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재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mokpo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Definition== 차채석(車載錫,1925~1983)은 대한민국의 수필가로 1926년 목포시 북교동에서 태어났다. 극작가 차범석의 동생이다. 6.25...)
 
(Definition)
1번째 줄: 1번째 줄:
 
==Definition==
 
==Definition==
[[차채석|차채석(車載錫,1925~1983)]]은 대한민국의 수필가로 1926년 목포시 북교동에서 태어났다. 극작가 차범석의 동생이다. 6.25  전쟁 직후에 서울에서 내려와 목포여중 앞에 항도출판사를 차리고 목포의 문예지와 단행본을 도맡아 출판했다. 1956년 서정주, 이동주 등과 함께 시 전문 문예지 『시정신』의 창간을 주도했다. 1958년에 남농 허건 등과 함께 목포문화협회(현 목포예총) 창립을 주도했으며, 1960년 『목포문학』(현 목포문인협회 기관지) 창간을 발간·주도했고, 1969년 제3대 한국예총 목포지부장을 역임했다. 「삼학도 가는 길」, 「악인의 매력」 등의 수필을 썼다. 유달산 유선각 앞에 시비와 예술의 거리 언덕에 문학비가 있다.
+
[[차재석|차재석(車載錫,1925~1983)]]은 대한민국의 수필가로 1926년 목포시 북교동에서 태어났다. 극작가 차범석의 동생이다. 6.25  전쟁 직후에 서울에서 내려와 목포여중 앞에 항도출판사를 차리고 목포의 문예지와 단행본을 도맡아 출판했다. 1956년 서정주, 이동주 등과 함께 시 전문 문예지 『시정신』의 창간을 주도했다. 1958년에 남농 허건 등과 함께 목포문화협회(현 목포예총) 창립을 주도했으며, 1960년 『목포문학』(현 목포문인협회 기관지) 창간을 발간·주도했고, 1969년 제3대 한국예총 목포지부장을 역임했다. 「삼학도 가는 길」, 「악인의 매력」 등의 수필을 썼다. 유달산 유선각 앞에 시비와 예술의 거리 언덕에 문학비가 있다.
 +
 
 
==Semantic Data==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Node Description===

2020년 9월 30일 (수) 21:04 판

Definition

차재석(車載錫,1925~1983)은 대한민국의 수필가로 1926년 목포시 북교동에서 태어났다. 극작가 차범석의 동생이다. 6.25 전쟁 직후에 서울에서 내려와 목포여중 앞에 항도출판사를 차리고 목포의 문예지와 단행본을 도맡아 출판했다. 1956년 서정주, 이동주 등과 함께 시 전문 문예지 『시정신』의 창간을 주도했다. 1958년에 남농 허건 등과 함께 목포문화협회(현 목포예총) 창립을 주도했으며, 1960년 『목포문학』(현 목포문인협회 기관지) 창간을 발간·주도했고, 1969년 제3대 한국예총 목포지부장을 역임했다. 「삼학도 가는 길」, 「악인의 매력」 등의 수필을 썼다. 유달산 유선각 앞에 시비와 예술의 거리 언덕에 문학비가 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차재석 Actor 인물 문학 차재석(車載錫,1925~1983) 차채석 車載錫 목포시, 『목포시사』, 4권 제 6편 목포의 주요인물, 2017, 523p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value
id 차재석
본명
창씨개명
이칭 다목동(茶木童)
유형 인물
성별
활동분야 문학
성격 시인
대표작품 삼학도 가는길, 악인의 매력
생년 1925
몰년 1983
출생지 목포시 북교동
사망지
시대 현대
국적
출신지
배우자
차남진
형제 차범석
자녀
관련인물
관련사건

No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