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본원사목포별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mokpo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달성사(達聖寺, 1915~ )는 노대련 선사가 1915년 4월에 목포 유달산 동남방 기슭에 지역 유지의 협찬을 받아 절...)
 
3번째 줄: 3번째 줄:
 
==Definition==
 
==Definition==
  
[[달성사|달성사(達聖寺, 1915~ )]]는 노대련 선사가 1915년 4월에 목포 유달산 동남방 기슭에 지역 유지의 협찬을 받아 절을 신축하고 1917년 9월 15일 목포 시민과 신도 수백여 명과 함께 법회를 열었다. 달성사에 있는 건물은 법당 1동, 명부전 1동, 요사채 2동, 산신각 및 종각 각 1동과 3층석탑 1기 등이 있다. 대웅전에 봉안된 목조아미타삼존불좌상은 전라남도유형문화재 228호로, 명부전에 있는 목조지장보살반가상은 보물 제 2011호로 각각 지정되어 있다. 경내에 있는 나무아미타불 석탑에는 창건 당시의 신도들 이름이 빼곡이 새겨져 있으며, 창건주를 기리기 위한 노대련 선사 창건비도 있고, 그 옆에는 노대련 선사가 기도의 영험으로 굴착하였다는 옥정이라는 우물이 있다. 또한 불사 참여에 공적을 쌓았던 신도들의 공적을 기리는 달성사중수공덕비와 현기봉영세불망비 등이 있다. 달성사는 대한불교조계종 대둔사의 말사로 전통사찰 69호이다. <ref> 목포시, 『목포시사』, 2권 제 4편 목포의 종교, 2017, 553-579 쪽. </ref>
+
[[동본원사|동본원사(東本願寺, 1898~1945)]]는 일제강점기에 활동한 일본 불교의 사찰로 공식 명칭은 동본원사 목포별원이었다. 일본 교토에 있는 정토진종 대곡파 동본원사는 니시야마 가쿠류를 목포에 파견하여 1898년 4월 목포지원을 설립하였다. 목포의 최초 불교 사찰이었다. 처음에는 일본 영사관 부지를 차입하여 임시 사찰을 세우고 아동 교육 등에 힘썼으며 이후 목포심상고등소학교(일본인 교육기관) 설비 인가를 받아 정식으로 개교하였다. 이후 학교는 1902년 일본거류민회에 양도되었으며, 동본원사 목포지원은 1905년 본당을 신축하였고, 1907년 동본원사 목포별원으로 승격되었다. 일제 시기 일본 불교의 포교 활동에 힘썼으며, 해방이 되어 일본인들이 물러가자 사찰 건물은 한국 불교의 정광사에 인수되었다. 그후 1957년에는 이번에는 기독교단의 목포중앙교회가 인수하여 예배당으로 2008년까지 사용하였고, 교회가 이전함에 따라 2010년부터는 목포시에서 인수하여 '오거리문화센터'로 사용하고 있다. 아직도 옛 모습 그대로 현존하는 건물은 단층에 위쪽 지붕은 일본식 박공 형태로 지어진 독특한 건축 양식으로 등록문화재 제 340호로 지정되어 있다. <ref> 목포시, 『목포시사』, 2권 제 4편 목포의 종교, 2017, 553-579 쪽. </ref>
  
 
==Semantic Data==
 
==Semantic Data==
12번째 줄: 12번째 줄: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달성사]] || Actor || 단체 || 종교 || 달성사(達聖寺, 1915~ ) || 달성사 || 達聖寺 || Dalseung Temple || http://dh.aks.ac.kr/~mokpo/wiki/index.php/달성사 ||  
+
| [[동본원사]] || Actor || 단체 || 종교 || 동본원사(東本願寺, 1898~1945) || 동본원사 || 東本願寺 || DongBonWeonSa || http://dh.aks.ac.kr/~mokpo/wiki/index.php/동본원사 ||  
 
|-
 
|-
 
|}
 
|}
23번째 줄: 23번째 줄:
 
! propertyName || value
 
! propertyName || value
 
|-
 
|-
| id || [[달성사]]
+
| id || [[동본원사]]
 
|-
 
|-
 
|이칭||  
 
|이칭||  
31번째 줄: 31번째 줄:
 
|성격|| 종교
 
|성격|| 종교
 
|-
 
|-
|창립자|| [[노대련]]
+
|창립자|| [[니시야마 가쿠류]]
 
|-
 
|-
|창립일|| 1915년  
+
|창립일|| 1898년  
 
|-
 
|-
 
|변경일||  
 
|변경일||  
 
|-
 
|-
|해산일||  
+
|해산일|| 1945년
 
|-
 
|-
 
|주요업무|| 불교 법회
 
|주요업무|| 불교 법회
 
|-
 
|-
|담당업무|| 법회  
+
|담당업무|| 법회 교육
 
|-
 
|-
|소재지|| 전라남도 목포시 유달로 173
+
|소재지|| 전라남도 목포시 영산로 75번길 5
 
|-
 
|-
 
|관련기관||  
 
|관련기관||  
60번째 줄: 60번째 줄: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달성사]] || [[노대련]]  || [[founder]]  || 설립자
+
| [[동본원사]] || [[니시야마 가쿠류]]  || [[founder]]  || 설립자
 
|-
 
|-
| [[달성사]] || [[대한불교조계종]]  ||  || 소속 교단
+
| [[동본원사]] || [[목포심상고등소학교]]  ||  || 부설 교육기관
|-
 
| [[달성사]] || [[목조아미타삼존불좌상]]  ||  || 전라남도유형문화재 제 228호 소장
 
|-
 
| [[달성사]] || [[목조지장보살반가상]]  ||  || 보물 제 2011호 소장
 
 
|-
 
|-
 
|}
 
|}
77번째 줄: 73번째 줄:
 
! gid || region || label || hanja || latitude || longitude || altitue || description  
 
! gid || region || label || hanja || latitude || longitude || altitue || description  
 
|-
 
|-
|달성사|| 전라남도 목포시 || 달성사 || 達聖寺 || 34.79023 || 126.37539 ||  ||  
+
|동본원사|| 전라남도 목포시 || 동본원사 || 東本願寺 || 34.78976 || 126.38435 ||  ||  
 
|-
 
|-
 
|}
 
|}
88번째 줄: 84번째 줄:
 
! tid || timeSpan || label || hanja || koreanEra || japaneseEra || indexDate || description
 
! tid || timeSpan || label || hanja || koreanEra || japaneseEra || indexDate || description
 
|-
 
|-
| [[달성사-창건]] || 1915 ||  달성사 창건 || 達聖寺 蒼健 ||  || 大正 4년 ||  ||  
+
| [[동본원사-창건]] || 1898 ||  동본원사 창건 || 東本願寺 蒼健 ||  光武 2년  ||  ||  ||
 +
|-
 +
| [[동본원사-폐쇄]] || 1945 ||  동본원사 폐쇄 || 東本願寺  閉鎖 ||  ||  ||  ||  
 
|-
 
|-
 
|}
 
|}
96번째 줄: 94번째 줄: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type || resource || title || desctription/caption || URL
 
! type || resource || title || desctription/caption || URL
|-
 
| 참고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목포달성사목조아마타삼존불좌상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67131
 
|-
 
| 참고 || 위키백과 || 목포 달성사 목조지장보살반가상 ||  ||https://ko.wikipedia.org/wiki/목포_달성사_목조지장보살반가상
 
 
|-
 
|-
 
|}
 
|}

2021년 2월 26일 (금) 19:27 판


Definition

동본원사(東本願寺, 1898~1945)는 일제강점기에 활동한 일본 불교의 사찰로 공식 명칭은 동본원사 목포별원이었다. 일본 교토에 있는 정토진종 대곡파 동본원사는 니시야마 가쿠류를 목포에 파견하여 1898년 4월 목포지원을 설립하였다. 목포의 최초 불교 사찰이었다. 처음에는 일본 영사관 부지를 차입하여 임시 사찰을 세우고 아동 교육 등에 힘썼으며 이후 목포심상고등소학교(일본인 교육기관) 설비 인가를 받아 정식으로 개교하였다. 이후 학교는 1902년 일본거류민회에 양도되었으며, 동본원사 목포지원은 1905년 본당을 신축하였고, 1907년 동본원사 목포별원으로 승격되었다. 일제 시기 일본 불교의 포교 활동에 힘썼으며, 해방이 되어 일본인들이 물러가자 사찰 건물은 한국 불교의 정광사에 인수되었다. 그후 1957년에는 이번에는 기독교단의 목포중앙교회가 인수하여 예배당으로 2008년까지 사용하였고, 교회가 이전함에 따라 2010년부터는 목포시에서 인수하여 '오거리문화센터'로 사용하고 있다. 아직도 옛 모습 그대로 현존하는 건물은 단층에 위쪽 지붕은 일본식 박공 형태로 지어진 독특한 건축 양식으로 등록문화재 제 340호로 지정되어 있다. [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동본원사 Actor 단체 종교 동본원사(東本願寺, 1898~1945) 동본원사 東本願寺 DongBonWeonSa http://dh.aks.ac.kr/~mokpo/wiki/index.php/동본원사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value
id 동본원사
이칭
유형 단체
성격 종교
창립자 니시야마 가쿠류
창립일 1898년
변경일
해산일 1945년
주요업무 불교 법회
담당업무 법회 교육
소재지 전라남도 목포시 영산로 75번길 5
관련기관
관련인물
관련단체
관련사건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동본원사 니시야마 가쿠류 founder 설립자
동본원사 목포심상고등소학교 부설 교육기관

Spatial Data

Spactial Information Nodes

gid region label hanja latitude longitude altitue description
동본원사 전라남도 목포시 동본원사 東本願寺 34.78976 126.38435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tid timeSpan label hanja koreanEra japaneseEra indexDate description
동본원사-창건 1898 동본원사 창건 東本願寺 蒼健 光武 2년
동본원사-폐쇄 1945 동본원사 폐쇄 東本願寺 閉鎖

Online Reference

type resource title desctription/caption URL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title publication edition URL
목포시 『목포시사』, 2권 목포시 2017 https://www.mokpo.go.kr/www/introduce/current?category_1=2권

Notes

  1. 목포시, 『목포시사』, 2권 제 4편 목포의 종교, 2017, 553-579 쪽.

Semantic Network Graph