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사례-말레이시아-이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mokpo
이동: 둘러보기, 검색
(Shophouse 건물)
(현황)
10번째 줄: 10번째 줄:
 
원래 작은 마을이었던 이포는 1880년대에 주변 킨타천(Kinta River) 분지에서 거대한 양의 주석 퇴적물이 발견되면서 빠르게 성장하기 시작했다. 1892년에 대화재로 마을의 절반 이상이 소실되면서 이포를 보다 체계적으로 도시 재개발할 기회가 되었다. 이 지역에서 크게 성공한 하카 출신 광부 Yau Tet Shin은 1905년과 1914년 사이에 킨타천 건너편으로 마을을 확장했다. 1908년까지 그는 이포의 신도시에 216채의 집을 지었다. 이포는 이후 1920년대와 1930년대에 제2의 양철광업 붐의 결과로 빠르게 성장하였다. 당시 말레시아가 영국 식민지여서 많은 서양식 건물들이 건립되었으며 중국인을 비록한 많은 사람들이 이포로 들어오면서 다문화도시가 되었다. 1941년 12월 15일에 일제가 쳐들어와서 일본의 식민지가 되었다. 일제시대 때 페락주의 주도가 되었고 1942년 3월부터 1912년에 건립된 남성 기독교 학교인 '성 미카엘 학당(St. Michael's Institution)이 페락주에 있는 일본 행정부의 본부가 되었다. 해방 이후 이포가 페락의 주도로 남았다. 그러나 1970년대 주석 퇴적물 고갈과 주석 가격 폭락으로 수십 년 동안 쇠퇴와 방치를 겪었다. 최근 10년 동안, 영국 식민지 시대의 건축물을 보존하기 위한 노력으로 관광지로서의 이포의 인기는 크게 높아졌다. 이 도시는 또한 음식으로 잘 알려져 있고 석회암 언덕과 불교 사찰이 세워진 동굴과 같은 자연 명소로도 잘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이포는 말레이시아에서 가장 깨끗한 도시 중 하나로 유명하다.
 
원래 작은 마을이었던 이포는 1880년대에 주변 킨타천(Kinta River) 분지에서 거대한 양의 주석 퇴적물이 발견되면서 빠르게 성장하기 시작했다. 1892년에 대화재로 마을의 절반 이상이 소실되면서 이포를 보다 체계적으로 도시 재개발할 기회가 되었다. 이 지역에서 크게 성공한 하카 출신 광부 Yau Tet Shin은 1905년과 1914년 사이에 킨타천 건너편으로 마을을 확장했다. 1908년까지 그는 이포의 신도시에 216채의 집을 지었다. 이포는 이후 1920년대와 1930년대에 제2의 양철광업 붐의 결과로 빠르게 성장하였다. 당시 말레시아가 영국 식민지여서 많은 서양식 건물들이 건립되었으며 중국인을 비록한 많은 사람들이 이포로 들어오면서 다문화도시가 되었다. 1941년 12월 15일에 일제가 쳐들어와서 일본의 식민지가 되었다. 일제시대 때 페락주의 주도가 되었고 1942년 3월부터 1912년에 건립된 남성 기독교 학교인 '성 미카엘 학당(St. Michael's Institution)이 페락주에 있는 일본 행정부의 본부가 되었다. 해방 이후 이포가 페락의 주도로 남았다. 그러나 1970년대 주석 퇴적물 고갈과 주석 가격 폭락으로 수십 년 동안 쇠퇴와 방치를 겪었다. 최근 10년 동안, 영국 식민지 시대의 건축물을 보존하기 위한 노력으로 관광지로서의 이포의 인기는 크게 높아졌다. 이 도시는 또한 음식으로 잘 알려져 있고 석회암 언덕과 불교 사찰이 세워진 동굴과 같은 자연 명소로도 잘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이포는 말레이시아에서 가장 깨끗한 도시 중 하나로 유명하다.
  
==현황==
+
==문화재 활용 현황==
  
 
===건축물 예시===
 
===건축물 예시===

2021년 6월 19일 (토) 18:18 판

지역 소개

  • 지명 : Ipoh(페락주의 주도)
  • 인구 : 657,892(말레시아의 4번째 큰 도시)
  • 면적 : 643km2
  • 인구 밀도 : 1,023/km2
  • 인구 통계 : 중국인 - 44% , 부미푸트라인(말레시아 원주민) - 39%, 인도인 - 14%, 기타 - 3%
  • 교통 : 쿠알라룸푸르에서 약 200km / 2~3시간 기차(6천~1만원)

원래 작은 마을이었던 이포는 1880년대에 주변 킨타천(Kinta River) 분지에서 거대한 양의 주석 퇴적물이 발견되면서 빠르게 성장하기 시작했다. 1892년에 대화재로 마을의 절반 이상이 소실되면서 이포를 보다 체계적으로 도시 재개발할 기회가 되었다. 이 지역에서 크게 성공한 하카 출신 광부 Yau Tet Shin은 1905년과 1914년 사이에 킨타천 건너편으로 마을을 확장했다. 1908년까지 그는 이포의 신도시에 216채의 집을 지었다. 이포는 이후 1920년대와 1930년대에 제2의 양철광업 붐의 결과로 빠르게 성장하였다. 당시 말레시아가 영국 식민지여서 많은 서양식 건물들이 건립되었으며 중국인을 비록한 많은 사람들이 이포로 들어오면서 다문화도시가 되었다. 1941년 12월 15일에 일제가 쳐들어와서 일본의 식민지가 되었다. 일제시대 때 페락주의 주도가 되었고 1942년 3월부터 1912년에 건립된 남성 기독교 학교인 '성 미카엘 학당(St. Michael's Institution)이 페락주에 있는 일본 행정부의 본부가 되었다. 해방 이후 이포가 페락의 주도로 남았다. 그러나 1970년대 주석 퇴적물 고갈과 주석 가격 폭락으로 수십 년 동안 쇠퇴와 방치를 겪었다. 최근 10년 동안, 영국 식민지 시대의 건축물을 보존하기 위한 노력으로 관광지로서의 이포의 인기는 크게 높아졌다. 이 도시는 또한 음식으로 잘 알려져 있고 석회암 언덕과 불교 사찰이 세워진 동굴과 같은 자연 명소로도 잘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이포는 말레이시아에서 가장 깨끗한 도시 중 하나로 유명하다.

문화재 활용 현황

건축물 예시

이포의 근대건축물은 이포역 앞에 있는 역사적 도심 지역에 주로 위치하고 있다. 역사적 도심 지역은 두개의 동네로 나눠져 있으며 먼저 개발된 킨타천 서쪽에 있는 Old Town(구촌)동네와 나중에 확장된 킨타천 동쪽에 있는 New Town(신촌)동네가 있습니다. 이포는 목포보다 면적 및 인구가 배로 크지만 이 두 도시의 역사적 도심 지역만 비교해 봤을 때 규모가 같다.

  • 목포 남촌+북촌 규모 : 약 839,000m² / 둘레 약 4.42km
  • 이포의 구촌+신촌 규모 : 약 804,000m²/ 둘레 약 4.3km

특히 Old Town에서 아래에 있는 주요 건축물 외에도 20세기 초반 소규모 2층 주상복합건물이 많이 남아 있는 것으로 보아 식당, 가계, 카페 등의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목포처럼 은행, 학교, 회관, 상업시설, 종교시설 등이 많습니다.

상점가옥(Shophouse)

Shophouse(상점가옥)이란 동남아시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주상복합건물을 의미하며 가계 공간과 가계주인의 거주 공간이 있는 건물이다. 건물이 2층으로 되어 있으며 정면이 바로 거리와 접근되어 있고 건물의 정면 길이가 측면 길이보다 짧다. 건물들이 바로 붙어 이어져 있으며 상가의 형태를 가지게 된다.

이포는 shophouse이 1,022개가 있다.[1] 이포의 shophouse의 양식이 6개로 나뉠 수 있으며 과도적(1880~1900년대, 280개-27.7%), 절충식(1890~1930년대, 365개-35.7%), 신고전식(1880-1920년대, 45개-4.4%), 아르데코식(1925~1950년대, 44개-4.3%), 초기 근대식(1940-1970년대, 220개-21.5%), 근대식(1970년대, 68개-6.7%)이 있다. 이 건물들이 원래의 가계나 식당 기능을 계속 유지되고 있거나 새로운 카페, 식당, 호텔, 미술갤러리 등으로 정비되고 있다. 주상복합건물임으로 가업들이 많이 살고 있고 투자자나 귀향한 젊은이들이 폐지 건물을 사서 새로운 용도로 사용되기도 한다.

주요 역사적 건축물

  • Ipoh Railway Station(1917년) - 건축가 A.B. Hubback
  • Birch Memorial Clock Tower(1909년) - 페락주의 첫 주민 J.W.W. Birch의 기념 시계탑
  • Ipoh Town Hall(1916년) - 건축가 A.B. Hubback; 신고전주의의적 디자인; 전 우체국 건물
  • HSBC Bank Building(1931년) - 독립까지 제일 높았던 건물
  • Chung Thye Phin Building(Arlene House) (1909년) - 건축가 Chung Thye Phin (페락주의 마지막 중국인 카피탄)
  • St. Michael's Institution(1912년) - 서양 기독교 학교; 일제시대 때 일제 행정부 건물로 사용되었다.
  • Han Chin Pet Soo Building(1929년) - 광부회로 설립되었다가 현재 말레시아의 첫 하카 주석 광산 박물관으로 활용되고 있다.
  • F.M.S. Bar & Restaurant(1923년) - 1906년에 하이난 이민자가 설립한 식당이며 말레시아의 제일 오래된 식당으로 알려져 있다.
  • S.P.H De Sila Building(1900년 경) - 이포의 제일 오래된 상업적 건물 중에 하나이며 트로피, 방패,메달 등을 만들어 팔았다.
  • Straits Trading Building(OCBC)(1907년) - 이탈리아 레네상스 양식; 광부들한데 주석을 구입하였으며 환금기 때 페락주의 주석 판매 2분의1을 담당한 회사.
  • The Chartered Bank(1924년) - 이포 지점은 1902년에 설립하였다. Straits Trading Company와 Eastern Smelting Company에게 신용을 제공해주었다.
  • Mercantile Bank(1931년) - 아트데코 양식; 인도의 은행건물로 사용되었다.
  • Perak Hydro Building(1930년대) - 1926년에 킨타분지의 광업소와 준설사업을 위한 정력을 제공하는 기관
  • Jan Sahib's Office(1930년대) - 여러 상업 건물 중 하나; Town Padang Mosque를 설립한 사람의 아들의 사무실. 빵집 사업을 했다.
  • Mikasa Photo Shop(1911년 이전) - 이 사진관에서 일했던 일본 간첩이 말레시아에 대한 정보를 일제에게 보냈다.
  • Concubine Lane(1900년 경) - 이 거리에 있는 건물들은 아편과 도박, 창가로 유명했다. 나중에 중국인 부자들의 첩들이 많이 살았다고 했던 주택지로 바꿨다.

지도를 불러오는 중...

기존 가능성

활용 가능성

  • 역사적 도심의 도로 배치등이 잘 보존되어 있다.
  • 도심이 도보로 걸어갈 수 있는 부담스럽지 않은 규모다.
  • 도심 외에 자연유산, 놀이공원 등 다른 관광 시설이 있다.
  • 근대역사가 풍부해서 많은 역사 콘텐츠 많들 수 있다.
  • 종교시설, 은행, 학교, 가계, 식당들이 다양한 크기와 용도의 건물들이 많이 남아 있다.
  • 영국식, 중국식 건물들이 어울러져 있다.

관광 가능성

  • 식민지 시대의 아름답고 운장한 건물이 많다.
  • 현지 음식의 전통이 매우 깊고 맛있는 것으로 국내서 유명하다
  • 쿠알라룸푸어시와 페낭시 사이에 위치하고 있어서 중간거첨으로 사용한다.
  • 주변 지역의 자연유산이 아름답다.
  • 말레이, 중국, 인도, 영국 등 다문화도시로 독특하고 매력이 있는 문화를 가지고 있다.

기존 문제점

활용 문제점

  • 노후된 건물이 많아서 방치되어 있다가 정비하지 않고 철거하고 새로운 건물을 짓는 경우가 너무 많다.
    • 건물주가 건물의 안전 문제를 파악 못하고 정비,복원하는 방법에 대한 지식이 매우 부족해서 그렇다.[2]
  • 젋은 사람들이 공부와 취직을 위해 다 큰 도시로 이사간다. 그래서 가업들의 미래가 어두어보이고 건물을 관리할 수 있는 사람들이 없다.

관광 문제점

  • 표지판이 부족 - 길찾기, 유적 이해하기에 미흡하다
  • 투어가이드 - 영어를 할 수 있는 역사해설사들의 수와 질이 부족하다
  • 대중교통 - 버스 타는 것이 어렵고, 택시 기사들이 마음대로 가격을 정할 수 있어서 비싸고 불편하다.
  • 개끗하지 못함 - 도시가 노후가 심하여 개끗하지 못하고 안전적인 느낌을 주지 못함
  • 내국인 관광객이 많으나 외국인 관광객이 얼마 없다.

활용 정책 및 사업

타임라인

  • 2004년 : Lost World of Tambun 놀이공원이 개장하였다.
  • 2005년 : 말레시아의 국가문화유산법 공표되었다.
  • 2007년 : 이포의 관광사업에 국가, 주, 도시, 개인 단위로 투자가 시작되었다.
  • 2008년 : -
  • 2009년 : 이포 문화유산 둘레길 브로셔가 출판되었다.
  • 2010년 : 건축 문화 유산에 대한 만연한 파괴에 대하여 대중들이 염려하였다.
  • 2011년 : Concubine Lane의 두개의 상점가옥(shophouse)이 붕괴하여 도시 의회는 노후된 건물들을 "철거 아니면 보수"하라는 명령하였다; 녹색 도시 계획이 발표되었다.
  • 2012년 : 옛 중국 오페라 연기자의 호스텔을 조경 건축가 Ng Sek San씨가 독특한 게스트 하우스로 복원하였다; 페락주에서 숙련기술, 인상된 급여, 안정된 치안 등을 목표로 한 개잘 계획을 발표된다; 페락주에서 관광에 있어서 표지판, 투어가이드, 대중교통, 개끗함 등과 관련한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Ipoh Local Plan 2020 발표되었다.
  • 2013년 : -
  • 2014년 : Ipoh Heritage Tin City Special Area Plan 2020 발표되었다 - 주요한 건축물의 정비, 보행자 및 관광용 세발자전거 도로 신설, 차없는도로와 노점, 역사둘레길코스, 킨타천변의 3개구역의 분할 및 개조; 리투아니아의 예쑬가 Ernest Zacharevic가 벽화를 그렸다; U.S. News 잡지에서 제3위의 좋은 은퇴 도시로 뽑였다; 친절한 비자 정책을 통해 일본인을 비록한 외국인 은퇴자들이 점점 늘어난다;
  • 2015년 : 첫 음식축제가 열렸다.
  • 2016년 : "힙스터 타운"으로 만들려는 정부의 접근법; 음식과 동굴, 자연 탐사등으로 Lonely Planet지에 6대 꼭 방문해야할 여행지로 등재되었다; 예술 축제 열렸다.; 말레이시아의 가장 깨끗한 도시로 선언됨.
  • 2017년 : 여러가지 카페, 식당, 빵집등이 점점 생기기 시작하였다. MAPS Perak 애니메이션 놀이공원이 개장하였다.
  • 2018년 : Ipoh Local Plan 2035 발표되었다.
  • 2019년 : -
  • 2020년 : 반려동물원을 개장하였다; '북지역 실행 기관(NCIA)이 '음식관 라이프스타일' 개념으로 킨타천 주변의 정비사업 시작으로 다리, 인보, cctv, 거리정등, 와이파이, 음식시설들을 정비; 이포시청, 구우체국 건물들은 예술문화회관, 디지털예술관으로 정비; Ipoh Padang공원 및 24개의 문화유산 건물 앞에 전등 성치 등 정비 사업 진행 중
  • 2021년 : -

정책 및 사업 종류

2010년 경부터 이포의 관광 가치를 확장하기 위한 여러 정책 및 사업들이 적극적으로 실행되기 시작됐다. 이포가 페락주의 주도로써 페락주청에서 실행하는 경제 개발 정책에도 속하고 이포시청에서 하는 정책에도 속하다. 그리고 개인의 사적인 투자자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정책의 주로된 분야는 건물 보존 및 재활용, 환경 정비, 공공 예술(public art), 음식 관광(food tourism), 자연 관광(eco-tourism)으로 나눌 수 있다.

건물 보존 및 재활용

환경 정비

공공 예술(public art)

음식 관광(food tourism)

자연 관광(eco-tourism)

활용 효과

개선된 점

  • 이포 출신 20대후반, 30대초반 귀향하여 카페, 숙박시설, 예술시설등을 연다.
  • 호텔 등으로 건물 정비함으로써 부동산 가격이 상승하였다.
  • 건축물을 보거나 음식을 맛보려는 관광객들의 수가 증가하였다.
  • 쿠알라룸푸어보다 쉽게 돌아다닐 수 있는 도시라서 관광이 더 수월하다.
  • 외국인 및 현지인의 공공예술(벽화) 설치한 후 도시의 안정성, 이미지가 개선되어 관광객이 늘어났다.
  • 개끗하지 못한 부분을 개선되어 개끗한 도시로 변화되었다.
  • 사적 투자, 개업으로 인해 정부의 개입 없이 발전이 이루어졌다.
  • 녹색 도시 정책으로 인해 도시 환경이 좋아졌다.

미흡한 점

  • 2014년 쯤에 개발 계획이 발표되면서 시민들이 비판했던 부분들이 있었다.[3]
    • 주상복합건물 공간에서 주거가 없는 상업공간으로만 바꾸는 점
    • 상당한 예산은 물리적인 건물 정비에만 지원하는 점
    • 예산의 상세 품목의 미정확한 점
    • 부동산 가격으로 인해 동네 주민들이 더 이상 못 살게 되고 경계계층 및 다양성 문제를 악화되는 점
    • 관광과 경제에 집중함으로서 시민의 건강, 안전, 생활의질 등을 고려하지 못하는 점
    • 진심이 없는 컫모습만 있는 동네가 되는 점
  • 몇몇의 사람들은 이러한 사업들이 돈에 의해 주도되고, 그로 인하여 지역 전통과 자연보호를 무시한 특색없는 복원으로 이어진다고 우려했습니다.
  • UNESCO 지정과 같은 통제가 될만한 정책이 없는 개발 압력으로 인해 보존의 중요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는 건물주들이 건물의 정비를 함부러 하여 역사적 가치를 떨어뜨리는 경우가 발생한다.
  • 많은 고령자들은 이러한 개선의 필요성을 인식하지 못했다.
  • 젊은 사람이 귀향해서 아트갤러리를 만드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아직 예술에 지역 사람들이 관심의 부족으로 실패했다.
  • 페낭시(다른 큰 도시)를 이포의 특징에 대한 생각없이 모방한다는 비판이 있다.
  • 좋은 재료, 가업의 전통 등으로 현지음식이 인기가 매우 높은데 shophouse 가업의 젋은 자식들은 이런 일을 앞으로 안 하고 싶다. 그리고 정부에서 관광화를 함으로 그 정통성이 일어버리게 됨으로 이포의 음식 가치가 살아질 가능성이 보여서 위험하다.

참고 자료

홍보물

기사

논문

블로그

동영상

기타

각주

  1. Taxonomy of Traditional and Modern Architectural Styles of Heritage Shophouse Facade at Ipoh, Perak, Malaysia
  2. "Maintenance of Heritage Building - A Case Study from Ipoh, Malaysia", 2016
  3.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