거함으로써 부동산 가치 상승
    • 아직 초기이지만 도심활성화 모범사례로 인정을 널리 받고 있는 중
    • 정비나 철거로 인해 방치된 건물 수 감소
    • 20대후반~30대초반 인구 증가중
    • 이민자들의 수가 늘어나 건물 정비, 경제활성화에 큰 기여함
    • 관광객 증가
    • 사업가 지원 펀드가 성공하여 투자자가 증가한다
    • 2015년에 미국의 첫째 UNESCO '디자인의 도시'로 선정됨
  • 2001년 이후로 실업률이 제일 낮음
    부정적
    • 대형 재개발, 사업 중에 투자자가 빠져서 실패한 사례가 있음
    • 방치된 집 정비는 계획보다 오래걸리는 중
    • 개발-정비 계획이 시민과 소통이 부족하다는 비판
    • 시민들의 소득은 아직 낮고 실업률이 높음
    • 몇몇의 외부인 부호가 대다수의 토지를 독점하여 기존 거주민이 소외된다는 비판
  • 지도를 불러오는 중...

    사례 사진
    이름 건립 연도 설명 사진
    Fitzgerald Revitalization Project 2018~2021년 주소 : 16625 Prairie St.
    엘라피츠제럴드공원 주변에 있는 동네의 폐가, 빈터를 100채를 시에서 구입한 후 개발업체에게 판매하여, 개발 업체가 정비한 후 저렴하게 파는 사업. 결국엔 100채 중 12채만 정비해서 주민들이 실망했으나 부동산가치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고 동네에 대한 투자 관심을 끌었다.

    [25]
    Ransom Gillis House 1876년~1878년 주소 : 205 Alfred Street
    1960년대부터 방치되었다가 2015년에 복원되었다. Quicken Loans 회사가 지원했다. 건물을 재정비하여 다세대가 거주 가능한 빌라(duplex)로 정비하였다. 복원 관정이 유명한 티비프로그램의 특집을 통해 널리 알리게 되었다.

    1879년(건립 당시)

    2005년(복원전)

    2015년(복원후)
    [26]
    64 Watson
    [27]
    Erskine Mansion
    [28]
    State Savings Bank
    [29]
    Century Partners
    [30]
    CoAct Building
    [31]
    Henry Glover House
    [32]
    Motown Museum
    [33]

    활용 제안

    참고 자료

    참고 문헌

    말레시아 페락주 이포시

    미국 미시간주 디트로이트시

    유형 제목 연도 작가 제공자 요약 url
    온라인 서비스 Detroit Development Opportunities - - 디트로이트시청 개발 가능한 부동산 찾기 위한 지도 https://detroitmi.gov/webapp/detroit-development-opportunities
    기사 Detroit neighborhood revitalization plan takes shape with youth input 2021 Candice Williams The Detroit News 재개발 계획을 설립하기 위해 젋은 시민들의 의견 모집 관련 https://www.detroitnews.com/story/news/local/detroit-city/2021/05/19/detroit-neighborhood-revitalization-plan-takes-shape-youth-input/5136680001/
    기사 How Detroit Became a Model for Urban Renewal 2019 Peter L. Scher Fortune Magazine 디트로이트가 도시재생 모범 사례가 된 계기 https://fortune.com/2019/01/02/detroit-cities-urban-renewal-innovation/
    보고서 Rethinking Urban Planning in Detroit—and Beyond (Urban Policy 2018) 2018 Peter D. Salins Manhattan Institute 디트로이트의 사례를 소개하는 도시 정책 분석 https://www.manhattan-institute.org/html/urban-policy-2018-rethinking-urban-planning-detroit-and-beyond-11520.html
    아카이브(디지털) Urban Renewal - - RiseUp Detroit 디트로이트의 인종차별적 부동산 정책에 대한 소개 https://riseupdetroit.org/chapters/chapter-3/part-1/urban-renewal/
    기사 Preservation key to Detroit neighborhood's revitalization 2016 David J. Brown Detroit Free Press 근대건물의 보존이 디트로으티의 도시재생의 성공에 중요한 이유 https://www.freep.com/story/opinion/contributors/2016/10/05/preservation-key-detroit-neighborhoods-revitalization/91339992/
    기사 Social media is arguing about how much vacant land is in Detroit — and the number matters 2019 John Gallagher Detroit Free Press 디트로이트의 빈터 수량에 대한 기사 https://www.freep.com/story/money/business/john-gallagher/2019/10/26/detroit-vacant-land/4056467002/
    기관 Preservation Detroit - - - 1975년에 선립한 디트로이트시의 제일 크고 오래된 역사 유적 보존 단체 https://preservationdetroit.org/
    기관 Curbed - Detroit - - Vox Media Vox Media에서 운영되는 디트로이트의 건축물, 동네, 주민사회, 재개발, 보존 등에 대한 전용 뉴스 사업 https://detroit.curbed.com/
    기사 Detroit forms partnership to continue efforts at preserving city’s affordable housing 2020 Aaron Mondry Curbed - Detroit 저렴한 주택을 보장하기 위해 디트로이트시가 연합을 설립하는 것에 대한 글 https://detroit.curbed.com/2020/3/9/21172144/affordable-housing-city-of-detroit-partnership-leverage-fund
    기사 This Detroit Coworking Space Offers A Variety Of Work Zones In A Historic Building 2020 Emma Weckerling Work Design Magazine 역사적 건물을 코워킹공간으로 재활용한 사례 소개하는 글 https://www.workdesign.com/2020/08/co-act-coworking-detroit-historic-building/
    기사 A New Old Space For A Detroit App Developer - Natalie Grasso Cockrell Work Design Magazine 역사적 건물을 코워킹공간으로 재활용한 사례 소개하는 글 https://www.workdesign.com/2014/01/new-old-space-detroit-app-developer/
    기사 Motown revival: Detroit's first steps towards urban renewal 2014 Jennifer Conlin The Guardian 디트로이트의 도시재생의 첫 걸음 - 예술적 사업에 대해 소개하는 글 https://www.theguardian.com/travel/2014/mar/02/detroit-michigan-first-steps-urban-renewal
    보고서 Detroit Industrial Adaptive Reuse Initiative 2019 - SmithGroup 디트로이트의 산업 건물의 재활용을 위해 북미,서유럼 선례 보고서 https://detroitfuturecity.com/wp-content/uploads/2019/05/REPORT-DFC-Detroit-Industrial-Adaptive-Resuse-Initiative-April-2019.pdf
    기사 Sneak Peek: B. Siegel Detroit gears up for August opening 2019 Aaron Mondry Curbed - Detroit 복합 건물의 정비에 대한 글 https://detroit.curbed.com/2019/5/8/18537274/b-siegel-detroit-livernois-avenue-of-fashion
    아카이브(디지털) Historic Detroit - Dan Austin - 2011년에 설립된 디트로이트의 역사적 건축물을 소개하는 아카이브 https://historicdetroit.org/
    기사 12 developments set to transform Detroit 2019 Robin Runyan and Aaron Mondry Curbed - Detroit 디트로이트 개발 계획 12 개를 소개하는 글 https://detroit.curbed.com/maps/biggest-developments-in-detroit-transform
    기사 Detroit’s most ambitious neighborhood project turns two 2019 Aaron Mondry Curbed - Detroit 피츠제랄드 동네 재새 프로젝트 2주년 현황 소개 글 https://detroit.curbed.com/2019/6/13/18677993/fitzgerald-revitalization-project-detroit-fitz-forward
    기사 Ransom Gillis Open House Draws Massive Crowd 2015 Rebecca Golden Curbed - Detroit 랜섬길리스 집 개관에 대한 글 https://detroit.curbed.com/2015/11/2/9905058/ransom-gillis-open-house-quicken-loans-jay-farner
    기사 Rebuilt Detroit mansion selling for $3.3M 2016 JC Reindl Detroit Free Press 랜섬길리스 집이 복원 후 330만 달라 매매 가격에 대한 기사
    기사 Brush Park’s rapid redevelopment, mapped 2019 Robin Runyan and Aaron Mondry Curbed - Detroit 브러시공원 동네의 빠른 재개발에 대한 기사 및 지도 https://detroit.curbed.com/maps/brush-park-development-construction-map
    기사 Detroit Builds a Symbol of Resurgence on Iconic Spot 2017 - Voice of America News 엣날 백화점 자리에 고층 건물 건축 게회, 도심 경제적 여려움에 대한 글 https://www.voanews.com/usa/detroit-builds-symbol-resurgence-iconic-spot
    기사 Detroit: The Most Exciting City in America 2017 Reif Larsen New York Times 디트로이트가 미국에서 가장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나는 도시임을 소개하는 글 https://www.nytimes.com/2017/11/20/travel/detroit-michigan-downtown.html
    기관 Co.act Detroit - - - 비영리, 시민단체를 지원하는 코워킹 공간 https://coactdetroit.org/
    기사 Detroit in ruins 2011 - The Guardian 디트로이트의 방치된 건물을 사진으로 소개하는 기사 https://www.theguardian.com/artanddesign/gallery/2011/jan/02/photography-detroit#/?picture=370173044&index=5
    기사 10 redevelopments that shaped Detroit over the last 10 years 2019 Aaron Mondry Curbed - Detroit 디트로이트에 지난 10년간 유명한 건물 정비-복원 사례 10개를 소개하는 글 https://detroit.curbed.com/2019/11/21/20975850/redevelopments-detroit-decade-david-whitney-shinola-metropolitan
    기사 ‘Mirage Detroit’ in 15 trippy photos 2018 Robin Runyan Curbed - Detroit 옛날 은행 건물(State Savings Bank)를 현대 설치 미술 공간으로 재활용한 사례를 소개하는 글 https://detroit.curbed.com/2018/10/12/17968274/mirage-detroit-photos-art-installation
    기사 Are Immigrants Driving the Motor City? 2017 Ramon Taylor Voice of America News 디트로이트로 이민한 외국인들이 도시재생에 긍정적인 영향에 대한 글 https://www.voanews.com/usa/are-immigrants-driving-motor-city
    기사 Economics of Immigration on Display in Detroit 2017 Ramon Taylor Voice of America News 디트로이트로 이민한 외국인들이 도시재생에 긍정적인 영향에 대한 글 https://www.voanews.com/usa/economics-immigration-display-detroit
    계획안 Multifamily Affordable Housing Strategy 2018 - 디트로이트시청 다가족 경제적 주택 전략 정책 소개하는 브로셔 https://detroitmi.gov/Portals/0/docs/SOTC/Detroit_Multifamily_Affordable_Housing_Strategy_2018.pdf
    기관 Kraemer Design Group - - - 건물 복원-재활용 전문 디트로이트에 있는 건축회사 https://thekraemeredge.com/
    기타 Detroit Labs 2019 - Kraemer Design Group 1920년대 건물을 사무실로 재정비한 사례 소개하는 글 https://thekraemeredge.com/projects-item/detroit-labs/
    기관 Century Partners - - - 방치된 건물을 구입하여 정비하는 건축회사 https://centurypartners.com/
    기사 The Fitzgerald Revitalization Project is winding down. Why did it fall short of expectations? 2021 Aaron Mondry Detour Detroit 피츠제랄드 재생 사업이 기대했던 만큰 성공하지 못한 이유에 대한 글 https://detourdetroiter.com/fitzgerald-revitalization-project-detroit/
    기사 Can’t tell the difference between Detroit’s new apartment buildings? Here’s why 2021 Aaron Mondry Detour Detroit 디트로이트에서 새로 생긴 아파트의 1+5 복합 현태에 대한 글 https://detourdetroiter.com/why-detroit-new-apartment-building-designs-look-similar/
    기사 Held Hostage: How Two Detroit Neighborhoods Fought To Break Developers’ Grip 2021 Violet Ikonomova Deadline Detroit 폐가.빈터의 대규모 매입.정비 사업의 실패 및 주민들의 소외감에 대한 글 https://www.deadlinedetroit.com/articles/27796/held_hostage_two_detroit_neighborhoods_fight_to_break_developers_grip
    기관 Home Swap Program - Bridging Neighborhoods - - 디트로이트시청 - 시장실 국제 다리 건설로 인해 피해 당한 주민들은 다른 동네에 있는 정비된 폐가를 무료로 구입할 수 있게 하는 지원 사업 https://www.deadlinedetroit.com/articles/27796/held_hostage_two_detroit_neighborhoods_fight_to_break_developers_grip

    사진 출처

    1. https://www.city.nagasaki.lg.jp/shimin/190001/192001/p000501.html
    2. https://www.city.nagasaki.lg.jp/shimin/190001/192001/p000602.html
    3. https://www.city.nagasaki.lg.jp/shimin/190001/192001/p000602.html
    4. Ipoh Railway Station, Ipoh Heritage Trail, Ipoh City Council
    5. Birch Memorial, Ipoh Heritage Trail, Ipoh City Council
    6. Town Hall and Old Post Office, Ipoh Heritage Trail, Ipoh City Council
    7. Hongkong and Shanghai Bank, Ipoh Heritage Trail, Ipoh City Council
    8. Chung Thye Phin Building, Ipoh Heritage Trail, Ipoh City Council
    9. St. Michael's Institution, Ipoh Heritage Trail, Ipoh City Council
    10. F.M.S. Bar & Restaurant, Ipoh Heritage Trail, Ipoh City Council
    11. S.P.H De Sila Building, Ipoh Heritage Trail, Ipoh City Council
    12. Straits Trading Building (OCBC Bank), Ipoh Heritage Trail, Ipoh City Council
    13. The Chartered Bank, Ipoh Heritage Trail, Ipoh City Council
    14. Mercantile Bank, Ipoh Heritage Trail, Ipoh City Council
    15. Perak Hydro Building, Ipoh Heritage Trail, Ipoh City Council
    16. Taxonomy of Traditional and Modern Architectural Styles of Heritage Shophouse Facade at Ipoh, Perak, Malaysia
    17. Han Chin Pet Soo, Ipoh Heritage Trail, Ipoh City Council
    18. Jan Sahib's Office, Ipoh Heritage Trail, Ipoh City Council
    19. Mikasa Photo Shop, Ipoh Heritage Trail, Ipoh City Council
    20. Panglima Lane, Ipoh Heritage Trail, Ipoh City Council
    21. Residence and Law Office of the Seenivasagam Brothers, Ipoh Heritage Trail, Ipoh City Council
    22. Ipoh Kong Heng Coffeeshop, Ipoh Heritage Trail, Ipoh City Council
    23. Perak Ku Kong Chow Association, Ipoh Heritage Trail, Ipoh City Council
    24. Kin Kwon Daily News, Ipoh Heritage Trail, Ipoh City Council
    25. 0
    26. https://en.wikipedia.org/wiki/Ransom_Gillis_House
    27. 0
    28. 0
    29. 0
    30. 0
    31. 0
    32. 0
    3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